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act of Korean GSP on Greenhouse Gas Emission Reduction of Developing Countries - Focusing on Indonesia, Brazil, and Ethiopia -

한국의 GSP 공여를 통한 온실가스감축 개도국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 인도네시아, 브라질, 에티오피아를 중심으로 -

  • Kim, Min-Chul (Graduate School of Energy &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Park, Sung-Hwan (Graduate School of Energy &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Park, Jung-Gu (Graduate School of Energy &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김민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
  • 박성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
  • 박중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 Received : 2011.02.07
  • Accepted : 2011.03.08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is paper studies the impact of Korean introduction of the Generalized System of Preferences(GSP) to developing countries, which are continuously arguing to support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reducing greenhouse gas(GHG) emission with developed countries in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COP) of UNFCCC. This paper is focusing on the expecting effects of trade and GHG emission reduction when Korea provides GSP to Indonesia, Brazil, and Ethiopia, which are selected in the first session of Global Green Growth Institute(GGGI). This paper uses the methodology of the intra-industry trade index multiplied by Korean import-induced coefficients. To Indonesia, Korean probable GSP would benefit exports of Indonesian agriculture, forestry, fishery, and livestock farming industries, which would contribute to Indonesian reduction of GHG emission. To Brazil, the exports to Korea would increase in the GHG sensitive industries such as metal, fat, oils, food, and beverage industries. Ethiopia belongs to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 So Korean GSP would support the exports and GHG reduction in Ethiopian agriculture, forestry, fisheries, textiles, and leather industries. Without conflicting most favored nation treatment(MFN) principle in WTO, the introduction of GSP would be a good compensation for GHG reduction to developing countries.

