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건설산업에서의 Supply Chain Management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안 연구

Development of Supply Chain Management Education Programs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 이태식 (한양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 박은수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 이동욱 (제주대학교 토목공학과(해양과환경연구소))
  • 투고 : 2010.12.30
  • 심사 : 2011.03.02
  • 발행 : 2011.04.30

초록

Supply Chain Management는 제조업에서 부가가치의 60~70%가 제조과정 외부의 Supply Chain(공급체인망) 상에서 발생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 기업 간의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효율적인 프로세스 형성을 위해 비용 및 공정 개선을 위한 노력이 선행되고 있으며, 고객지향, 고객만족, 시장요구에 대한 적응을 위해 공급체인의 혁신을 위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현 건설산업에서는 협력업체와의 계급적인 구조 문제와 협력업체와의 관계 개선을 위한 의식부족 등으로 인해 SCM의 적용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건설산업에서도 제조업과 마찬가지로 일부특성상의 상이점이 있지만, SCM의 적용을 통해 건설산업에서의 효율적인 업무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다양한 SCM 연계활동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건설산업 분야에서의 SCM 전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건설 SCM 전문가의 육성과 함께 건설 SCM의 적용을 위한 활성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In the process of supply chain management (SCM), the supply chain outside of the production line contributes up to 60~70% of value added. Faced with ever increasing competition, companies are exercising the efforts for cost reduction and process improvement. At the center of the efforts is the reengineering of supply chain for the improvement of customer orienta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spite of the need, the contractual hierarchy with subcontractors stands in the implementation of SCM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lthough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its own unique characteristics, The process of SCM can be adopted into the industry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business process. This study presents the methods that can foster SCM professionals through the development of SCM professional education contents, and suggests the activations for applying construction SCM.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상우, 김진규, 김옥규(2005) 건설 e-SCM 활성화 방안, 2005 한국건설관리학회 전국대학생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pp. 224-225.
  2. 문성곤, 이주성, 유승규, 김재준(2009) 건설 산업을 중심으로 한협력 산업과의 관계 분석, 한국건축시공학회 2009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건축시공학회, 제9권, 제1호, pp. 150-153.
  3. 박상혁, 김예상, 진상윤(2003) 건설 산업에서의 공급사슬관리 (SCM)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4권, 제3호, pp. 87-88.
  4. 신삼철(2006) 국내외 조달환경 변화에 따른 관련기관의 새로운 역할, 한국구매조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초청강연, 한국구매조달학회, pp. 13-15.
  5. ISM (2009) SCM education university list,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Tempe, Arizona.
  6. 기타 국내 및 국외 대학 교육과정 사이트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