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기오염을 고려한 도시의 환경적 수용력 산정 연구

An Assessment of Environmental Carrying Capacity by Analyzing the Emission and Concentration of Urban Atmospheric Pollutants

  • 투고 : 2011.08.16
  • 심사 : 2011.10.25
  • 발행 : 2011.10.30

초록

도시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수도권의 주요도시는 환경문제를 겪고 있다. 이 중 대기오염은 도시민들이 신체적 경제적 피해를 받고 살아가게 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인간활동으로 인해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을 도시환경이 어느 정도 수용가능한지 예측하고, 이를 통해 적정 도시개발 수준을 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에 따라 대기오염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날 것이란 전제 하에, 경기도 과천시를 대상으로 대기환경기준 하에서 허용가능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산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적정 인구규모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DW 보간법을 통해 일산화탄소(CO), 이산화질소($NO_2$), 아황산가스($SO_2$) 농도를 추정한 결과 과천시 전체적으로는 대기환경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기오염물질 배출량과 농도와의 상관분석 결과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질소($NO_2$) 농도는 이동오염원과 총오염원, 아황산가스($SO_2$) 농도는 이동오염원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귀분석을 통해 대기환경기준 하에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산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탱가능한 인구수를 산정한 결과, 일산화탄소(CO)의 경우 지탱가능인구수가 실제 인구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이산화질소($NO_2$)와 아황산가스($SO_2$)의 경우는 주거지와 상업시설이 밀집된 도심부와 경계부에서 지탱가능한 인구수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시도된 환경용량 측정은 대기환경기준 하에서 어느 정도의 인간활동이 적절한 수준인지를 제시해 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도시환경이 지니는 용량의 범위 내에서 개발행위를 관리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Indiscreet developments cause environmental problems in major cities of Seoul Metropolitan Area. Among the environmental problems, the air pollution leads the citizens' physical and economic damages. Therefore, it needs to predict how much air pollutant which is emitted from human activities can be carried by urban environment, then to examine the reasonable level of urban development This study assumed that the air pollution is represented differently by the amount of emission. With the assumption, the acceptable air pollutant emission which keeps the air quality under the environmental standard is estimated, then the proper population is calculated in the case of Gwacheon, Gyeonggi. The result is as follow: First, air pollution concentrations of CO, $NO_2$, $SO_2$ which are estimated by using IDW interpolation of GIS don't excess the air environmental standard. Second,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ir pollutant emission and air pollution concentration shows that CO and $NO_2$ has high correlationship with total source of pollution and linear source of pollution, and $SO_2$ with linear source of pollution. Third,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the acceptable population is bigger that the real population in the case of CO, and with the estimation of $NO_2$ and $SO_2$, the current population in the urban center and boundaries where the residential and commerce land uses are concentrated is bigger than the acceptable population. The conseque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estimation of carrying capacity can suggest the acceptable human activities which keep the air quality under the environmental standard. This can leads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by control the human activities under the carrying capacity of urban environ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경기개발연구원(2003), 경기도지역 대기오염의 사회적 비용 추정 및 적정 수준 달성방안.
  2. 고성석(2001), "건설안전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16(4): 140-146.
  3. 김선희(1999a), "환경용량평가의 동행과 과제(상)", 월간국토, 9.
  4. 김선희(1999b), "환경용량평가의 동행과 과제(하)". 월간국토, 10.
  5. 김운수(2001), "기후특성을 고려한 도시계획제도의 도입과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2(1): 1-21.
  6. 대기환경연구회(2001), 대기환경개론, 도서출판 동화기술.
  7.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9), 서울시 환경용량 평가에 관한 연구.
  8.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0), 서울시 환경용량 평가에 관한 연구 II.
  9. 오성남(2000), "서울지역의 지형 및 토지이용도에 따른 3차원 바람장 산출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36(2): 229-244.
  10. 오규식(1996), "도시경관의 시각적 한계수용능력(VTCC)설정과 그 활용", 국토계획, 31(2): 97-110.
  11. 오규식, 정연우, 이동근, 이왕기(2002),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을 달성하기 위한 통합적 도시 수용력 평가체계 수립", 국토계획, 37(5): 7-26.
  12. 오규식, 구자훈, 조창제(2005), "도시형태 구성요소가 지역별 대기오염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40(3): 159-170.
  13. 우완기, 손종렬, 손부순(2007), 대기오염개론, 신광문화사.
  14. 윤오섭(1999), 환경학, 세진사.
  15. 이호철(2002), "상.하수도 시설의 도시 환경적 수용력 측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정순오(1983), "환경계획이론으로서의 수용능력의 개념과 응용 방법", 한국조경학회지, 11(2): 193-210.
  17. 정연우(2004), 수용력 개념에 기초한 도시의 개발가능밀도 평가 : 환경 및 시설수용력 분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정회성, 변병설(2003), 환경정책의 이해, 박영사.
  19. 정회성(1995), "오염허가증 거래제도와 활용방안 환경정책", 환경행정, 3(1): 27-51.
  20. 최막중, 김진유(1999), "기반시설 제약조건하에서의 도시개발용량과 토지이용밀도", 국토계획, 34(3): 61-72.
  21. 최영국(1999), "환영용량의 허와 실", 월간국토, 4.
  22.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1997), 외국의 대기오염관리 성공사례 및 정책적 시사점.
  23.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2), 사업장 질소산화물 저감기술의 평가 및 비용분석.
  24. 환경부(2006), 환경백서.
  25. 환경부(2004), 대기환경연보 2000.
  26. Catton, W.R., Jr. (1987), The world's most polymorphic species: carrying capacity transgressed two ways, Bioscience, 37: 413-419. https://doi.org/10.2307/1310565
  27. Chung, S. (1988), "A conceptual model for regional environmental planning centered on carrying capacity measures", The Korean journal of Regional Science, 4(2): 117-128.
  28. Godschalk, D.R. and N. Axler (1977), Carrying capacity applications in growth management: a reconnaissance, Washington, DC, Department of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
  29. Godschalk, D.R. and F.H. Parker (1975), "Carrying capacity: a key to environmental planning?",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30(July-August): 160-165.
  30. Kozlowski, J.M. (1990), "Sustainable development in professional planning: a potential contribution of the EIA nd UET concept",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9: 307-332. https://doi.org/10.1016/0169-2046(90)90040-9
  31. Lin (2002), The application of GIS to air quality analysis in Taichung City, Environmental Modeling & Software, 17: 11-19. https://doi.org/10.1016/S1364-8152(01)00048-2
  32. Onishi, T. (1994), "A capacity approach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the regional Studies Association, 28(1): 39-51. https://doi.org/10.1080/00343409412331348056
  33. Seinfeld, J.H., and S.N. Pandis (1998),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From Air Pollution to Climate Change, John Wiley & Sons, New York.
  34. Wackernagel, M. and W.E. Rees (1996), Our ecological footprint: reducing human impact on the earth, Canada, New Society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