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Mimesis in Internet Online Video Game Apparel Design

인터넷 온라인게임 의상디자인에 표현된 미메시스 연구

  • Yang, Su-Mi (Dept. of Clothing &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won, Mi-Jeo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1.03.09
  • Accepted : 2011.08.29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Ever since Homeros in Greece, Mimesis was thought to be an art that imitates nature, especially the classicism of nature. Mimetic theories were used in the artworks in the era of the Renaissance, and the terminology 'mimesis' replaced the idea of originality in the 15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esthetics of mimesis expressed in Online video game apparel design. For this purpose, I researched different theories of 'mimesis' and applied them to Online video game apparel designs.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various books on aesthetics and fashion, and demonstrative studies were processed by analyzing photos from Internet video game websites. In the history of aesthetics, the term mimesis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external, internal and multiple mimesis. External mimesis represented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in the design, which showed the beauty of the ancient times. Internal mimesis displayed the metaphorical symbols of religion, character, psychology, sexuality and fear. Multiple mimesis was the hybrid and the distortion of the different aspects of mimesis. Applying this research on mimesis and expressing them in Online video game design may be an excellent method for understanding human aesthetics in video game apparels.

Keywords

References

  1. 이영미 (2010), 현대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스타일 시뮬라시옹 표현양상에 대한 연구, 서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
  2. 이정엽 (2005), 디지털 게임: 상상력의 새로운 영토, 서울: 살림출판사, p. 70.
  3. 이지영 (2001), 컴퓨터 게임에 나타난 의상에 관한 연구: 2000년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게임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
  4. 심광현 (1996), 전자복제 시대와 이미지의 문화정치; 벤야민 다시 읽기, 서울: 문화과학사, pp. 13-30.
  5. Benjamin Walter (1933), Uber das mimetische Vermögen in W. Benjamin, Gesammelte Schriften II-1, Suhrkamp, pp. 210-213.
  6. Lukacs G. (1963), Die Eigenart des Ästhetischen II, Werke, Bd.12, Luchterhand, p. 356.
  7. Adorno T. W. (1970), Asthetische Theorie, Bd.7, Suhrkamp, Frankfrut/M, p. 169.
  8. Baudrillard J. (1984), The precession of simulacua: Art after modernism rethinking representation, New York: The new Museum of contemporary art.
  9. 김희숙 (2005), 꽃의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조형 연구 : 미메시스 개념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2-97.
  10. 양희영 (2009), 현대패션에 나타난 재현과 되기 현상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2), pp. 200-212.
  11. 양수미, 권미정 (2009), 2000년대 패션에 표현된 미메시스 연구, 복식, 59(10), pp. 38-50.
  12. 양수미, 권미정 (2010), 패션 컬렉션의 헤어 디자인에 표현된 추상 미메시스 연구, 대한미용학회지, 6(2), pp. 141-149.
  13. 양수미, 권미정 (2011), 미디어의상 디자인에 표현된 미메시스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3(3), pp. 309-320.
  14. 서정립, 진경옥 (2004), 가상공간 게임에 나타난 사이버 캐릭터 의상의 조형성, 복식, 54(3), pp. 99-112.
  15. 오현주 (2004), 게임 캐릭터 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MMORPG 리니지II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4.
  16. 이지영 (2001), 컴퓨터 게임에 나타난 의상에 관한 연구: 2000년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게임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8.
  17. 이효진, 양아량 (2008), 현대패션에 표현된 게임 캐릭터 의상의 조형성, 복식, 58(4), pp. 141-163.
  18. 권민희 (2008), 디지털미디어에 나타난 하위문화 패션스타일 분석 및 디자인 개발: 온라인 게임 캐릭터 의상, 대중가수 의상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2.
  19. 손이정 (2006), 온라인 게임 캐릭터 패션이 대중 가수패션에 미치는 영향 및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9.
  20. 자료검색일 2011. 1. 13, http://www.gamemeca.com/,
  21. http://www.gamenote.com/
  22. 권민희(2008), 디지털미디어에 나타난 하위문화 패션스타일 분석 및 디자인 개발: 온라인 게임 캐릭터 의상, 대중가수 의상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p. 15.
