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재배지 무경운 토양에서 녹비작물별 Arbuscular Mycorrhizal Fungi(AMF) 감염양상과 포자밀도 특성

Characteristics of Spore Density and Colonization Pattern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on the No-tillage Soil under Greenhouse Condition

  • 양승구 (전라남도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소) ;
  • 서윤원 (전라남도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소) ;
  • 김병호 (전라남도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소) ;
  • 손보균 (순천대학교 생명산업대 생물환경학과) ;
  • 위치도 (순천대학교 생명산업대 생물환경학과) ;
  • 이정현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공학부) ;
  • 정우진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공학부) ;
  • 박노동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공학부)
  • 투고 : 2010.07.22
  • 심사 : 2011.07.21
  • 발행 : 2011.09.30

초록

월동 녹비작물 재배가 시설 토양과 무경운 유기재배 고추의 균근균 포자밀도 및 감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험을 수행한 결과 월동 녹비작물 재배 토양의 기주작물별 균근균 활성 포자수는 대조구 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기주 작물별 균근균 활성 포자의 밀도는 보리와 완두콩이 호밀, 헤어리베치, 쇠별꽃 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녹비작물 재배 토양에 고추를 무경운 정식하여 재배한 토양의 AMF 포자 밀도는 대조구와 녹비작물 종류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리고 녹비작물 재배 토양의 AMF 밀도보다 후 작물로 고추를 재배한 토양의 AMF밀도는 감소되었으나, AMF 밀도의 균일도는 증가되었다. 한편 보리 녹비작물을 예취하여 제거한 토양의 AMF포자 밀도는 제거하지 않은 토양에 비하여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녹비작물 재배 토양 균근균의 기주작물별 포자 형태와 크기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녹비작물 재배 후작물로 고추를 재배한 토양에서 분리된 AMF포자 형태와 크기도 동일하였다. 녹비 작물별로 뿌리의 내생 균근균 감염율이 쇠별꽃, 호밀과 헤어리베치는 낮은 경향이었으나, 보리 녹비의 감염율은 유의성 있게 높았다. 고추 뿌리 내의 AMF 감염율은 녹비작물의 종류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보리 녹비를 예취하여 제거한 처리의 감염율은 보리 녹비작물을 전량 토양에 투입한 처리 보다 높았다. 녹비작물 뿌리와 고추 뿌리의 내생 균근균의 주요 감염구조는 뿌리의 내부균사(Internal hyphae)로 균사간의 Network가 매우 발달되었다. 그리고 녹비작물과 고추 뿌리에서 Arbuscule이 형성되었으며, 근권 토양의 AMF포자밀도와 고추 뿌리 감염율의 상관관계도 파악할 수 없었다.

