References
- 이영미 (2010), 현대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스타일 시뮬라시옹 표현양상에 대한 연구, 서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
- 이정엽 (2005), 디지털 게임: 상상력의 새로운 영토, 서울: 살림출판사, p. 70.
- 이지영 (2001), 컴퓨터 게임에 나타난 의상에 관한 연구: 2000년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게임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
- 심광현 (1996), 전자복제 시대와 이미지의 문화정치; 벤야민 다시 읽기, 서울: 문화과학사, pp. 13-30.
- Benjamin Walter (1933), Uber das mimetische Vermögen in W. Benjamin, Gesammelte Schriften II-1, Suhrkamp, pp. 210-213.
- Lukacs G. (1963), Die Eigenart des Ästhetischen II, Werke, Bd.12, Luchterhand, p. 356.
- Adorno T. W. (1970), Asthetische Theorie, Bd.7, Suhrkamp, Frankfrut/M, p. 169.
- Baudrillard J. (1984), The precession of simulacua: Art after modernism rethinking representation, New York: The new Museum of contemporary art.
- 김희숙 (2005), 꽃의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조형 연구 : 미메시스 개념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2-97.
- 양희영 (2009), 현대패션에 나타난 재현과 되기 현상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2), pp. 200-212.
- 양수미, 권미정 (2009), 2000년대 패션에 표현된 미메시스 연구, 복식, 59(10), pp. 38-50.
- 양수미, 권미정 (2010), 패션 컬렉션의 헤어 디자인에 표현된 추상 미메시스 연구, 대한미용학회지, 6(2), pp. 141-149.
- 양수미, 권미정 (2011), 미디어의상 디자인에 표현된 미메시스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3(3), pp. 309-320.
- 서정립, 진경옥 (2004), 가상공간 게임에 나타난 사이버 캐릭터 의상의 조형성, 복식, 54(3), pp. 99-112.
- 오현주 (2004), 게임 캐릭터 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MMORPG 리니지II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4.
- 이지영 (2001), 컴퓨터 게임에 나타난 의상에 관한 연구: 2000년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게임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8.
- 이효진, 양아량 (2008), 현대패션에 표현된 게임 캐릭터 의상의 조형성, 복식, 58(4), pp. 141-163.
- 권민희 (2008), 디지털미디어에 나타난 하위문화 패션스타일 분석 및 디자인 개발: 온라인 게임 캐릭터 의상, 대중가수 의상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2.
- 손이정 (2006), 온라인 게임 캐릭터 패션이 대중 가수패션에 미치는 영향 및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9.
- 자료검색일 2011. 1. 13, http://www.gamemeca.com/,
- http://www.gamenote.com/
- 권민희(2008), 디지털미디어에 나타난 하위문화 패션스타일 분석 및 디자인 개발: 온라인 게임 캐릭터 의상, 대중가수 의상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p. 15.
-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체육관광부 (2010), 게임백서, 서울: 한국콘텐츠진흥원.
- "온라인게임", 자료검색일 2010. 12. 20, http://100.naver.com/100.nhn?docid=769997
- 김성재 (1998), 기술적 형상의 미학과 새로운 매체현실, 매체미학 중, 서울: 나남, p. 95.
- 권민희 (2008), 디지털미디어에 나타난 하위문화 패션스타일 분석 및 디자인 개발: 온라인 게임 캐릭터 의상, 대중가수 의상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32.
- "패션잡지 등장한 아이온 캐릭터", 자료검색일 2011. 2. 7, http://www.betanews.net/article/
- 김은지, op. cit., p. 33.
- 이지영 (2001), 컴퓨터 게임에 나타난 의상에 관한 연구: 2000년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게임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0.
- 서정립, 진경옥 (2004), 가상공간 게임에 나타난 사이버 캐릭터 의상의 조형성, 복식, 54(3), p. 105.
- 손이정 (2006), 온라인 게임 캐릭터 패션이 대중 가수패션에 미치는 영향 및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7.
- Tatarukiewicz, W. (1980), A history of six ideas, 손효주 역 (1990), 미학의 기본 개념사, 서울: 미진사, p. 311.
- 竹內敵雄(1974), 美學藝術學事典, 안영길외 역 (1989), 미학예술학사전, 서울: 미진사, pp. 248-249.
