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ransmission Process of Yeoju-Palkyung in Old Poems and Map

팔경시와 고지도에 투영된 여주팔경의 전승양상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1.02.14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e study reviewed the content and the meaning of the present Yeoju Palkyung(eight scenery) through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Palkyung poems, old maps and paintings, and classic materials transmitted in Yeoju area, and investigated the transmission process. Although five scenes of the Yeoju Palkyungs illustrate abstract landscapes derived from the Sosang Palkyung, there are mixed with local sceneries showing famous historical ruins in the area and local life of the Yeogang(驪江: river). Seunggyeong(勝景) of Yeoju, highlighted in old paintings, has been emphasized through duplication the object and the view point field of Yeoju Palgyeong(驪州八詠), which is usually symbolized to sailing boats along the Yeogang, forests around Cheongshimru, and the layer Jeontap and Maam above Shinreuksa(神勒寺) Dongdae(東臺). It is quite undoubtful that the Yeoju Palyong of Choi Sukjeong and Seo Geojung is the copy of the present Yeoju Palkyung, but the present version is found to be all included in the Cheonggijeongsipyoung(淸奇亭十詠) of Cho Moonsu since the 17th Century, which shows that the Cheonggijeongsipyoung is viewed that it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the transmission of the Yeoju Palkyung. Also, it. is concluded that the Yeoju Palyong recorded in Yeojidoseo(與地圖書) is the same landscape collecting with the presend Yeoju Palkyung, which would be dated back at least until the mid 18th Century. In addition, given the fact that the studied old maps show Eight scenery, Sachoneohwa, Shinreukmojong, Yeontanguibum, Paldaejangrim, Yangdonagan, Ibanchungam, Pasagwau, and Yongmoonjeukchui, recorded consistently in the same time order, the eight scenic points in the old maps had been apparently established as the typical copy of the Yeoju Palkyung in the 18th Century. Therefore, the transmission route of the Yeoju Palkyung follows two separate versions, one starting from the Yeoju Palyong(Choi Sukjeung, Seo Geojeong) to Cheonggijeongpalyong to Yeoju Palyoung(Yeojidoseo) to the present. Yeoju Palkyung, and the other from the Yeoju Palyoung Geumsa Palyong(金沙八詠) to the old map Palkyung to the Yeoju Palkyung(the late 18th C). These two transmission processes have their own cultural sceneries having the same origin, which are different only in perspective which attempts to cover the representative scenic landscapes including Yeoju and Geumsa.

본 연구는 여주지역에 전래되는 팔경시, 고지도, 옛 그림 그리고 고문헌의 분석과 해석을 통해 여주팔경의 내용과 의미를 개관하는 한편 여주팔경의 전승과정을 면밀히 되짚어봄으로써 '여주팔경'의 뿌리찾기를 시도하였다. 여주팔경 중 5개경은 소상팔경의 시각적 결속력을 유지한 관념적 경관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지역의 유서깊고 지명도 높은 유적과 여강 중심의 토착민의 삶을 담은 '생활 속의 경'이 혼재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옛 그림 속에 강조된 여주의 승경은 여강을 배경으로 한 범선과 청심루를 둘러싼 수목들, 그리고 신륵사 동대(東臺) 위의 다층전탑과 마암 등 상징성 높은 여주 팔경의 시점장과 대상이 중복되어 강조되고 있다. 현재 여주팔경의 모본은 최숙정과 서거정의 '여주팔영'인 것은 의심할 바 없으나, 이후 17세기 전반 조문수의 청기정십영 속에 현 여주팔경이 모두 포함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청기정십영 또한 여주팔경 전승의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여지도서에 기록된 여주팔영과 현 여주팔경은 1개경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집경(集景)으로 판단됨에 따라 현 여주팔경의 연원(淵源)은 최소한 18세기 중반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분석대상 고지도 공히 동일한 순서로 사촌어화, 신륵모종, 연탄귀범, 팔대장림, 양도낙안, 입암층암, 파사과우, 용문적취의 8개경이 일관성 있게 기재된 것으로 보아, 고지도에 기재된 팔경 또한 적어도 18세기 전형적 여주팔경의 모본(母本)으로 정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여주팔경의 전승경로는 여주팔영(최숙정 서거정)${\rightarrow}$청기정팔영${\rightarrow}$여주팔영(여지도서)${\rightarrow}$여주팔경(여주군)의 과정과 '여주팔영+금사팔영'${\rightarrow}$고지도 팔경${\rightarrow}$여주팔경(18C후반)의 전승과정 등 2개 버전(version)으로 분화 전승된 것으로 확인된다. 이는 근원적으로 여주와 금사 2개 경관소권의 대표경관을 포괄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차이를 보일 뿐 양자 동일한 연원을 갖는 여주지역 고유의 문화경관이라 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우석대학교