This work was studied the effects of spore density and infection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for no-tillage organic cultivation of pepper with wintering green manure crops cultivation in greenhouse field. Spore density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in green manure crops was 189 spores/30g fresh soils in control including alive spore (82 spores). Spore density of AMF in all green manure crops was totally 196~226 spores/30g fresh soil and alive spore was 84~112 spores/30g fresh soil. Spore density of AMF in soils of Pepper crop was range of 48.0~56.7 spores/30g fresh soils after cultivation of green manure crops. Infection structure of AMF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in soils of green manure crops and Pepper crop after cultivation of green manure crops. Infection rate of AMF in roots of green crops was low level by 2.8% in giant chickweed, 7.4% in rye, 9.3% in hairy vetch. Infection rate of AMF in roots of barley was the highest level by 20.3%. Infection rate of AMF in roots of Pepper crop was range of 5.2~7.2% after cultivation of green manure crops Also, infection rate of AMF in roots of Pepper crop was 8.1% after the harvest of barley. Infection structure of AMF in barley very well consisted of network with internal hyphae, while hairy vetch and rye tended to no network. There was not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pore density in soils and infection rate of AMF in rhizosphere of Pepper.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계훈.김길용.김정규.사동민.서장선.손보균.양재의.엄기철.이상은.정광용.박향 미.남민희.강항원.이재생.고지연.강위금.박경배. 1999. 영남지역 시설재비지에 분포하는 Arbuscular 균근균의 포자 밀도 및 기내조건에서의 포자발아와 균사생장 특성.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2: 203-209.
  2. 서장선.사동민.윤세영. 2009. 토양미생물. 한국토양학회지. 42(별권): 126-152.
  3. 서종호.이효진.김시주. 2000. 헤어리베치의 추파시기에 따른 녹비의 수량 및 질소량 변화. 한국잡초학회지. 45: 400-404.
  4. 손보균.양원모.김광식. 1992. 시설원예작물에서 토착 VA균근균에 관한 연구. 한국토양비료학회지. 25(1): 99-107.
  5. 손보균.조주식.리우양팽.이도진.김홍림. 2007. 재배방식이 상이한 포도 재배지 토양의 Arbuscular 균근균 포자밀도와 감염특성.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0(6): 476-481.
  6. 손보균.진서영.김홍림.조주식.이도진. 2008a. 인삼재배 예정지의 Arbuscular 근균균 (AMF) 번식체 밀도 향상.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1: 170-176.
  7. 손보균.진서영.이도진. 2008b. 전남지역 인삼재배 토양의 Arbuscular 균근균 분포 특성.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1: 214-222.
  8. 양승구.서윤원.김용순. 임경호.김선국.김현우.김홍재.김정근.정우진. 2011. 시설재배지 녹비작물 재배가 고추의 생육과 토양의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학회지. 19: 255-272.
  9. 정덕영.정연태.정종배. 2006. 토양학. 향문사. pp. 214-244.
  10. 최두회.이윤정.신재훈.이상계.김태완. 2004. 유기농업 재배지에서 내생균근의 분포특성 및 유기농업 이용가능성 탐색. 국립농업과학원연구보고서. pp. 120-133.
  11. Brundrett, M., R. L. Peterson, L. Melville, H. Addy, T. P. McGonigle, G. Schaffer, N. Bougher, and H. Massicotte. 1994. Practical methods in mycorrhiza research mycologue Publication. pp. 161.
  12. Chamber. C. A., Smith, and F. A. Smith. 1980. Effects of ammonium and nitrate ions on mycorrhizal infection, nodulation and growth of Trifolium subterraneum. New Phytol. 85: 47-62. https://doi.org/10.1111/j.1469-8137.1980.tb04447.x
  13. Degens. B. P., G. P. Sparling, and L. K. Abbott. 1996. Increasing the lenght of hyphae in a sandy soil increases the amount of waterstable aggregates. Appl. Soil Ecol. 3: 149-159. https://doi.org/10.1016/0929-1393(95)00074-7
  14. Jasper, D. A., A. D. Robson, and L. K. Abbott. 1979. Phosphorus and the formation of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s.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11: 501-505. https://doi.org/10.1016/0038-0717(79)90009-9
  15. Jastrow, J. D., R. M. Miller, and J. Lussenhop. 1998. Contributions of interacting biological mechanisms to soil aggregate stabilization in restored prairie. Soil Biol. Biochem. 30: 905-906. https://doi.org/10.1016/S0038-0717(97)00207-1
  16. Kang, S. B., D. K. Moon, and J. B. Chung. 2000. Arbuscular-mycorrhizae colonizaton and mineral nutrient uptake of Poncirus trifoliata seeding in volcanic ash soil. Korean. J. Soil Sci. Fert. 33(4): 283-291.
  17. McGonigle, T. P., J. P. Hovius, and P. L. Peterson. 1999. Arbuscular Mycorrhizae of American ginseng(Panax quinquefolius) in cultivated field plots : Plant age affects the development of a colonization lag phase. Can. J. Bot. 77: 1028-1034.
  18. Phillips, J. M., and D. S. Hayman. 1970. Improved procedures for clearing roots and staining parasitic and vesicular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for rapid assessment of infection. Transactions of the British Mycological Society. 55: 158-160 https://doi.org/10.1016/S0007-1536(70)80110-3
  19. Ratnayake, M., R. T. Leonard, and J. A. Menge. 1978. Root exudation in relation to supply of phosphorus and its possible relevance to mycorrhizal infection. New phytol. 81: 543-552. https://doi.org/10.1111/j.1469-8137.1978.tb01627.x
  20. Smith, F. A. and S. E. Smith. 1997. Tansley Review No. 96. Structural diversity in (Vesicular) arbuscular mycorrhizal symbioses. New phytol, 137: 373-388. https://doi.org/10.1046/j.1469-8137.1997.00848.x
  21. Smith, S. E. and D. J. Read. 1997. Mycorrhizal symbiosis. 2nd ed. San Diego & Londen: Academic Press.
  22. Tisdall, J. M. 1991. Fungal hyphae and structural stability of soil. Aust. J. Soil Res. 29: 729-743. https://doi.org/10.1071/SR9910729
  23. Wright, S. F. and A. Upadhyaya. 1996. Extraction of an abuneant and unusual protein from soil and comparison with hyhal protein from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Soil Sci. 161: 575-585. https://doi.org/10.1097/00010694-199609000-00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