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 Community Type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South Korea

우리나라의 산림식생에 대한 군락형 분류

  • Yun, Chung-Weo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Hye-Ji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Lee, Byung-Chu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onservat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 Shin, Joon-Hwan (Department of Forest Conserv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Yang, Hee Moon (Department of Forest Conserv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im, Jong Hwan (Department of Forest Conserv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윤충원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김혜진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이병천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 신준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보존부) ;
  • 양희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보존부) ;
  • 임종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보존부)
  • Received : 2011.05.25
  • Accepted : 2011.06.14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phytosociological forest community analysis, the sampled dada were collected and studied by 1,456 plots from 1993 to 2009 for 17 years in the 22 mountain area of South Korea. Four opposed species groups were classified and 10 vegetation units were divided as a result of forest vegetation classification. The 10 units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major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geological features, climatic conditions, topographical configurations, and etc. Therefore the forest vegetation of South Korea could be conclusively abstracted by 10 vegetation units and 7 eco-types.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산림식생에 대한 대표 군락유형 분류를 위하여 1993년부터 2009년까지 약 17년 동안 22개 산림지역에서 1,456개소의 식생자료를 수집하여 식물사회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4쌍의 대립종군이 나타났고 최상위 수준에서 신갈나무군강(class)이 분류되었다. 식생분류를 수행하기 위하여 4쌍의 대립종군 중에서 굴참나무군락형과 청시닥군락형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총 10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 또한 각 식생단위는 지질, 기후, 지형 등의 환경인자에 의해 매우 높은 상호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산림식생은 10개 군락단위와 7개 생태형으로 정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우석, 임종환. 2008. 극지.고산식물 월귤의 격리 분포와 기온요인. 대한지리학회지 43(4): 495-510.
  2. 공우석. 2006. 한반도에 자생하는 소나무과 나무의 생물 지리. 대한지리학회지 41(1): 73-93.
  3. 김종원, 이율경. 2006.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와 평가방법. 월드사이언스. 서울. pp. 240.
  4. 김철수, 임병선. 1988. 서남해안 간석지 식생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1(4): 175-192.
  5. 김혜진, 윤충원. 2009. 문수산, 옥석산 일대의 산림식생 유형 분류와 종간연관 분석. 한국임학회지 98(4): 379-391.
  6. 박영순, 이미정, 송호경, 이 선. 2001. 계룡산국립공원 계곡부 식생의 구조와 DCCA에 의한 식생과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임학회지 90(3): 249-256.
  7. 박인협, 류석봉, 김례화. 1996. 오대산 국립공원지역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9(2): 126-132.
  8. 박인협, 조재창, 오충현. 1989. 가야산지역 계곡부와 능선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삼림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1): 42-50.
  9. 배행근, 박문수. 2001. 완도 백운봉 상록활엽수림의 산림군락구조 연구. 한국임학회지 90(6): 756-766.
  10. 송연희, 윤충원. 2006. 설악산 아고산대 산림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4(3): 268-274.
  11. 신재권, 윤충원, 양희문. 2009. 안면도 현존식생에 대한 군락분류. 한국환경과학회지 18(12): 1,427-1,436.
  12. 오구균, 최송현. 1993. 난온대 상록수림지역의 식생구조와 천이계열. 한국생태학회지 16(4): 459-476.
  13. 오승환, 윤충원, 배관호, 홍성천. 1998. 청옥산 삼림식생에 관한 연구 -식물사회학적 분석방법으로-. 한국임학회지 87(1): 27-39.
  14. 윤충원, 김혜진, 양희문, 임종환, 김영걸, 신준환, 이병천. 2009. 화악산의 산림군락과 환경요인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환경과학회지 18(5): 579-588.
  15. 윤충원, 문현식. 2009. 석회암지대 산림식생의 유형과 환경특성. 농업생명과학연구 43(2): 1-8.
  16. 윤충원, 이찬호, 김혜진. 2007. 충청남도 가야산 산림식생의 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5): 379-389.
  17. 이병천, 윤충원. 2002. 내연산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5(3): 153-161.
  18. 이병천, 윤충원, 신준환, 오정수. 2001. 면산 일대 산림식생의 군락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90(4): 548-557.
  19. 전영문. 2007. 우이도 해안사구식생의 군락생태와 입지환경.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5(1): 56-65.
  20. 정용규, 김종원. 1998. 경북의 해안사구식생. 한국생태학회지 21(3): 257-262.
  21. 황선미, 윤충원. 2007. 식장산 산림식생유형과 세천계곡부의 식생구조. 환경생물학회지 25(3): 249-259.
  22. 鈴木兵二, 伊藤秀三, 豊原源太郞, 金遵敏, 金喆洙, 朴奉奎. 1987. 植生調査法-植物社會學的 硏究法-. 日新社. 170쪽.
  23. Braun-Blanquet, J. 1932. Plant Sociology. New York, N. Y.: MaGraw-Hill Book Co. pp. 439.
  24. Braun-Blanquet, J. 1964. Pflanze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 der Vegetation 3. Auf, Springer-Verlang, Wien, N.Y., pp. 865.
  25. Egerton, F.E. 1976. Ecological Studies and Observations Before 1900. In Issues and Ideas in America, eds. B.J. Taylor and T.J. White, pp. 311-351. Norman: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6. Egler, F.E. 1942. Vegetation as an Object of Study. Philosophy of Science 9: 245-260. https://doi.org/10.1086/286769
  27. Ellenberg, H. 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derung. I.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In : Walter, H. (Hrsg.) Einfuhrung in die Phytologie IV. pp. 136. Stuttgart.
  28. Lee, W.T. and Yim, Y.J. 1978. Studies of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Taxonomy 10: 1-33.
  29. Muller-Dombois, D. and Ellenberg, H.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Wiley, New York, pp. 525.
  30. Weber, H.E., Moravec, J. and Theurillat, J.P. 2000. International code of phytosociological nomenclature. 3rd edition.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11: 739-768. https://doi.org/10.2307/3236580
  31. Westhoff, V. and van der Maarel, E. 1978. The Braun-Blanquer approach. In: Whittaker, R.H.(Ed.) Classification of plant communities. Boston: Junk, pp. 617-726.
  32. Whittaker, R.H. 1962. Classification of natural communities, Botanical Review 28: 1-239. https://doi.org/10.1007/BF02860872
  33. Yim, Y.J. and Kira, T. 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ies of thermal climate. Japanese Journal of Ecology 25(1): 77-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