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roundwater Flow and Tritium Transport Modeling at Kori Nuclear Power Plant 1 Site

고리 1발전소 부지 내 지하수 유동 및 삼중수소 이동 모델링

  • Received : 2010.08.30
  • Accepted : 2011.07.18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Nuclear power utilities should establish a site-specific groundwater monitoring program for early detection of unplanned radioactive material's releases which can occur due to degradation of systems, structures and components of the nuclear power plants in order to keep the impact of the unplanned releases on the environment and the residents as low as reasonably achievable. For this end, groundwater flow on site should be evaluated based on characterization of the hydrogeology of a site of concern. This paper aims to provide data necessary for establishing groundwater monitoring program which is currently considered at Kori nuclear power plant 1 by characterizing groundwater flow system on the site based on the existing hydrogeological studies and related documents, and by modeling tritium transpor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 groundwater flow direction was south-west and that most of groundwater entered a southern and eastern seas. Although the tritium plume also released into the sea, its rate was delayed by dewatering sump.

원전 운영자는 계통 및 기기의 열화 등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비계획적 방사성물질의 방출로 인한 환경 및 주변 주민에의 영향을 합리적으로 달성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하기 위해서 비계획적 방출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부지에 적합한 지하수 감시 프로그램을 수립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해당 부지의 수문지질 특성의 파악을 통해 지하수 유동을 평가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고리 1호기에서 계획되고 있는 지하수 감시 프로그램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고리 1발전소 부지의 기존 수문지질 조사 및 관련 자료의 조사를 통해 부지 내 지하수 유동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상의 비계획적 방출에 의한 삼중수소의 오염운(汚染雲)의 거동을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 지하수의 주 유동 방향은 남서방향이었으며 지하수의 대부분이 남쪽 및 동쪽 바다로 유입되었다. 삼중수소 오염운 역시 바다로 향하였으나 지하집수조(dewatering sump)에 의해 그 속도가 지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S. Richards, T. Frye, J. Shepherd, T. Nicholson, G. Kuzo, U. Shoop, S. Sakai, R. Allen, Liquid Radioactive Release Lessons Learned Task Force Final Report, US Nuclear Regulatory Committee (2006).
  2. Nuclear Energy Institute, Industry Ground Water Protection Initiative - Final Guidance Document (2007).
  3. 최병영, 김건영, 고용권, 신선호, 유시원, 김두행,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부지의 지구화학 특성 I. 지하수", 방사성폐기물 학회지, 6(4), pp.297-306 (2008)
  4. 박경우, 지성훈, 고용권, 김건영, 김진국,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 부지의 지하수 유동에 대한 수치 모사: 2. 처분 안전성 평가 인자", 방사성폐기물 학회지, 6(4), pp.283- 296 (2008).
  5. 박경우, 지성훈, 김천수, 김경수, 김지연,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 부지의 지하수 유동에 대한 수치 모사: 1. 지하수 유동 모델링", 방사성폐기물학회지, 6(4), pp.265-282 (2008).
  6. 지오텍컨설탄트, 한국전력기술, 고리 1호기 지하수 관측시설 설치 및 지하수 분포/수문학적 특성평가, 한국수력원자력 (2008).
  7. 손욱, 손순환, 고리 1, 2호기 부지의 수문지질 및 지하수 거동 규명을 통한 오염물질 이동 특성 평가, 한전전력연구원 (2009).
  8. Harbaugh, A. W., Banta, E. R., Hill, M. C., and McDonald, M. G. (2000). MODFLOW -2000, the U. S. Geological Survey modular ground-water model? User guide to modularization concepts and the Ground-Water Flow Process. Open-File Report 00-92. U. S. Geological Survey.
  9. R.A Freeze and J.A Cherry, Groundwater, p.604,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1979).
  10. Schulze-Makuch, D. (2005). Longitudinal dispersivity data and implications for scaling behavior, Ground Water, vol.43, no.3, pp.443-456. https://doi.org/10.1111/j.1745-6584.2005.005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