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Blind Spot Analysis for Public Transportation by Level of Service (LOS) in Public Transportation Supply Service

GIS를 이용한 시내버스와 도시철도 공급서비스 수준 측면의 대중교통 사각지대 분석에 관한 연구

  • 장경욱 (남서울대학교 첨단교통환경연구소) ;
  • 김황배 (남서울대학교 GIS공학과) ;
  • 김영석 (남서울대학교 GIS공학과) ;
  • 오재학 (한국교통연구원 글로벌녹색융합연구본부)
  • Received : 2011.03.03
  • Accepted : 2011.03.16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blind spot for public transportation by level of service(LOS) in public transportation supply service. For the purpose, we proposed indices of service coverage area, service frequency and hours of service and analysis method for them. Service coverage area analysis is to decide station location and network design for the maximum beneficiary area. Moreover, we can use the service frequency is for the maximum service frequency decision and hours of service is for the minimum operation hou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pplied to the plan of minimum supply service, minimum service frequency and minimum operation hours for city and national public transportation plan.

본 연구는 교통기본법(안)에 명시된 대중교통 사각지대 설정과 평가를 위한 3가지 평가척도를 제시하였다. 평가척도는 행정동 단위의 대중교통 노선 및 운행실태에 대한 기초 DB를 적용하여 대중교통 서비스권역, 대중교통 배차간격, 1일 총 운행시간을 각각 A-F(6등급)으로 구분하였다. 대중교통 사각지대 평가척도는 정부 및 지자체에서 대중교통 서비스 낙후지역의 최저 대중교통 공급 및 연계노선 계획, 최저배차계획, 1일 대중교통 총 운행시간 계획에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용석, 김점산, 박준식, 이창우(2007) 버스 운전기사의 직무만족도와 서비스 제공수준에 관한 실증적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5권 제1호.
  2. 김갑수, 도군섭, 권대우(2002) 버스의 서비스평가 구조모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0권 제7호.
  3. 노현수, 도철웅, 김원근, 조종석, 신성일(2005) 대중교통망 이동성 지표 개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3권 제8호.
  4. 신성일, 이창주, 조용찬(2008) 대중교통 카드 자료를 이용한 지역간 대중교통 서비스 평가 방안, 교통 기술과 정책, 제5권 제1호.
  5. 황정훈, 김갑수, 전종훈(2006) 대구시 대중교통체계 개편에 따른 이용자 통행패턴 및 시내버스 서비스 만족도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4권 제7호.
  6. TRB, TCRP report 100 part 3.
  7. CTA(2001), Chicago Transit Autho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