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haking Table Test for an Re-evaluation of Seismic Fragility of Electrical Cabinet in NPP

원전 전기캐비넷의 지진취약도 재평가를 위한 진동대 실험

  • 김민규 (한국원자력연구소 종합안전평가부) ;
  • 최인길 (한국원자력연구소 종합안전평가부)
  • Received : 2011.02.09
  • Accepted : 2011.06.09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In this study, a seismic behavior of electrical cabinet system in Nuclear Power Plants(NPPs) was evaluated by the shaking table test. A 480V Motor Control Centers(MCCs) was selected for the shaking table test, and a real MCC cabinet for the Korea Nuclear Power Plant site was rented by manufactured company. For the shaking table tests, three kinds of seismic input motions were used, which were a US NRC Reg. guide 1.60 design spectrum, a UHS spectrum and PAB 165' floor response spectrum(FRS). Especially, the UHS input motion was selected for an evaluation of structural seismic amplification effects, three directional accelerations were measured at three points outside on the cabinet system and also that of the incabinet response amplification, accelerations were measure at two points which were mounted in electrical equipment such as relay. Seismic amplification effect is determined at the outside and inside of a cabinet as input seismic motion, and compared to the results which are calculated by analytical method based on NUREG/CR-5203.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발전소의 주요 설비중의 하나인 전기설비를 대상으로 지진취약도 재평가를 위한 진동대 실험을 수행하였다. 원자력발전소 내에는 많은 전기설비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기설비의 손상은 전기설비 자체의 손상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고 발전소 전체의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원자력발전소의 확률론적 지진안전성 평가에서는 주요 전기설비에 대한 지진취약도 결과를 활용한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확률론적 지진안전성 평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기설비의 지진취약도 값에 대한 재평가를 위하여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요 기기에 대한 진동대 실험을 수행하였다. 평가대상 전기설비로는 480V MCC를 선정하였으며, 진동대 실험을 위하여 NRC 설계지진, 등재해도 스펙트럼에 의한 인공지진 그리고 PAB165'에서의 층응답스펙트럼을 이용한 인공지진의 3가지 지진파를 이용하였다. 설계지진동 수준인 최대지반가속도 0.2g부터 단계적으로 입력수준을 증가시키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NUREG/CR-5203에서 제시하고 있는 방법에 의거하여 캐비넷에서의 증폭비를 비교하였으며, EPRI TR-103959의 방법으로 취약도 평가를 수행하여 기존의 확률론적 지진안전성 평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지진취약도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보고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취약도 결과가 다소 보수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수력원자력 (2002) 울진 5,6호기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II단계 연구): 외부사건 분석(최종보고서).
  2. Bandyopadhyay, K.K., Hofmayer, C.H., Kassir,
  3. M.K., Pepper, S.E. (1998) Dynamic Amplification of Electrical Cabinets, NUREG/CR-5203, Brookhaven National laboratory(BNL), Upton, NewYork.
  4. Choi, I.K., Kim, M.K., Choun, Y.S., Seo, J.M. (2004) Development of a Uniform Hazard Spectrum for a Soil Site by Considering the Site Soil Condition, 2004 KNS-spring Conference.
  5.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EPRI) (1994) Methodology for Developing Seismic Fragilities, TR-103959, Palo Alto, CA.
  6.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EPRI) (2002) Seismic Fragility Application Guide, Palo Alto, CA.
  7. Kennedy, R., Nie, J., Hofmayer, C., Ali, S. (2010) Evaluation of JNES Equipment Fragility Tests for Use in Probabilistic Risk Assessments for U.S. Nuclear Power Plants, Division of Engineering Technology, Office of Nuclear Regulatory Research, U.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Washington, DC 20555-0001, NRC Job Code N-6076.
  8. US NRC (1973) Regulatory Guide 1.60. Design Response Spectra for Seismic Design of Nuclear Power Plants.
  9. 日本原子力安全基盤機構(JNES) (2006) 地震に係る確率論 的安全評価手法の整備=機器フラジリティ評価(PWR プラ ント)=, JNES/SAE06-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