References

  1. 강영조, 김영란(1991). 한국팔경의 형식과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한국전통조경학회지. 9(2):2-36.
  2. 고연희(2003). 소상팔경,고려와 조선의 시.화에 나타나는 수용사.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동방학. 9: 217-243.
  3. 기꾸치 도시오, 윤정숙 역(1995). 역사지리학방법론. 서울: 이회문화사.
  4. 김기혁(2007). 지역문화 연구 자료로서 고지도 및 지리지. 정신문화연구. 30(3): 119-142.
  5. 김기혁, 임종옥(2008). 지리학에서 지명 연구 동향. 지명의 지리학.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서울 푸른길: p15.
  6. 김동찬, 민경숙(2003). 충청북도 八景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1(2): 30-39.
  7. 김동필, 이기철, 靑木陽二(1997). 한국과 일본의 팔경의 변화과정에 관한 기초적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5(1): 49-57.
  8. 김선일(1992). 關東八景의 景觀特性에 關한 硏究.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종하, 배현미(2006). 현대팔경의 선정특성에 따른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1(2): 179-189.
  10. 김지희(2006). 조선시대 漢江圖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노재현(2007). 丹陽八景의 活人性과 景勝形象化展開樣相.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3): 75-93.
  12. 노재현(2008a). 端宗哀史의 後光效果를 적용한 영월팔경의 스토리텔링 전략. 한국조경학회지. 36(3): 63-74.
  13. 노재현(2008b). 수원팔경의 형성배경과 문화경관적 含意. 한국조경학회지. 36(1): 90-102.
  14. 노재현(2009). 瀟湘八景, 전통경관 텍스트로서의 의미와 결속구조. 한국조경학회지. 37(1): 100-119.
  15. 노재현(2010). 부여 팔경으로 본 백제 사비시대 장소와 경물의 懷古慣性.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3): 14-28.
  16. 노재현, 박율진, 김형률(2008). 배산 연주정 12경의 경관상과 표현미학적 특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1): 9-19.
  17. 노재현, 신상섭, 조찬문(2007). 팔경 구조분석을 통해 본 전통문화경관 조망권역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1): 11-23.
  18. 大東地志(2004). 이회문화사.
  19. 동아출판사(1967). 사진화보판 20세기한국대관. 서울: 동아출판사.
  20. 송민정(2009). 현대 팔경의 유형과 경관분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신상섭, 노재현(1999). 景觀正體性 향상을 위한 전주팔경의 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4): 25-35.
  22. 신상섭, 노재현, 한광수(2005). 전통경관 정체성 진단을 통한 역사문화 경관 탐방 네트워크 개발: 전주팔경권역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2): 90-100.
  23. 신증동국여지승람. 권7. 驪州牧(1971). 민족문화추진위원회.
  24. 안장리(1996). 韓國八景詩硏究: 淵源과 展開를 중심으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안현경(2010). 대구.경북지역 팔경자원의 경관 특성에 관한 연구: 문화관광자원의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 분석. 동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안휘준(1988). 한국의 소상팔경도 연구. 한국 회화의 전통. 서울: 문예출판사. pp. 175-249.
  27. 양보경(2009). 상징경관으로서의 고지도 연구. 문화역사지리. 21(1): 95-104.
  28. 여기현(2002). 소상팔경의 수용과 양상. 중국문학연구. 25: 305-326.
  29. 여주군(1989). 여주군지.
  30. 여주군(2008). 남한강 여주소식. 제70호(3/10일).
  31. 여주군사편찬위원회(2005). 여주군사.
  32. 여주문화원(2004). 여강 한구비 산이 그림같으니: 옛 선조들이 남긴 여주의 제영.
  33. 輿地圖書 여주목읍지.
  34. 이보라(2005). 朝鮮時代 關東八景圖의 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보라(2007). 관동지역의 팔경화 시기 연구. 忠北史學. 18: 431-453.
  36. 이상아(2008). 조선시대 팔경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진호(2008). 驪州 地域 八景詩의 傳統 考察. 여주대학교 논문집. 16(2): 85-100.
  38. 이태형(2010). 이곡과 정포의 사(詞)에 투영된 "蔚州八景"형상 考. 선도문화. 9: 545-583.
  39. 이행렬(2006). 韓山八詠에 나타난 문화경관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 24(3): 23-38.
  40. 李賢九 편역(1991). 驪江詩軸. 여주신문사.
  41. 장동수(2006). 경기도 여주군 八大長林 복원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1): 78-84.
  42. 전경원(2006). 소상팔경시의 형상화 양상과 의미맥락 연구. 건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정기호(2002). 봉미산 신륵사의 종합적 고찰: 신륵사의 입지성. 寺刹造景硏究. 9: 19-46.
  44. 정기호, 김묘정, 이원호, 최종희(2009). 동국여지승람에 기술된 읍치팔경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4): 125-135.
  45. 조성문(2004). 청기정십영. 옛 선조들이 남긴 여주의 제영 추가자료.
  46. 조성문(2008). 팔대수와 청심루의 문화생태적 고찰: 한시를 중심으로, 팔대수. 청심루. 양섬 복원을 통한 문화생태자원의 발굴과 보존방향 워크샵 자료. 여주의제 21.
  47. 조성문 편역(2006). 여강 청심루. 여주문화원.
  48. 진희성, 노재현(1991). 팔경의 의미체험에 따른 풍경 개념의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9(1): 131-143.
  49. 최기수(1989). 곡과 경에 나타난 한국전통경관 구조의 해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0. 최원석(2000). 우리땅 풍수기행. 서울: 시공사.
  51. 최지연, 이익수(2007). 고지도를 활용한 도시관광 콘텐츠 개발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7(10): 274-28.
  52. 홍광표(2002). 봉미산 신륵사의 종합적 고찰: 神勒寺공간구성의 원형 해석. 寺刹造景硏究. 9: 47-59.
  53. http://100.naver.com/100.nhn?docid=716497
  54. http://land.culturecontent.com/contents.asp?cid=2&doc=02
  55. 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category=dirSer&exmId=EXM_KM_5COb_9999_000792
  56. http://www.yeojucc.co.kr
  57. http://www.yj21.net/cms.asp?intMenuIdx=6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