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ffecting Factors on Depression among Female Labor Workers

생산직 여성근로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Received : 2011.10.12
  • Accepted : 2011.11.18
  • Published : 2011.12.28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of female labor workers. In order to identify health promotion strategies and intervention program to reduce depression of female labor workers. The participants were 176 female workers of manufacturing industrie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at consisted of personal characteristics, duty related, work related characteristics and depression. Using a SPSS/WIN 17.0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procedures were employed. As follows on the results; In Correlation analysis, work intensity, work concentration, vibration, work difficulty and job str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In multiple Regression, work intensity and work difficulty were significantly explained by depression. Given the findings, Do nevertheless support the need to develop effective depression intervention programs to reduce factors which work related condition and depression.

본 연구는 생산직 여성 근로자의 우울정도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근로자의 우울감소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건강증진 전략에 기초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여성 근로자 17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일반적 특성, 작업관련 특성, 우울에 관하여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작업강도, 작업시 요구되는 집중도, 진동여부, 작업수행의 어려움 정도, 작업 스트레스는 우울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물리적 작업환경은 우울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대상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는 작업강도, 작업수행의 어려움 정도가 우울수준을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근로자의 우울감소를 위한 작업조건과 효과적인 우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index.go.kr/egams/index.jsp.
  2. 김혜련, "계정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 인구집단별 건강관리," 보건복지포럼, 2006.
  3. C. Ogiwara, H. Tsuda, T. Akiyama, and Y. Sakai, "Gender-related stress among Japanese working women," Transcultural Psychiatry, Vol.45, No.3, pp470-88, 2008. https://doi.org/10.1177/1363461508094677
  4. J. L. Wang. A. Laesage, N. Schmitz, and A. Drapeau,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stress and mental disorders in men and women:Findings from a population-based study,"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Vol.62, No.1, pp.42-47, 2008. https://doi.org/10.1136/jech.2006.050591
  5. 김현주, "직무만족과 작업오류행동에 미치는 스트레스 효과에 대한 집단성 지각과 내외통제 성향의 중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6. 이명선, "작업환경과 근로조건의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대한보건협회지, 제17권, 제2호, pp101-10, 1991.
  7. 이경용, "NOISH 작업스트레스 조사표의 신뢰도와 타당도", 보건과 사회과학, 제8권, pp.57-112, 2000.
  8. D. J. Conti and W. N. Burton, "The economic impact of depression in a workplace," Journal of Occupation Medicine, Vol.36, pp.983-988, 1994.
  9. 우종민,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 한국직무스트레스학회창립기념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pp.49-68, 2004.
  10. 박경옥, "작업환경 및 근무조건 특성과 제조업 근로자의 스트레스 증상간의 관련성",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30, No.3, pp.272-82, 2004
  11. R. C. Kessler, C. Burber, H. G. Bimbaum, R. G. Frank, P. E. Greenberg, R. M. Rose, "Depression in the workplace:Effects on short-term disablilty," Health Affairs, Vol.18, pp.163-167, 1999. https://doi.org/10.1377/hlthaff.18.5.163
  12. 이복임, "대인접객서비스 근로자의 성별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한국산업간호학회지, Vol.18, No.2, pp.232-239, 2009.
  13. M. M. Weissman, B. Z. Locke, "Comparison of a self-report system rating scale(CES-D) with standardized depression rating scales in psychiatric populations," Am J Epidemiol, Vol.102, No.5, pp430-431, 1975.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aje.a112183
  14. 오영아, 이명선, 이경용, "제조업근로자의 작업환경인지도와 스트레스와의 관련성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제4권, 제3호, pp301-314, 2002.
  15. 정은순, "중년여성의 우울증과 폐경증후군과의 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3, No.2, pp.230-240, 1997.
  16. 한수정, "소규모 사업장 여성근로자의 우울, 자아존중감과 건강실천행위", 한국보건간호회지, Vol.16, No.2, pp.454-488, 2002.
  17. 임혜연, "남성 생산직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8. 이규선, 이동배, 권인선, 조영채. "소규모 제조업 남성 근로자의 수면의 질, 직무 스트레스 및 피로와 우울과의 관련성",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23, No.2, pp.99-111, 2001.
  19. L. A. Simmons and J. E. Swanberg,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US workers," Socio Psychiatry Epidemiology, Vol.44, No.6, pp.628-635, 2009. https://doi.org/10.1007/s00127-008-0479-x
  20. 박형인, "근로자가 지각한 우울, 자기 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작업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생산직 근로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1. E. R. Blackmore, S. A. Stansfeld, I. Weller, S. Munce, M. Brander, M. S. Zagorski, and D. E. Stewart, "Work stress and depression in working me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97, No.11, pp.2088-2093, 2007. https://doi.org/10.2105/AJPH.2006.104406
  22. J. J. Cho, J. Y. Kim, S. J. Chang, N. Fiedler, S. B. Koh, B. F. Crabtree, D. M. Kang, Y. K. Kim, Y. H. Choi, "Oc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in Korean employees," International Archieved Occupational Environment Health, Vol.82, No.1, pp.47-57, 2008. https://doi.org/10.1007/s00420-008-0306-4
  23. 박규철, 이경종, 박재범, 민경복, 이규원. "한 자동차 회사의 남성 사무직 근로자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불안 및 스트레스 증상과의 관련성", 대한산업의학회지, Vol.3 pp.215-224, 2003.
  24. 이영화, 임왕규. "직무스트레스가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소재 재가노인 방문요양시설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9, pp.414-428, 2011.
  25. 이희연, 전혜성, "중년여성의 삶의 기대, 마음챙김,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7, pp.275-284, 2011.
  26. S. Park, K. Min, S. Chang, H. Kim and J. Min, "Job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emplyees: The effects of culture on work," International Arch of Occupational and Enviromnetal Health Vol.82, pp.397-405, 2009. https://doi.org/10.1007/s00420-008-0347-8
  27. J. Shigemi, Y. Mino, T. Ohtus, and T. Tsuda, "Effects of perceived job stress on mental health. A longtitudinal survey in a Japaneses electrinics company," Europian Journal of Epidemiology, Vol.16, No.4, pp.371-6, 2000. https://doi.org/10.1023/A:1007646323031
  28. M. Melchior, A. Caspi, B. J. Milne, A. Danese, R. Poulton, and T. E. Moffitt, "Work stress precipitates depression and anxiety in young, working women and men," Psychological Medicine, Vol.37, No.8, pp.1119-29, 2007. https://doi.org/10.1017/S0033291707000414

Cited by

  1. Depressive Symptom and Related Factors: A Cross-Sectional Study of Korean Female Workers Working at Traditional Markets vol.14, pp.12, 2017, https://doi.org/10.3390/ijerph14121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