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시간 조사를 이용한 가중치 부여방법: 인터넷 조사에 대한 적용 가능성 검토

Using Time Use Data for Weighting Internet Survey Results

  • 조성겸 (충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 박아현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 허명회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통계학과)
  • 투고 : 2010.02.23
  • 심사 : 2011.07.07
  • 발행 : 2011.07.30

초록

인터넷 조사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그 일반성을 높이고자 하는 시도가 다양하게 이루어졌지만, 안정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이 아직까지 개발되지는 않았고 이것이 인터넷 조사의 활용을 제약하고 있다. 인터넷 조사를 위한 가중치 개발에는 준거조사 결과가 필요하지만, 센서스나 정부기관에서 제공되는 통계 중 일부 인구학적 속성을 제외하면 이러한 준거 조사 자료를 구하기 어렵다는 것이 중요 요인이다. 본 연구는 생활시간 조사를 이용해서 가중치를 개발하여 적용할 때, 인터넷 조사의 일반성을 높일 수 있는지를 검토해 보았다. 생활시간 조사는 정부기관에 의해 정기적으로 조사될 뿐만 아니라 센서스와는 달리 라이프스타일에 관련된 다양한 내용을 조사하기 때문이다. 2009년에 실시된 통계청 사회조사의 온라인 버전을 2004년 생활시간 조사결과를 이용해 가중치를 적용한 결과, 2009년에 동일한 설문지를 이용해 실시된 면접원방문 사회조사결과에 보다 일치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생활시간 조사에서 나타난 취침 시간, 귀가시간, 인터넷 이용시간 등을 이용해서 가중치를 적용했을 때 단지 인구학적 속성만을 이용해서 가중치를 적용하는 경우보다, 온라인 조사결과와 오프라인 조사결과가 보다 근접해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생활시간 조사자료가 인터넷 조사의 가중치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There are limitations as to how internet surveys can be used. Applying various weighting procedures has not always resulted in error reduction. A good reference survey would increase the effects of the weighting method, but it is very difficult to get a reference survey for non-demographic weighting variables, which restricts the use of internet surveys. We hypothesized that time use variables could be employed as weighting variables. The time use survey is conducted regularly by KOSTAT and includes various time-related variables. We tested our hypothesis using the 2009 survey results, which had been gathered by KOSTAT in 2009. When we applied weighting variables which were based on the 2004 time use survey results to the online version of the 2009 KOSTAT social survey, the gap between the online and off-line versions was slightly reduced. This result shows that we could use time use survey results to develop a better weighting schem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