  23.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체육관광부 (2010), 게임백서, 서울: 한국콘텐츠진흥원.
  24. "온라인게임", 자료검색일 2010. 12. 20, http://100.naver.com/100.nhn?docid=769997
  25. 김성재 (1998), 기술적 형상의 미학과 새로운 매체현실, 매체미학 중, 서울: 나남, p. 95.
  26. 권민희 (2008), 디지털미디어에 나타난 하위문화 패션스타일 분석 및 디자인 개발: 온라인 게임 캐릭터 의상, 대중가수 의상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32.
  27. "패션잡지 등장한 아이온 캐릭터", 자료검색일 2011. 2. 7, http://www.betanews.net/article/
  28. 김은지, op. cit., p. 33.
  29. 이지영 (2001), 컴퓨터 게임에 나타난 의상에 관한 연구: 2000년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게임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0.
  30. 서정립, 진경옥 (2004), 가상공간 게임에 나타난 사이버 캐릭터 의상의 조형성, 복식, 54(3), p. 105.
  31. 손이정 (2006), 온라인 게임 캐릭터 패션이 대중 가수패션에 미치는 영향 및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7.
  32. Tatarukiewicz, W. (1980), A history of six ideas, 손효주 역 (1990), 미학의 기본 개념사, 서울: 미진사, p. 311.
  33. 竹內敵雄(1974), 美學藝術學事典, 안영길외 역 (1989), 미학예술학사전, 서울: 미진사, pp. 248-249.
  34. 최성만 (1996), 발터 벤야민의 미메시스론, 독일학 연구, 5(1), pp. 176-206.
  35. Platon (1976), Politeia. 604e, 조우현 역 (1990), 플라톤. 국가. 세계사상 전집, 22, 서울: 삼성출판사, p. 368.
  36. Aristoteles (1947), Poetica, R. Mckeon, Introduction to Aristotle, New York: Random House, 이상섭 역 (2005), 시학, 서울: 문학과지성사, pp. 627-628.
  37. Monroe C. Beardsley (1958), Aesthetics-From classical Greece to the Presence: A short history, 이성훈, 안원현 역 (1987), 서울: 이론과 실천, p. 30
  38. 이주영 (2007), 예술론특강, 서울: 미술문화, p. 179.
  39. Sheppard, A. (1987), Aesthetics-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art, Oxford University Press, 700.1 SHE. 유호전 역 (2001), 미학개론: 예술철학입문, 서울: 동문선, p. 17.
  40. 최성만 (1999), 발터 벤야민(W. Benjamin)에서 미메시스와 역사적 경험, 사회철학연구회 원례학술발표 (1999, 4);
  41. 이주영 (1998), 루카치 미학 연구, 서울: 서광사, p. 42.
  42. 윤성우 (2004), 미메시스, 재현 그리고 해석, 해석학연구, 14, pp. 207-234.
  43. Danto, Arthur C., After the end of art: contemporary art and the pale of history, 이성훈, 김광우 역 (2004), 예술의 종말 이후: 컨템퍼러리 미술과 역사의 울타리, 서울: 미술문화, pp. 240-241.
  44. 竹內敵雄 (1974), 美學藝術學事典, 안영길외 역 (1989), 미학예술학사전, 서울: 미진사, p. 118.
  45. 최광진 (2004), 현대미술의 전략, 파주: 아트북스, p. 33.
  46. 정미정 (2004), 미메시스이론을 적용한 실내설계연구: 자연 이미지가 표현된 상업공간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5-75.
  47. 양희영 (2009), 현대패션에 나타난 재현과 되기 현상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2), pp. 200-212.
  48. 김희숙 (2005), 꽃의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 조형 연구: 미메시스 개념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3-76.
  49. Gadamer, H. G. (1960), Wahrheit und methode [Truth and method] Grundzuge einer philosophischen Hermeneutik, Tubingen, Mohr, 이길우 역(2000), 진리와 방법, 서울: 문학동네, p. 67.
  50. 홍원 (1998), 패러디 표현방법을 통한 광고에 있어서의 창조와 모방개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17.
  51. "창조와 혁신은 모방에서 시작됐다"(2011. 6. 24), 한국일보, p. 11.
  52. Lipovetsky G. (1994), The Empire of fashion: Dress sing Modern Democracy, New Jearsy princeton Univ. Press.
  53. 김연 (1997), 영화사전, 한국영화인 협회, 서울: 삼영사, p. 396.
  54. 박지영 (2008), 영상 미디어의 한복 퓨전화를 통한 의상 디자인 연구: 영화 및 드라마의 '황진이'를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4-15.
  55. 양수미, 권미정 (2011), 미디어의상 디자인에 표현된 미메시스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3(3), p. 10.
  56. 권민희 (2008), 디지털미디어에 나타난 하위문화 패션스타일 분석 및 디자인 개발: 온라인 게임 캐릭터 의상, 대중가수 의상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47.
  57. "수치로 본 남아공 월드컵 속 피파온라인2 인기" (2010. 7. 12), 일간스포츠, p. 21.
  58. "그라나도 에스파다", 자료검색일 2010. 11. 9, http://ge.hanbiton.com/
  59. "아이온", 자료검색일 2010. 10. 26, http://aion.plaync.co.kr/
  60.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자료검색일 2010. 9. 5, http://kr.battle.net
  61. Arnheim, R. (1974), Art and visual perception. The new version,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김춘일 역 (1995), 미술과 시지각, 서울: 미진사, p. 252.
  62. 송수현 (2009), MMORPG [아이온] 플레이어 유형과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의 관계분석: 리차드 바틀의 플레이어유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7.
  63.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자료검색일 2010. 10. 3, http://kr.battle.net/wow/ko/
  64. 한동훈 (2009), 게임 캐릭터와 그로테스트 미학의 상관성 연구: MMORPG 장르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