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1,300 MPa급 고장력볼트의 나사형상 개선 및 성능평가

Evaluation of Structural Performance and Improvement of Screw Thread Shape on 1,300 MPa High Strength Bolts

  • 한종욱 (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김진호 (강구조연구소 건축해양연구본부) ;
  • 박영석 (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투고 : 2011.01.03
  • 심사 : 2011.04.26
  • 발행 : 2011.06.30

초록

각국 강구조물 시공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고장력볼트의 인장강도는 1,000 MPa급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고강도강과 극후판의 개발과 강교량 건설기술의 발전에 따른 교량 지간의 장대화로 인하여 강도가 큰 새로운 볼트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인장강도 1,300 MPa급의 고장력볼트가 개발되어 사용중에 있다. 그러나 고장력볼트는 작은 단면에 큰 하중이 작용하기 때문에 고강도볼트에서는 응력집중이 완화된 나사형상과 구조성능이 우수한 고장력볼트가 보다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KS에서 규정된 나사형상보다도 우수한 나사형상을 개발하기 위하여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나사형상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여 볼트와 너트 체결시에도 하중분배가 효과적이고 응력집중이 완화된 신나사형상을 제안하였다. 또한, 실험적 연구에서는 인장강도 1,300 MPa급의 고장력볼트를 대상으로 구조성능에 대해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신나사형상이 기존의 나사형상보다도 응력집중 완화효과와 구조성능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Although high strength bolts with tensile strength of 1,000 MPa are mainly used in steel structure construction sites throughout the world, new high strength bolts are required owing to the installation of continuous long-span bridges resulting from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high strength steel and ultra-thick steel plates. Currently, high strength bolts with tensile strength of 1,300 MPa are being used. However, as they tend to place a large load on a small section of space, a high strength bolt of high structural performance and screw thread shape with less stress concentration is thought to be more effective. This study conducted analyses in order to develop an improved screw thread shape relative to the KS screw thread shape. A new screw thread shape with less stress concentration and effective load distribution at the time of fastening bolts and nuts was provided upo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screw thread shape. Additionally, in an experimental study,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high strength bolts with tensile strength of 1,300 MPa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new screw thread shape was more effective than the existing screw thread shape in terms of structural performance and mitigating the stress concentr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해양부(2010) 도로교설계기준, 한국도로교통협회.
  2. 김진호, 김원기(2005) F13T급 고력볼트 기술개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5권 1호, pp. 71-113.
  3. 이덕락, 최해창, 이상윤, 최상우, 김진호, 박재철(2004) 1300MPa급 고강도 볼트 개발현황, 한국강구조학회지, 한국강구조학회, 제16권 2호, pp. 18-23.
  4. 포항산업과학연구원(2002) 차세대 고강도볼트 연구, 기술보고서.
  5. 포항산업과학연구원(2005) F13T급 고력볼트 실용화 기술개발, 기술보고서.
  6. 한국표준협회, KS B 1010(2004) 마찰접합용 고장력 6각 볼트.6각 너트.평와셔의 세트, pp. 1-19.
  7. 한종욱, 박영석(2008) 고장력볼트의 인장피로강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2A호, pp. 165-170.
  8. AASHTO LRFD (2007) Bridge Specifications-US, 4th Edition.
  9. Nair, R.S., Birkemoe, P.C., and Munse, W.H. (1974) High strength bolts subjected to tension and prying, Journal of the Structural Division, ASCE, Vol. 100, ST2.
  10. Bouwman, L.P. (1979) Fatigue of bolted connections and bolts loaded in tension, Report No. 6-79-9, Stevin Laboratory, Delft, the Netherlands.
  11. Geoffrey Kulak and Fisher, J.W. (1987) Guide to Design Criteria for Bolted and Riveted Joints, 2nd edition.
  12. LUSAS(2005) Power FE Technology for Specialist Applications, Element Reference Manual 1(Ver. 13.7), pp. 143-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