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탐사를 위한 디지털 트랜스폰더 기술

Digital Transponder Technology for the Exploration of Space

  • 원영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다목적5호체계팀) ;
  • 이진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다목적5호체계팀) ;
  • 김진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다목적5호체계팀) ;
  • 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연구본부)
  • 투고 : 2010.01.13
  • 심사 : 2010.10.01
  • 발행 : 2010.11.01

초록

트랜스폰더는 지상국과 위성 사이의 텔레메트리와 텔레커맨드 운영을 위한 주요한 장비이다. 최근 트랜스폰더는 통신 방식과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따라 단순 표준화된 트랜스폰더와 데이터 릴레이 위성을 위한 소규모 사용자 트랜스폰더, 대규모 사용자를 위한 이중 모드 트랜스폰더 및 심우주 미션을 위한 심우주 트랜스폰더 등의 다양한 트랜스폰더가 개발되어 왔다. 특히 디지털 기술을 근간으로 하는 디지털 트랜스폰더 기술이 위성 통신 분야에서 주목 받고 있다. 본 논문은 다양한 트랜스폰더 기술과 기존의 아날로그 트랜스폰더 기술에 접목된 최신 기술인 디지털 트랜스폰더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Transponder is the significant equipment for the telemetry and telecommand operation between the ground station and the satellite. Recently, various transponder technology like Compact Standard Transponder(CST), Small User Transponder(SUT) for data relay satellite, Dual Mode TT&C Transponder(DMT) for large user, and Deep Space Transponder(DST) for deep space mission have been develope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and user requirements. Especially, the transponder based on the digital technology comes into the spotlight in the satellite communication field. This paper describes the various analog transponder technology and the state-of-art digital transponder technology grafted onto the existing analog transponder technology.

키워드

참고문헌

  1. E.Lopez et al., "I.S.B.T.: A new generation of compact, multimode-multimission S-band transpo nders", ESA Workshop on TTC, 2004
  2. L.Simone et al., "Digital Signal Processing for Deep Space Transponder", DSP2001 Workshop, Sesimbra, Portugal, October 2001
  3. Tomoaki Toda et al., "X-Band Deep Space Digital Transponder and Regenerative Ranging", JAXA, Research and Development Report, 2004
  4. B.Cook et al., "Development of the Advanced Deep Space Transponder", NASA, Progress Report, 2004
  5. J.Berner et al., "The NASA Spacecraft Transponding Modem", Aerospace Conference Proceedings, 2000 IEEE, Vol.7, March 18-25, 2000, pp.19209
  6. 원영진 외, "위성용 MMIC 기술 동향", 항공우주기술지, 제7권, 제1호, 2008, pp.12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