본 논문은 기후변화협약 당사국회의(COP)에서 지속적으로 갈등을 빚고 있는 개도국의 대선진국 기술개발 지원요구 등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서 일반특혜관세제도(Generalized System of Preferences : GSP)의 도입가능성을 연구하였다. 한국이 GSP의 공여국이 될 경우 온실가스 감축이 예상되는 무역분야를 인도네시아, 브라질, 에티오피아 등 3개국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GSP효과를 분석하는 방법론으로는 양국간 무역경쟁을 나타내는 산업내 무역지수에 한국의 수입유발계수를 가중치로 곱한 값을 사용하였다. 분석의 결과, 한-아세안 자유무역지역(FTA) 관세율을 우선 적용받는 인도네시아의 경우 무관세가 아닌 농림 수산 목축품목에 GSP 혜택을 부여했을 때 한국으로 수출이 증가할 것이며 동분야에서 온실가스 감축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었다. 브라질의 경우 한국이 수입특화하고 있는 제1차금속, 유지, 음식료 등에서 수입량이 증가하면서 온실가스 감축이 발생할 것으로 나타났다. 에티오피아는 '최빈개발도상국에 대한 특혜관세 공여 규정'에 해당하는 최빈국이지만 특례조항에 의해 배제된 농림수산물과 섬유, 가죽 품목에서 GSP 공여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본 논문은 수혜적인 성격이 강한 GSP 공여에 대해 현재 세계무역규범 상에서는 구속력을 부여하는 방안이 없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오상, 환경경제학, 박영사, 2007, pp. 639.
  2. 김기흥, "동북아지역의 경제통합이 지속가능 무역에 미치는 영향", 국제통상연구, 제7권, 1호, 2002.
  3. 김남두, "일반특혜관세제도의 도입가능성에 관한 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6.
  4. 김인준, 국제경제론, 다산, 2008, pp. 550.
  5. 김정한, "한국의 천연가스확보를 위한 국제분업 분석", 서울산업대, 2008.
  6. 김중근, "일반특혜관세제도의 도입과 최빈개도국의 수혜조건에 관한 연구", 한국관세학회지, 2000.
  7. 대한무역진흥공사, UNCTAD/일반특혜관세제도 해설, 무공자료 91-73, 1991.
  8. 도건우, 환경규제강화와 녹색보호주의, 삼성경제연구소, 2010.
  9. 민윤기, EC의 무역장벽,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2.
  10. 박균성, 환경법, 박영사, 2008, pp. 17.
  11. 박중구, 에너지경제학, 아진, 2009.
  12. 산업연구원, "한․중․일 제조업 경쟁력 비교분석을 통한 경쟁과 협력방안 모색", 2003.
  13. 산업연구원, 2010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 Issue Paper, 2010-255, 2010.
  14. 손원익, "국제무역과 이산화탄소 배출이전효과 분석", 서울대 환경대학원, 2008.
  15. 에너지경제연구원 통계집 http://www.keei.re.kr/main.nsf/index.html
  16. 오윤경, 21세기현대국제법질서, 박영사, 2001, pp. 602.
  17. 온실가스 배출량정보 http://netis.kemco.or.kr/NRWeb/www2/sub8_2.aspx
  18. 유관영.김학기, 대일수출의 GSP 활용실태와 효과분석, 산업연구원, 1999.
  19. 윤창인, 무역․투자의 자유화와 지속가능발전,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4, pp. 45-65.
  20. 이서원, 포스트 코펜하겐 기후변화협상 시나리오, 엘지경제연구원, 2010, pp. 15.
  21. 이하규, 일반특혜관세제도, 고시계, 1987.
  22. 인도네시아 관세청, http://www.beacukai.go.id/
  23. 인도네시아 대사관, http://idn.mofat.go.kr/kor/
  24. 정재호.이명헌, "특혜관세제도 확대와 경제적 효과 연구", 한국조세연구원, 2005.
  25. 정지원.박수경,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사회의 지원: 논의동향 및 쟁점 분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 pp. 4.
  26. 정형진, 무역과노동, 법학논정, 제29호, 2008.
  27. 조미진.김민성, "최빈개도국에 대한 특혜관세제도 활용 현황 및 과제", 무역투자연구시리즈 10-0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
  28. 제갈현근, 관세법, 박문각, 2009.
  29. 채형복, "EU의 일반특혜관세제도입", 유럽연구, 제11호, 2000.
  30. 최창환, "국제교류 증대에 따른 무역분쟁 해결방안", 창업정보학회지, 2005, pp. 140.
  31. 한국무역협회 인터넷 종합무역정보, http://www.kita.net
  32. 한국은행, 2008년 산업연관표, 2010.
  33. 한진현, "기후변화협상 체제에서 산업부문에 대한 부문별 접근방식의 평가 및 대응방향", 에너지공학, 2009, pp. 248.
  34. Caglar Ozden, "The perversity of preferences : GSP and developing country trade policies,1976-2000",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78, 2005.
  35. Cees van Beers, "Perseverance of perverse subsidies and their impact on trade and environment", Ecological Economics 36, 2001.
  36. Thomas Wiedmann, Manfred Lenzen and Karen Turner and John Barrett, "Examining the global environmental impact of regional consumption activities-part2: review of input-output models for the assessment of environmental impacts embodied in trade", Ecological Economics 61, 2007.
  37. Jie Guo, Le-Le Zou and Yi-Ming Wei, "Impact of intersectoral trade on national and global $CO_2$ emissions: An empirical analysis of China and US", Energy Policy 38, 2010.
  38. Kala Krishna, "Limiting emission and trade: some basic ideas", Working Paper 16147,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010, pp. 1.
  39. Robero Schaeffer and Andre leal de sa, "The embodiment of carbon associated with brazilian imports and exports, Energy Convers. Mgmt vol. 37, 1996.
  40. United Nations, Generalized System of Preferences list of beneficiaries, UNCTAD, 2009.
  41. WTO analytical index : volume1 http://www.wto.org/
  42. WTO-UNEP, Trade and Climate Change, 2009.
  43. ZhongXiang Zhang, "The US proposed carbon tariff and China's response", Energy Policy 38,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