- 최성만 (1996), 발터 벤야민의 미메시스론, 독일학 연구, 5(1), pp. 176-206.
- Platon (1976), Politeia. 604e, 조우현 역 (1990), 플라톤. 국가. 세계사상 전집, 22, 서울: 삼성출판사, p. 368.
- Aristoteles (1947), Poetica, R. Mckeon, Introduction to Aristotle, New York: Random House, 이상섭 역 (2005), 시학, 서울: 문학과지성사, pp. 627-628.
- Monroe C. Beardsley (1958), Aesthetics-From classical Greece to the Presence: A short history, 이성훈, 안원현 역 (1987), 서울: 이론과 실천, p. 30
- 이주영 (2007), 예술론특강, 서울: 미술문화, p. 179.
- Sheppard, A. (1987), Aesthetics-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art, Oxford University Press, 700.1 SHE. 유호전 역 (2001), 미학개론: 예술철학입문, 서울: 동문선, p. 17.
- 최성만 (1999), 발터 벤야민(W. Benjamin)에서 미메시스와 역사적 경험, 사회철학연구회 원례학술발표 (1999, 4);
- 이주영 (1998), 루카치 미학 연구, 서울: 서광사, p. 42.
- 윤성우 (2004), 미메시스, 재현 그리고 해석, 해석학연구, 14, pp. 207-234.
- Danto, Arthur C., After the end of art: contemporary art and the pale of history, 이성훈, 김광우 역 (2004), 예술의 종말 이후: 컨템퍼러리 미술과 역사의 울타리, 서울: 미술문화, pp. 240-241.
- 竹內敵雄 (1974), 美學藝術學事典, 안영길외 역 (1989), 미학예술학사전, 서울: 미진사, p. 118.
- 최광진 (2004), 현대미술의 전략, 파주: 아트북스, p. 33.
- 정미정 (2004), 미메시스이론을 적용한 실내설계연구: 자연 이미지가 표현된 상업공간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5-75.
- 양희영 (2009), 현대패션에 나타난 재현과 되기 현상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2), pp. 200-212.
- 김희숙 (2005), 꽃의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 조형 연구: 미메시스 개념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3-76.
- Gadamer, H. G. (1960), Wahrheit und methode [Truth and method] Grundzuge einer philosophischen Hermeneutik, Tubingen, Mohr, 이길우 역(2000), 진리와 방법, 서울: 문학동네, p. 67.
- 홍원 (1998), 패러디 표현방법을 통한 광고에 있어서의 창조와 모방개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17.
- "창조와 혁신은 모방에서 시작됐다"(2011. 6. 24), 한국일보, p. 11.
- Lipovetsky G. (1994), The Empire of fashion: Dress sing Modern Democracy, New Jearsy princeton Univ. Press.
- 김연 (1997), 영화사전, 한국영화인 협회, 서울: 삼영사, p. 396.
- 박지영 (2008), 영상 미디어의 한복 퓨전화를 통한 의상 디자인 연구: 영화 및 드라마의 '황진이'를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4-15.
- 양수미, 권미정 (2011), 미디어의상 디자인에 표현된 미메시스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3(3), p. 10.
- 권민희 (2008), 디지털미디어에 나타난 하위문화 패션스타일 분석 및 디자인 개발: 온라인 게임 캐릭터 의상, 대중가수 의상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47.
- "수치로 본 남아공 월드컵 속 피파온라인2 인기" (2010. 7. 12), 일간스포츠, p. 21.
- "그라나도 에스파다", 자료검색일 2010. 11. 9, http://ge.hanbiton.com/
- "아이온", 자료검색일 2010. 10. 26, http://aion.plaync.co.kr/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자료검색일 2010. 9. 5, http://kr.battle.net
- Arnheim, R. (1974), Art and visual perception. The new version,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김춘일 역 (1995), 미술과 시지각, 서울: 미진사, p. 252.
- 송수현 (2009), MMORPG [아이온] 플레이어 유형과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의 관계분석: 리차드 바틀의 플레이어유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7.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자료검색일 2010. 10. 3, http://kr.battle.net/wow/ko/
- 한동훈 (2009), 게임 캐릭터와 그로테스트 미학의 상관성 연구: MMORPG 장르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