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성류굴(천연기념물 제155호)의 과학적 중요성

Scientific Significances of the Seongryu Cave (Natural Monument No. 155)

  • 투고 : 2010.01.29
  • 심사 : 2010.03.02
  • 발행 : 2010.03.30

초록

성류굴 주변에 분포하고 있는 퇴적암류를 조사한 결과 기존에 알려져 있는 바와 다르게 조선누층군에 대비되는 암석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조선누층군 중 태백층군과 대비되는 대기층, 화절층 그리고 동점층이 나타난다. 하지만 동점층 상위에 두무골층과 막골층이 나타나는 태백지역과는 달리 이 지역의 암석은 두 층군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아 근남층으로 명명하였다. 성류굴은 이 근남층 내에 발달하고 있다. 성류굴은 전체적으로 북동-남서 방향으로 발달하고 있는 수평동굴로서 동굴 내 3개 구간에 규모가 큰 호수가 분포하고 있다. 성류굴의 주굴의 길이는 약 330m, 가지굴의 길이는 약 540m로 총 연장은 약 870m이다. 이 중에서 일반인들에게 개방된 구간이 약 270m이며, 수중조사를 통해 총 약 85m의 수중구간이 발견되었다. 성류굴 내에는 종유관, 종유석, 석순, 석주, 유석, 휴석, 동굴방패, 동굴산호, 베이컨시트, 커튼과 일부구간에 동굴진주, 석화, 곡석, 부유방해석 등이 분포한다. 동굴 내로 동굴수가 지속적으로 흐르는 구간도 있으나, 대부분의 구간에는 천장으로부터 떨어지는 동굴수가 성류굴 내 동굴수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특히 국내 최초로 성류굴 내부의 수중통로 구간을 발견하였다. 이 구간에는 종유석, 석순, 유석, 석주 등의 동굴생성물이 분포하며 동굴수에 의해 침식되거나 용식된 흔적을 찾을 수 있다.

The examination of sediment distribution in Seongryu Cave shows existence of rocks contrasting with Joseon Supergroup contrary to existing knowledge. Contrasting especially with the Taeback Group, Daegi Formation, Hwajeol Formation, and Dongjeom Formation has been observed. Unlike Taeback area where Dumugol Formation and Makgol Formation are observed on top of Dongjeom Formation, the rocks of this area are not clear in its separation between the two, so that it was named Geunnam Formation. Seongryu Cave has been developed in this Ordovician Geunnam Formation of the Joseon Supergroup. The cave, mostly horizontal, runs in the NE-SW direction, and contains three lakes. The main passage and branches are about 330 m and 540 m, respectively, making the total length of the cave about 870 m (show cave area = 270 m). Through underwater examination, about 85 m-long underwater passage was newly discovered. Various speleothem such as soda straw, stalactite, stalagmite, column, flowstone, rimston, cave shield, cave coral, curtain, bacon sheet, cave pearl, cave flower, helictite and calcite raft can be found in the cave. There are sections with constant flow of cavern water, but the majority of cavern water in the cave come from the ceiling. The most important discovery in this study is the presence of various speleothem in the submerged part of cave passages. Traces of corrosion and/or erosion can be observed in the speleothem in the submerge passage.

키워드

피인용 문헌

  1. Factors controlling the air ventilation of a limestone cave revealed by 222Rn and 220Rn tracers vol.15, pp.1, 2011, https://doi.org/10.1007/s12303-011-0010-3
  2. 석회암 지역에 분포하는 동굴의 내부 온도 변동 특성 vol.53, pp.1, 2010, https://doi.org/10.22755/kjchs.2020.53.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