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ic Analysis on a PV System in an Apartment Complex

공동주택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경제성 평가

  • Kim, Jin-Hyung (Energy & Environmental Business Center Environment Plant Team, Korean Register of Shipping)
  • 김진형 ((사)한국선급 에너지환경사업단 환경플랜트팀)
  • Received : 2010.09.07
  • Accepted : 2010.09.08
  • Published : 2010.09.29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economies of photovoltaic systems in an apartment complex of 1,185 households, in cases of feed-in tariff and subsidy for solar home program of the government. When including the revenue only from electricity sales, NPVs of subsidy and that of feed-in tariff are -560 million KRW and -87 million KRW respectively. With the avoided social cost included without the revenues from CERs, NPVs of subsidy and feed-in tariff are -556 million KRW and -84 million KRW respectively. With the revenues from CERs, NPV of subsidy is -526 million KRW and NPV of feed-in tariff is -54 million KRW. As results of sensitivity analysis based on the changes in capital costs and discount rates, while all scenarios with subsidy including the revenues from CERs are not commercially viable, all scenarios with feed-in tariff exclusive of the revenues from CERs are commercially viable when discount rate is less than 7.2% or capital cost is less than 6,840 thousand KRW/kW. In the cases that include the avoided social cost, while all scenarios with subsidy including the avoided social cost as well as the revenues from CERs are not commercially viable, all scenarios with feed-in tariff are commercially viable without the revenues from CERs when discount rate is less than 7.2% or capital cost is less than 6,856 thousand KRW/KW.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hanges in discount rates do not influence the revenues from CERs, but the revenues from electricity sale. Considering that the number of apartment complex and the positive environmental and social benefits from PV system, government needs to promote its diffusion.

본 논문은 1,185세대가 거주하고 있는 공동주택을 대상지로 하여 정부지원제도인 '태양광주택보급사업'과 '발전차액지원제도'를 각각 활용하여 PV 시스템 도입을 도입할 경우의 경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각 시나리오별 분석 결과, 수익으로 전력판매수익 만을 고려한 경우, NPV가 보조금 지원제도는 -560백만원으로 분석되었고, 발전차액지원제도는 -87백만원으로 분석되었다. 전력판매수익과 온실가스 배출권 수익을 함께 고려한 경우에도 NPV가 보조금 지원제도는 -530백만원으로 분석되었고, 발전차액지원제도는 -57백만원으로 분석되어 모두 수익성이 없는 사업으로 나타났다. PV 시스템 도입으로 인해 회피되는 대기오염물질로 인한 사회적 편익을 함께 분석한 결과도 그 편익이 미미하여 여전히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된다. 할인율과 초기비용의 변동을 기준으로 민감도 분석을 한 경우, 보조금 지원제도의 경우에는 할인율을 3%까지 낮추고, 초기 설비 투자 비용을 정부 제시기준 단가인 721만원/kW에서 650만원/kW로 낮춘 것에 배출권 수익까지 포함한 경우에도 여전히 사업성이 없는 사업으로 나타났지만, 발전차액 지원 제도의 경우에는 배출권 수익을 포함하지 않고도 할인율 약 7.2%와 초기 설비투자비용 684만원/kW에서 각각 손익분기점이 되면서 수익성이 있는 사업으로 전환되어 발전차액지원제도가 PV 시스템 도입에 훨씬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비용을 고려한 경우에는 보조금제도를 활용한 모든 시나리오는 배출권 수익과 환경편익을 모두 포함하여도 수익성이 없는 사업으로 나타났으나, 발전차액지원제도를 활용한 시나리오의 경우에는 배출권 수입을 제외하고도 할인율 7.2%와 초기비용 686만원/kW가 각각 손익분기점이 되면서 수익성이 있는 사업으로 전환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할인율이 7.2% 이하가 되든지 초기 설비투자비용이 정부 제시 기준 단가보다 4.9% 낮아진다면 발전차액지원제도 하에서도 공동주택의 태양광발전시스템이 경제성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의 높은 아파트 보급률과 PV 시스템 도입으로 발생하는 긍정적인 사회적 환경적 편익을 고려하면 공동주택의 태양광 시설 설치에 대해 발전차액지원제도를 확대 지원함으로써 화석연료의 사용을 절감하고,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서 에너지자급도 제고와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을 통해 녹색성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