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극치강수량의 시공간적 특성 분석 및 지역화에 관한 연구

Analysis on Spatio-Temporal Pattern and Regionalization of Extreme Rainfall Data

  • 투고 : 2010.08.02
  • 심사 : 2010.11.16
  • 발행 : 2011.02.28

초록

강수량은 시공간적으로 변화하는 수문변량으로서 강수량의 시간적인 특성 또한 강수량의 특성을 정의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극치강수량의 지역빈도해석을 위한 범주화 과정에서 기존의 강수량과 관측소 위치좌표만을 이용한 범주화를 통해 해결할 수 없는 강우 발생의 계절적 변화와 집중에 대한 고려를 반영하기 위하여, 기존의 양적 범주화 과정에 시간적인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요소로서 극치강수량 발생 시기 통계치를 활용할 수 있는 범주화 과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극치강수량의 발생 시기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한 순환통계기법을 이용하여 관측 지점별 시간 통계량을 산정하고, 이를 극치강수량과 결합하여 시 공간적인 특성자료를 생성한 후 수정 K-means 방법을 이용하여 군집화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전국을 다섯 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기존의 양적 범주화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발생 시간 통계치를 결합한 범주화 결과가 지형 및 권역을 반영하는 결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The spatio-temporal pattern in precipitation is a significant element in defining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In this study, a new scheme on regionalization utilizing temporal information was introduced on the basis of existing approaches that is mainly based on simple moments of data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Given the identified spatio-temporal pattern, this study was extended to characterize regional pattern of annual maximum rainfall over Korea. We have used circular statistics to characterize the temporal distribution on the precipitation, and the circular statistics allow us to effectively assess changes in timing of the extreme rainfall in detail. In this study, a modified K-means method was incorporated with derive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extreme rainfall in order to better characterize hydrologic pattern for regional frequency analysis. The extreme rainfall was reasonably separated into five categories that considered most attributes in both quantitative and temporal changes in extrem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approach is a promising approach for regionalization in term of physical understanding of extreme rainfall.

키워드

참고문헌

  1. 경민수, 김상단, 김보경, 김형수(2007) 군집분석을 통한 가뭄의 가뭄심도-가뭄면적-가뭄지속기간곡선의 작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3B호, pp. 267-276.
  2. 권현한, 이정주(2010) 순환통계 분석을 통한 강수량 시계열의 시공간적 변동성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30권, 제2B호, pp. 191-198.
  3. 김상욱, 이길성(2008) Bayesian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저수량(Low flow) 지역 빈도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3호, pp. 325-340.
  4. 박상우, 전병호, 장석환(2003) 다변량 분석기법에 의한 지점강우의 권역화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제5호, pp. 879-892.
  5. 신현석, 박무종(1999) 신경망을 이용한 우리나라의 시공간적 가뭄의 해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2권, 제1호, pp. 15-29.
  6. 오태석, 문영일, 오근택(2008) 군집분석과 변동핵밀도함수를 이용한 지역빈도해석의 확률강우량 산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2B호, pp. 225-236.
  7. 윤용남, 박무종(1997) L-Moment 법을 이용한 월 강우량 자료의 지역가뭄빈도 해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0권, 제1호, pp. 55-62.
  8. Berens, P. (2009) CircStat: A MATLAB Toolbox for Circular Statistics,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Vol. 31, Issue 10. ISSN: 1548-7660.
  9. Fisher, N.I. (1995) Statistical Analysis of Circular Data. Revise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Hartigan, J.A. (1975) Clustering Algorithms, Wiley. MR0405726. ISBN: 0-471-35645-X.
  11. Hosking, J.R.M. and Wallis, J.R. (1997) Regional Frequency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Jammalamadaka, S.R. and Sengupta, A. (2001) Topics in Circular Statistics, World Scientic.
  13. Khan, S.S. and Ahmad, A. (2004) Cluster center initialization algorithm for K-means clustering, Pattern Recognition Letters, Vol. 25, No. 11, pp. 1293-1302 https://doi.org/10.1016/j.patrec.2004.04.007
  14. Magilligan, F.J. and Graber, B.E. (1996) Hydroclimatological and geomorphic controls on the timing and spatial variabiity of floods in New England, USA,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178, pp. 159-180.
  15. Pewsey, A. (2004) The Large-Sample Joint Distribution of Key Circular Statistics, Metrika, Vol. 60, No. 1, pp. 2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