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based on BIM for Civil Engineering Project

토목시설물에 대한 BIM기반 공사관리 기법 연구

  • 김성훈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이상호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남상혁 ((주)아이디엠이엔씨 기술연구소) ;
  • 선오영 ((주)삼성물산 건설부문)
  • Received : 2011.07.04
  • Accepted : 2011.07.20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echnologies should be applied for the construction life cycle to maximize its efficiency, but the utilization for the construction phase has been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for the planning and design phase. Recently, some of BIM techniques such as 3D design review, 4D schedule management and so on are being introduced for efficient managing to the big national construction projects. In this study, the utilization plans of BIM are presented for the construction phase of civil engineering facilities. The methods of utilization of BIM are discussed for each type of construction, and the techniques applied to the Seoul Subway Lot No. 919 are analyzed for checking the applicability and usability. In particular, a web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M can help field engineers, headquarters and contractors to use BIM more effectively, and it can be extended to maintenance phase for more efficiencies.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원칙적으로 건설 전 생애주기에 걸쳐 활용되어야 그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나, 아직은 계획 및 설계단계에 비하여 공사단계에서는 그 활용도가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다. 최근 대형 국책사업이 발주, 시공되면서 효율적인 공사관리를 위한 방법으로 3D 성과품 검토나 4D 공정관리 등 BIM기법 중 일부가 도입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목시설물의 공사단계에서 BIM 활용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토목공사의 종류별, 관리 분야별 BIM 활용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 서울 지하철 919공구에 실제로 적용하여 그 효용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현장에 구축된 BIM 기반의 웹 공사관리 시스템은 공사중, 현장과 본사를 비롯해 발주처와 감리단 등 다수의 공사 주체들이 BIM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BIM의 공사단계 활용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 단계까지 확장하여 이용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석, 지상복 (2006) 토목시설물 공사관리 시각화를 위한 4D 시스템 적용,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26(1), pp.95-103.
  2. 강인석, 윤선미, 권중희, 문진석 (2007) 건설시설물 공정정보시각화를 위한 4D CAD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사례 분석,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10(4), pp.373-380.
  3. 김용한, 김성훈, 추연우, 김한도 (2008) 구조물 정보모델을 이용한 3차원 스마트 설계, 대한토목학회지, 56(7), pp.18-23.
  4. 김인원, 김성훈 (2010) 철도분야의 BIM 적용, Cad & Graphics, 2010(9), pp.95-97.
  5. 김한도 (2008) 청풍대교와 제2돌산대교의 BIM 적용사례, 2008 대한토목학회 구조분야 합동 학술발표회, pp.37-48.
  6. 이송헌, 김성훈 (2010a) BIM을 이용한 호남고속철도 제 4-2공구 공사관리 통합시스템 소개 (II), 건설기술쌍용, 2010 겨울호 57, pp.40-46.
  7. 이송헌, 배민혁, 김성훈 (2010b) BIM을 이용한 호남고속철도 제 4-2공구 공사관리 통합시스템 소개, 건설기술쌍용, 2010 가을호 56, pp.71-77.
  8. 이종호, 엄신조 (2011) 모바일 BIM 공사관리시스템을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활용 방안, 2011 한국건축시공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1(1), pp.145-148.
  9. 이창희 (2010) BIM기반 물량산출 완성도 측정을 위한 지수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성균관대학교, pp.8-9.
  10. 이태식, 박민서, 문득수, 구자경 (2007) 토목분야의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도입을 위한 기초 연구조사, 2007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pp.3256-3259.
  11. 전영웅, 이명식 (2010) BIM기반 건설현장 관리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10(1), pp.127-135.
  12. 조병구, 양종호 (2010) 대형 수자원 프로젝트의 BIM 기술 적용, Cad & Graphics, 2010(9), pp.98-100.
  13. 조 현, 조염래, 김현성 (2011) 토목공사 BIM 통합공사관리시스템 적용사례, 대한토목학회지, 59(2), pp.36-42.
  14. Hardin B. (2009) BIM and Construction Management, Wiley Publishing, Indiana, p.340.
  15. Jernigan F.E. (2008) BIG BIM little bim, 4Site Press, Maryland, p.323.
  16. Kymmel W. (2008)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 Planning and managing construction projects with 4D CAD and simulations, McGraw Hill, Newyork, p.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