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Structure of 『Ethics』 and 『Guide of Life』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 and Asian Ethics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 제재와 동양윤리 - 초등학교 5, 6학년 1학기 실험본 교과서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0.08.13
  • Accepted : 2010.09.11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Ethical value of Confucianism seeks to realize the ideal of life to the reality, through ethical life. It is discussed based on myself, which is the main ethical agent, in relationship with the others. These traditional values include universality in the homogeneous aspect such as humanism that has been commonly sought by the human race, or awe toward the absolute one. 'Pursuit of universality in the Korean context' ultimately seeks 'Korean ethics', that prevailed in Korea, based on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erefore, we should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is universality and diversity, so called 'us'. Through the understanding, we should play an active role of culture creators as noble persons that realize fraternity, along with respect to each culture. Studies on traditional ethics will not only be an important opportunity to look at the history and current status of ethics, but also it will be a cornerstone to understand the Korean mind-set based on the Korean culture. Recently, establishing Korean identity and recovery of ethics damaged due to anomie of value are key social issues. Studies on traditional value are not separated from this issue. If our adolescents are able to correctly understand the traditional ethics and pursue a life recreating it, they will be able to enjoy healthier life, contributing to a healthier society.

도덕적인 삶을 통하여 인생의 이상을 현실에 실현하고자 하는 유학의 윤리적 가치는 도덕주체인 나 자신을 중심으로 타자와의 관계성에서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전통 가치들은 인류가 보편적으로 추구해 온 인간다움이나 초월자에 대한 경외 등 동질성의 측면에서 보편성이 함유되어 있다. '한국적인 맥락에서의 보편성 추구'란 바로 우리의 전통 문화를 기반으로 우리 땅에서 꽃피운 '한국윤리'를 궁극적으로 표방한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보편성과 우리라는 다양성의 종합적인 이해를 통하여, 각 문화에 대하여 존중하는 마음을 함양하고 인류애를 실현하는 인격자로서 문화 창조의 역할을 능동적으로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전통 윤리에 관한 탐구는 윤리의 역사와 지금을 바라볼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뿐만 아니라 우리의 문화를 기반으로 한 우리의 정서를 이해하는 초석이 될 것이다. 오늘날 중요한 사회적인 관심으로 대두되고 있는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확립과 가치관의 혼란에 따른 도덕성 회복의 문제 역시 이와 그 궤를 달리하지 않는다. 우리 청소년들이 전통 윤리를 올바로 이해하고 새롭게 재창조하는 삶을 추구할 수 있을 때, 자신은 물론 사회도 건전해질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