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New Vegetable Soybean Cultivar, 'Sangwon' with Early Maturity and High Yield

풋콩용 조숙 다수성 신품종 '상원'

  • 고종민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백인열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한원영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김현태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오기원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신상욱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박금룡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하태정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신두철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정명근 (강원대학교) ;
  • 강성택 (국립식량과학원) ;
  • 윤홍태 (국립식량과학원) ;
  • 오영진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이종형 (경기도농업기술원) ;
  • 손창기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 김용덕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 Received : 2010.09.07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Sangwon', a new cultivar for vegetable soybean,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Keunolkong' and 'Oshimamidori', and was released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in 2007. The goal to develop a vegetable soybean cultivar with green pod, early maturity, large seed size, high yield, lodging tolerance, and resistance to disease such as soybean mosaic virus (SMV). 'Sangwon' has light green pod, early maturity, large seed, short plant height, and lodging tolerance. 'Sangwon' has determinate growth habit, white flower, gray pubescence, and oval leaf shape. The matured seeds have a yellow seed coat with light brown hilum, and a yellow cotyledon. 'Sangwon' has 5.8 cm fresh pod length, 13.2mm fresh pod width, 69.5 g seed weight per 100 green seeds, 44.0% green seed protein content, and 14.8% green seed oil content. At the regional yield trials (RYT) for vegetable soybean from 2005 to 2007, 'Sangwon' shows strong resistance to soybean mosaic virus (SMV) and tolerance to lodging in fields. Fresh pods of 'Sangwon' were harvested at the beginning of August. In the same tests, fresh pod of 'Sangwon' (10.39ton/ha) yielded 5% higher than 'Hwaeomputkong' (9.90ton/ha).

풋콩용 신품종 '상원'은 1997년 황색 대립이고 극조숙인 큰올콩을 모본으로 하고 일본에서 도입된 Oshimamidori가 교배된 조합이다. 1998년부터 2002년도에 걸쳐 $F_1\;-\;F_5$세대를 계통육종법으로 전개하여 풋콩 특성이 유망하여 선발된 YS1309- 2B-4-1-1 계통으로 생산력검정시험에서 수확시기가 빠르고 도복에 강한 대립 풋콩 다수성 계통으로 유망하여 선발된 밀양154호이다. '상원'의 그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유한신육형이며 꽃은 백색이고 잎은 환형이며 모용은 회색이다. 풋꼬투리 색은 연한 녹색이며 성숙한 종피는 황색을 띠며 종자의 배꼽은 갈색이며 성숙 종자모양은 구형이다 2. 경장은 45 cm이며 개화기는 극조숙인 화엄풋콩보다 1일 늦은 6월 23일이며 풋꼬투리 수확기는 8월 5일로 같았다. 3. 도복, 내습성과 콩나방 피해율은 화엄풋콩과 비슷하다. SMV 저항성은 포장에서 비교적 강하였으나 유묘검정에서는 3개 strain에 모자이크 증상을 보였다. 4. 화엄풋콩보다 협장, 협폭 및 협 두께가 작았으며, 풋콩 100립중은 69.5g으로 3.1g 더 가벼웠다. 500g 풋꼬투리수는 173개이며 2-3협의 비율은 79.1%로 높다. 5. 풋콩의 조단백질 함량은 44.0%이고 조지방 함량은 14.8%이며 당함량은 화엄풋콩보다 낮았다. 6. 수량성은 전국 6개소에서 3개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결과, 풋꼬투리 수량은 화엄풋콩보다 5% 증수한 ha당 10.39톤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종민, 백인열, 한원영, 강성택, 김현태, 강남숙, 신두철, 정명근, 오세관, 오기원, 신상욱. 2008. 풋콩용 내도복 대립 다수성 신품종 "녹원". 한국육종학회지 40(3): 318-323.
  2. 고종민, 서득용. 2005. 풋콩. 표준영농교본-149 두류재배. 141-260. 농촌진흥청.
  3. 농촌진흥청. 2008a. 2007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 결과. 농촌진흥청.
  4. 농촌진흥청. 2008b. 2007년 하계작물 신품종개발공동연구 보고서. 농촌진흥청.
  5. 농촌진흥청. 2007. 2006년 하계작물 신품종개발공동연구 보고서. 농촌진흥청.
  6. 농촌진흥청. 2006. 2005년 하계작물 신품종개발공동연구 보고서. 농촌진흥청.
  7. 영남농업연구소. 2005 시험연구보고서. 영남농업연구소.
  8. 홍은희, 김석동, 김홍식, 윤홍태, 고문환, 류용환, 이영호, 최경진, 김욱한, 정우경. 1995. 풋콩 조생 양질 다수성 신품종화엄풋콩. 농업논문집 37(2): 131-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