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강원도 간성지역에 분포하는 화강풍화토의 도로토공 재료특성 연구

Suitability for Subgrade Material of Weathered Granite Soils in the Gansung area of Gangwon-do

  • 정재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실) ;
  • 유준 (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실) ;
  • 김진만 (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실) ;
  • 김승현 (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실) ;
  • 임광수 (원주지방국토관리청 도로시설국)
  • Jeoung, Jae-Hyeung (Geotechnical Engineering & Tunnelling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Yu, Jun (Geotechnical Engineering & Tunnelling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Kim, Jin-Man (Geotechnical Engineering & Tunnelling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Kim, Seung-Hyun (Geotechnical Engineering & Tunnelling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Lim, Kwang-Su (Road Facility Bureau, Wonju Regional Construction and Management Administration)
  • 투고 : 2011.08.10
  • 심사 : 2011.09.20
  • 발행 : 2011.09.30

초록

건설 현장에서 대규모의 풍화토 지반을 만나게 되면, 지반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에 있어서 계획변경을 수반하게 된다. 풍화토는 대부분 공기중에 노출됨과 동시에 풍화가 급속하게 진행되어 토공구조물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입도가 불량하고 수분에 민감하여 다짐관리가 어렵다. 이러한 풍화토는 공학적인 성질이 지역적으로 대단히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서 지역적 특성을 연구하여 보고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간성지역에서 존재하는 화강풍화토를 발생된 현장 2곳에서 각각 23개소, 8개소 채취하여 지질학적으로 고찰한 후, XRD분석, 입도, 연경도, 다짐특성을 분석하고, 도로 토공재료로서의 평가를 위하여 CBR값과 균등계수, 200체 통과율, 2 mm 이상 골재 함유율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 지역의 화강풍화토는 2 mm이상의 골재함유량이 CBR값에 영향을 크게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기준미달토등에 대하여 2 mm이상의 골재를 혼합하여 토질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Upon encountering weathering soil at a construction site, it may be necessary to change the design and construction plans for geotechnical structures. When weathering soil is exposed to air, the weathering process proceeds rapidly, resulting in significant damage to geotechnical structures, particle defects, and an increase in moisture sensitivity. The management of weathering-soil compaction is challenging. Because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weathering-soils vary regionally, it is important to report the result of research in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uch soils. At two locations of granite gneiss in the Gansung area of Gangwon-do, geological studies were performed at 22 and 8 sites, respectively. At each site, test sample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by XRD and to measure particle size, consistency, and compaction.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the material for road subgrade, we examine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BR value and the uniformity coefficient, the 200 sieve passing ratio and the aggregate ${\geq}$ 2 mm) content. We found that for the weathered granite soil, aggregate sized > 2 mm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BR value. In addition, the mixing of aggregate sized > 2 mm with sub-quality soil improves the soil condi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길영우, 신홍자, 고보균, 2007, 강원도 고성지역에 분포하는 알카리 현무암질 마그마의 상승경로, 16(4), 196-207.
  2. 김경록, 2003, 흙의 특성과 CBR과의 상관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관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49.
  3. 김경수, 2005, 산사태지역 토층의 미세조직과 지화학적 특성의 중요성, 지질공학, 15(4), 447-462.
  4. 김경수, 추창오, 부성안, 정교철, 2006, 산사태 지역 토층의 미세조직과 지화학적 특성의 중요성, 지질공학, 15(4), 447-462.
  5. 김임곤, 2004, 도로 노상토 재료의 특성과 CBR의 상관성 분석, 밀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60.
  6. 김진철, 2005, 현장발생 이암계 퇴적암의 보조기층 적용성 평가,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7(3), 93-100.
  7. 박성완, 황규영, 2005, 화강풍화 노상토의 함수특성 거동, 2005 도로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325-330.
  8. 박흥규, 김경록, 2003, 흙의 특성과 CBR과의 상광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4(1), 41-48.
  9. 조등룡, 홍승호, 최위찬, 이병주, 최범영, 1998, 고성-간성 도폭 지질조사보고서, 59 p.
  10. 조등룡, Kazuhiro Suzuki, 최위찬, Mamoru Adachi, 2007, 경기육괴 북동부 고성-간성 지역 선캠브리아 암석의 CHIME 연대와 그 지체구조적 의의, 16(1), 1-11.
  11. 西田一彦, 1986, 風化殘積土の工學的性質, 鹿島出版, 東 京, 120-123.

피인용 문헌

  1. 강원도 간성-현내 지역 화강암류 비탈면 안정성 검토 사례 연구 vol.22, pp.3, 2011, https://doi.org/10.9720/kseg.2012.3.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