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Drought Risk in Gyeongsang-do Using EDI

EDI를 활용한 경상도 지역의 가뭄위험도 평가

  • 박종용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 유지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 최민하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 김태웅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0.11.22
  • Accepted : 2011.03.30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change of rainfall pattern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increases the occurrence probability of drought in Korea. Unlike other natural disasters, a drought has long duration, extensive area subject to damage, and greater socioeconomic damage than other disasters. In order to evaluate drought severity, meteorological drought indices are mainly used in practice. This study presents a more realistic method to evaluate drought severity considering drought climate factors as well as socioeconomic factors which are vulnerable to disaster. To perform a spatial evaluation of drought risk in Gyeongsang-do, drought risk was defined and analyzed through the hazard index and the vulnerability index. The drought hazard index was spatially assessed using the drought index and GIS. The drought vulnerability index was also spatially assessed using the 5 socioeconomic factors. As a result, the drought risks were compared and used for evaluating regional drought risk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of Gyeongsang-do.

최근의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패턴의 변화는 우리나라에서 가뭄의 발생확률을 증가시키고 있다. 가뭄의 발생은 다른 자연재해와는 달리 지속기간이 길고, 피해지역이 광범위하여, 사회경제적으로 겪는 피해가 다른 자연재해보다 크다. 현재 가뭄의 심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기후학적 인자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가뭄지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학적 인자를 고려한 가뭄지수와 재해에 취약한 사회경제적 요소를 고려하여 가뭄위험지도를 작성함으로써 좀 더 현실적인 가뭄평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경상도 지역에 대한 가뭄의 공간적인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가뭄위험도를 노출성 지수와 취약성 지수의 결합으로 정의하여 분석하였다. 가뭄의 노출성 지수는 가뭄지수를 이용하여 GIS를 기반으로 공간적 범위에 분포시켰으며, 가뭄의 취약성 지수는 사회경제적인 5가지 인자를 이용하여 산정하고, 표준화를 통하여 공간적 범위에 분포시켰다. 그 결과 대상지역인 경상도 내 시군구 지역별 가뭄에 대한 위험도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었으며, 같은 강도의 가뭄이 발생하여도 경상도 내 행정구역별 지역적 특성에 따라 가뭄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2) 2001년 가뭄기록조사 보고서.
  2. 건설교통부(2006a) 가뭄관리정보체계 수립보고서.
  3. 건설교통부(2006b) 수자원장기종합계획.
  4. 경민수, 김병식, 김형수(2009) 기후변화가 한반도 가뭄에 미치는 영향평가. 2009년도 한국수자원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457-1461.
  5. 국립기상연구소(2008) 기후변화협약대응 지역기후시나리오 활용기술개발(IV).
  6. 권형중, 김성준(2007) 국가 지하수 관측망 자료를 이용한 가뭄평가 방법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 2B호, pp. 197-199.
  7. 김경탁, 박정술(2009) 가뭄모니터링을 위한 MODIS NDVI의 활용성 평가 : 가뭄지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GIS학회지, 한국GIS학회, 제17권, 제1호, pp. 117-129.
  8. 김기훈, 최기선, 변희룡(2005) PDSI와 Effective Drought Index의 비교.검증 연구. 2005년도 한국기상학회 정기학술대회논문집, 한국기상학회, pp. 224-225.
  9. 소방방재청(2009) 국가 가뭄재해정보시스템 시범개발.
  10. 안소라, 권형중, 박종윤, 김성준(2009) 농업용 저수지의 수문학적 가뭄평가. 2009년도 한국수자원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68-73.
  11. 유지영, 최민하, 김태웅(2010) 한반도 가뭄모니터링을 위한 MODIS LST 영상자료의 활용. 2010년도 한국방재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한국방재학회, pp. 350-353.
  12. 이주헌, 정상만, 김성준, 이명호(2006) 가뭄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I. 정량적 가뭄모니터링을 위한 가뭄지수의 적용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9호, pp. 787-800.
  13. 정종호, 윤용남(2009) 수자원설계실무. 구미서관.
  14. 한국수자원공사(2002) 가뭄관리 종합대책 수립연구.
  15.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9) 기후변화 적응 강화를 위한 사회기반시설의 취약성 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16. Byun, H.R. and Wilhite, D.A. (1999) Objective quantification of drought severity and duration, Journal of Climate, Vol. 12, Issue 9, pp. 2747-2756. https://doi.org/10.1175/1520-0442(1999)012<2747:OQODSA>2.0.CO;2
  17. Downing, T.E. and Bakker, K. (2000) Drought discourse and vulnerability. Drought: A Global Assessment, Wilhite D.A. Ed., Routledge Publishers, UK.
  18. Goddard, S., Harms, S.K., Reichenbach, S.E., Tadesse, T., and Waltman, W.J. (2003) Geospatial decision support for drought risk management.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46, No. 1, pp. 35-37.
  19. Hayes, M.J., Wilhelmi, O.V., and Knutson, C.L. (2004) Reducing drought risk: bridging theory and practice, Natural Hazards Review, Vol. 5, No. 2, pp. 106-113. https://doi.org/10.1061/(ASCE)1527-6988(2004)5:2(106)
  20. Knutson, C., Hayes, M., and Phillip, T. (1998) How to reduce drought risk. A guide prepared by the preparedness and mitigation working group of the western drought coordination council. National Drought Mitigation Center, Lincoln, Nebraska.
  21. Shahid, S. and Behrawan, H. (2008) Drought risk assessment in the western part of Bangladesh, Natural Hazards, Vol. 46, No. 3, pp. 391-413. https://doi.org/10.1007/s11069-007-9191-5
  22. Tsakiris, G., Pangalou, D., and Vangelis, H. (2006) Regional drought assessment based on the Reconnaissance Drought Index(RDI).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21, No. 5, pp. 821-833.
  23. UNDP (2005) Adaptation Policy Frameworks for Climate Change: Developing Strategies, Policies, and Measur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USA.
  24. Wisner, B., Blaikie, P.M., Davis, I., and Cannon, T. (1994) At Risk: Natural Hazards, People's Vulnerability, and Disasters. Routledge Publishers, New York.
  25. Wilhite, D.A. (2000) Drought as a natural hazard: Concepts and definitions. Drought: A Global Assessment, Wilhite, D.A. Ed., Routledge Publishers, UK.
  26. Wu, H. and Wilhite, D.A. (2004) An operational agricultural drought risk assessment model for Nebraska. Natural Hazards, Vol. 33, No. 1, pp. 1-21. https://doi.org/10.1023/B:NHAZ.0000034994.44357.75
  27. Wu, H., Hubbard, K.G. and Wilhite, D.A. (2004) An agricultural drought risk-assessment model for corn and soybean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24, No. 6, pp. 723-741. https://doi.org/10.1002/joc.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