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천연기념물 모감주나무군락의 식생구조와 관리제언

Management Guidelines and the Structure of Vegetation in Natural Monuments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y

  • 신병철 (중부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 이원호 (문화재청 궁능문화재과) ;
  • 김효정 (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 ;
  • 홍점규 (진주산업대학교 원예학과)
  • 투고 : 2010.01.04
  • 심사 : 2010.03.02
  • 발행 : 2010.03.30

초록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모감주나무군락의 보존 관리방안을 모색하고자 식생구조와 수목의 활력도, 토양특성 및 병충해 현황 등을 분석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식생구조를 분석한 결과, 모감주나무군락(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y)은 크게 쇠무릎아군락(Achyranthes japonica Subcommunity)과 병아리꽃나무아군락(Rhodotypos scandens Subcommunity), 마삭줄아군락(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Subcommunity)으로 구분되었다. 지역별 모감주나무군락의 식생구조를 보면, 안면도 모감주나무군락은 아교목층과 초본층의 2층 구조로 구성된 반면, 포항과 완도 대문리 모감주나무군락은 교목층과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층의 4층 구조로 구성되어 있었다. 수목의 활력도 분석결과 안면도 모감주나무군락은 포항, 완도에 비해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타 지역에 비해 모감주나무군락의 층위구조가 단순하고, 경쟁수종 등이 비교적 적어 병충해 등에 취약하며, 모감주나무군락의 밀도가 높아 이로 인해 수관경쟁 등으로 나타나는 자연낙지와 수목 자체의 활력도 저하로 인한 두 가지 측면으로 볼 수 있다. 토양특성 분석결과 토성, 토양산도, 유기물, 유효인산, 치환성 양이온은 수목 생장에 양호한 수준이지만 전질소함량은 국부적으로 결핍이 심하였으나 시비에는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병충해로는 갈반병과 흰가루병 및 알락하늘소에 의한 피해가 있었으나 전체 면적의 10~15% 내외정도로 나타났고, 지속적인 예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천연기념물 모감주나무군락의 보전을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모감주나무군락지 주변의 개발로 인한 환경 악화에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지정면적의 확보가 필요하다. 특히 과거에 비해 면적이 감소된 구역의 경우 토지매입 등을 통한 지정구역의 확대 방안에 대한 검토도 필요할 것이다. 둘째, 모감주나무군락의 인위적 간섭(하예작업, 외과수술, 토양시비 등)은 군락의 유지기작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인위적 간섭에 따른 군락의 변화양상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이에 근거하여 보호사업 등이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모감주나무군락의 유지기작에 영향을 주는 유묘, 치수의 발생을 분석한 결과 과년도와 비교하여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원인 규명이 필요하다. 따라서, 모감주나무군락의 종자 결실률과 이에 따른 발아와 유묘의 추이, 종조성의 변화 등 군락의 동태 파악을 통한 적극적 관리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d vegetation structure of natural monuments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y in search of a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Plant sociological analysis of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y indicates that it can be classified into Achyranthes japonica subcommunity and Rhodotypos scandens subcommunity and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subcommunity. While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y of Ahnmyeondo is composed of sub tree layer and herb layer, those of Pohang and Wando are composed of tree layer, Sub tree layer, shrub layer, herb layer. The results of tree vitality analysis showed that those in Ahnmyeondo appeared to be relatively low when compared to those in Pohang and Wando-gun. This can be understood in two different aspects: disease and insects vulnerability due to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nd lack of competitive species, and decreased vitality / natural branch losses due to crown competition arising from high density. The result of soil characteristics analysis showed that soil texture, soil pH, organic matter, $p_2O_5$, exchange positive ion were sufficient for tree growth while total nitrogen was not, so that discretion would be needed for fertilizer application. As there were damages of disease and inscet, but only for 10~15% of the entire area; it still requires consistent preconsideration. The study suggests the management methods for preservation of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y. First, securing designated areas is necessary in order to minimize environment deterioration due to surrounding development. Especially, for sections with decreased areas, expansion of designated areas through land purchase should also be considered. Second, artificial interference may affect the livestock. Therefore, monitoring of artificial interference is necessary, based on which protection projects must be conducted. Third, from analysis of young plants which influence the maintenance mechanisms of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y, a decrease compared to the prior year was observed; investigation is needed. Therefore, an active management policy through status examination of livestock such as germination and young plants is necessar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