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Business Model & Feasibility Analysis of the Han-Ok Residential Housing Block

한옥주거단지 사업모델구상 및 타당성 분석

  • Received : 2011.09.15
  • Accepted : 2011.10.24
  • Published : 2011.10.30

Abstract

This study is to derive a project model based on potential demand for Korean-style houses, focusing on new town detached housing sites that LH supplies and to test validity of the derived model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supply methods of the projects. The existing high-class new town Korean-style housing developments that have been considered were found to have little business value due to problems in choice of location and discordance of demand, so 6 types of projects were established through the methods of changes in planned scale, combined use, and subdivision of plot of land based on the results of survey. The type that has the highest business value among the project models was block-type multifamily houses, and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increase in total construction area leading to increase inrevenues of allotment sales due to economies of scale. The feasibility of mass housing model in which small-scale Korean-style houses are combined with amenities was found to be high, and if the same project conditions as those of the block-type multifamily houses are applied, the business value of the Korean-style tenement houses was found to be high. Besides, the high-class housing models within block-type detached housing areas are typical projects that the private sector generally promotes, and the construction cost was found to be most expensive with 910 million won per house. In order to enhance the business value of the Korean-style housing development, collectivization such as choice of location, diversification of demand classes, optimization of house sizes, and combination of uses is needed. And in order to adopt Korean-style houses in the detached housing sites, the adjustments and division of the existing planned plots are needed, and the strategies to cope with new demand through supplying Korean-style housing types of sites can be suggested. Also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uniform residential development methods, the development method through supplying original land that is natural land not yet developed besides basic infrastructures (main roads and water and sewage) can be considered, and as the construction of more than 1~2 stories building is impossible due to the structure of Korean-style house roof and furniture. So it can be suggested that original land in the form of hilly land is considered to be most suitable to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주택에 대한 수요가 다변화되면서 최근 한옥주택 및 한옥주거단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기존에 한옥이 밀집한 지역을 중심으로한 정비사업 뿐만 아니라, 대규모 택지개발지구등에서도 한옥주택과 주거단지 개발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본격적인 사업화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LH가 공급하는 신도시의 단독주택용지와 특성화용지등을 대상으로 하여 한옥의 잠재적 수요계층을 바탕으로 사업모델을 도출하고 사업모델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여 향후 사업화를 위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에 검토되었던 고급형 타운하우스 형태의 한옥주거단지는 입지선정, 수요불일치 등으로 인하여 사업성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설문조사 결과등을 바탕으로 계획규모변경, 용도혼합, 필지세분화등의 방법을 통해 사업유형을 6가지로 설정하였다. 사업모델 중에서 가장 사업성이 높은 유형은 블록형 집합주택으로, 이는 규모의 경제법칙(Ecnomy of Scale)에 따른 건축연면적의 증가가 분양수입의 증대로 이어진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소규모 한옥과 근생시설이 결합한 공동주택 모델의 타당성도 높게 나타났으며, 블록형 집합주택과 같은 동일한 사업조건을 적용한다면, 한스타일 공동주택의 사업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밖에 블록형 단독주택지내 고급주택 모델은 민간부문이 일반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대표적인 사업유형으로서, 1호당 건설비용이 9.1억원으로 가장 많은 비용이 투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옥주거단지 사업성 제고를 위해서는 입지선정, 수요계층의 다양화, 주택규모의 적정화, 용도혼합등을 통한 집합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단독주택용지에 한옥주택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필지계획의 조정과 분할이 필요하며, 한옥형 용지등의 공급을 통해 새로운 수요에 대응하는 전략도 제안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획일적인 택지개발방식에서 벗어나 기초인프라(간선도로 및 상하수도)외에 조성되지 않은 자연상태의 토지인 원형지(原形地) 공급을 통한 개발방식도 검토할 수 있으며, 한옥의 지붕 및 가구구조상 1~2층 이상의 건축이 불가능하므로 경사지 형태를 갖는 원형지 공급방식의 단지조성이 토지비절감, 경관효과 등을 감안할 때 적합한 모델로 제안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도시공사(2008), 광교신도시 한옥마을 조성사업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연구.
  2. 국토해양부(2008), 한옥마을 조성방안 연구.
  3. 국토해양부(2008), 한옥건축 산업화 촉진을 위한 기술기반 구축기획 연구.
  4. 김영모 외(2000), 신수요에 부응한 전용단독주택지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5. 김지민(2007), 지속가능한 한옥개발 및 보급을 위한 수요자 의식조사 연구.
  6. 문화재청(2008), 고도보존정책에 대한 인식도 및 수요조사.
  7. 손승광(2008), "전통한옥의 도시집합주거로 발전 가능성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8. 신영숙, 조명은(2010), "한옥형 아파트 계획을 위한 소비자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9(1): 190-199.
  9. 이창재, 최일(2010), "농촌한옥의 정주성 평가 및 한옥에 대한 인식도 비교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 논문집, 12(2):77-84).
  10. 정석(2006), "북촌가꾸기 중간평가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1. 최상희 외(2011), 토지주택연구원, 신한옥주거단지 도입 및 사업모델 연구.
  12. 한국토지주택공사(2009), 신한옥마을 시범사업 시행방향 및 기준마련을 위한 연구.
  13. 황규홍(2009), 토지주택연구원, 한스타일 디자인 요소의 주거단지 적용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