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 1994.
- 홍종관, "대구 지하철 화재 사망자 유가족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관한 연구", 정서․행동장애 연구, 제21권, 제1호, pp.140-141, 2005.
- 유양숙,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가진 가족을 위한 개입", 사회과학연구, 제4권, 제1호, pp.225-274, 1997.
- R. L. Greene and J. D. Lindy,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victims of disasters,"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Vol.17, No.2, pp.301-309, 1994(6).
- I. V. E. Carlier, R. D. Lamberts, and B. P. Gersons, "Risk factors for posttraumatic stress symptomatology in police officers: a prospective analysis,"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Vol.185, No.8, pp.498-506, 1997. https://doi.org/10.1097/00005053-199708000-00004
- H. M. Robinson, M. R. Sigman, and J. P. Wilson, "Duty-related stressors and PTSD symptoms in suburban police officers," Psychological Reports, Vol.81, pp.835-845, 1997.
- Ben Gree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UK police officers," Current Medical Research and Opinion, Vol.20, No.1, p.101, 2004(1). https://doi.org/10.1185/030079903125002748
- W. H. Kroes, B. Margolis, and J. J. Hurrell, Jr., "Job stress in policemen," Journal of Police Science and Administration, Vol.2, pp.145-155, 1974.
- C. D. Spielberger, L. G. Westberry, K. S. Grier, and G. Greenfield, The Police Stress Survey: Sources of Stress in Law Enforcement, Human Resources Institute, Tampa, FL, 1981.
- M. Horowitz, N. Wilner, W. Alvarez, "Impact of event scale : A measure of subjective stress," Psychosom Med, Vol.41, pp.209-218, 1979. https://doi.org/10.1097/00006842-197905000-00004
- S. Joseph, "Psychosomatic evaluation of Horowitz's impact of event scale : a review," Journal of Trauma Stress, Vol.13, pp.101-113, 2000. https://doi.org/10.1023/A:1007777032063
- J. B. Frank, T. R. Kosten, and E. L. Giller, "A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phenelzine and imipramine for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45, pp.1289-1291, 1998.
- D. S. Weiss and C. R. Marmar,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n : J. P. Wilson, T. M. Keane, Assessing Psychological Trauma and PTSD, New York : Guilford Press, pp.399-411, 1997.
- 은헌정, "한국판 사건충격척도 수정판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제44권, 제3호, pp.303-304, 2005.
- 신성원, "경찰관의 가치관이 경찰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8호, pp.376-383,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8.376
- Riddle, Robin Thomas, The Relation Between Life Stress, Work Stress, and Traumatic Stress and Burnout and Cynicism in Police Officers, United States International University, Dissertation for Ph.D., pp.64-67, 1999.
- 신성원, 경찰공무원의 일상적.직업적 경험이 스트레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최수찬, "기업근로자의 사회심리적 당면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보, 제6권, 제1 호, pp.71-103. 2004
- 박해응, 최수찬, "근로자의 스트레스가 우울, 자아존중감, EAPs 욕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사회복지연구, 제12권, p.6, 2005.
- 연합뉴스, 2009년 5월 6일자.
- 신성원, "경찰공무원의 자살에 관한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제7권, 제1호, pp.61-82, 2011.
- 신성원, 경찰공무원의 일상적.직업적 경험이 스트레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이옥정, 경찰관의 외상성 사건 경험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증상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황인희,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및 외상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권순찬, "일개 소방서 소방관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및 관련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제20권, 제3호, pp.193-204, 2008
- 최혜경, 소방공무원의 외상사건경험이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증상, 정서적 탈진, 신체증상, 사회및 직업기능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김윤정,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Cited by
- Comparison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ccording to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mong Police Officers vol.12, pp.9,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9.211
- Post Traumatic Stress and Related Factors in Some Hand Replantation Patients vol.16, pp.1, 2016, https://doi.org/10.15384/kjhp.2016.16.1.67
-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police officers in Republic of Korea: a cross-sectional study vol.6, pp.3, 2016, https://doi.org/10.1136/bmjopen-2015-009937
- Factors Influencing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Crime Scene Investigators vol.47, pp.1, 2017, https://doi.org/10.4040/jkan.2017.47.1.39
- The consequences of traumatic events on resilience among South Korean police officers vol.41, pp.1, 2018, https://doi.org/10.1108/PIJPSM-08-2016-0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