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of Yeongungasa Jadosa and a meaning

연군가사(戀君歌辭) <자도사(自悼詞)>의 특징과 의의

  • 최현재 (군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Received : 2010.11.22
  • Accepted : 2010.12.24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its value of Jo Uin(曺友仁)'s Jadosa(自悼詞). I compared Jadosa with other Yeongungasa(戀君歌辭) works for this purposes in the sides of aspect of Yeongunuisik(戀君意識) and emotionalism. Therefore Jadosa is equipped with space setting called the heavenly world and the earthly world, and has characteristics that a speaker of the earthly world misses a lover of the heavenly world. Also, Jadosa is similar to Samiingok(思美人曲) and Sokmiingok(續美人曲) of Jeong Cheol(鄭澈) because the former borrowed a few phrases and motifs from the latter. However, if I look into Jadosa in greater detail in the sides of emotion or attitude of a speaker, the speaker of Jadosa shows a reproachful attitude Unlike works of Jeong Cheol. And the speaker of Jadosa urges the lover to be aware of his illusion. Finally these differences occur as a political standing and a relation with the king is different in every writer. Accordingly This paper is very worthwhile through comparison of Jadosa and other Yeongungasa works given that I reviewed characteristics and a meaning of Jadosa.

본고는 조우인(曺友仁)의 <자도사(自悼詞)>가 정철(鄭澈)의 <사미인곡(思美人曲)>이나 <속미인곡(續美人曲)>을 모방한 작품이라는 선행 연구의 평가에 의문을 제기하는 차원에서 마련된 것이다. 그리하여 연군의식의 양상과 정서 표출 양상의 측면에서 <자도사>를 정철의 <사미인곡> <속미인곡>을 포함한 몇몇 연군가사 작품들과 비교하였다. <자도사>가 천상계와 지상계의 이원적 공간 설정을 갖추고 있고, 천상계의 님을 지상계의 화자가 그리워하는 태도를 보일 뿐만 아니라 몇몇 구절과 모티프는 <사미인곡>과 <속미인곡>을 차용하였다는 점에서는 무엇보다도 <사미인곡> <속미인곡>과 흡사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화자의 정서나 태도의 측면에서 작품을 좀 더 세부적으로 들여다보면, 이 작품이 <사미인곡> <속미인곡>과 달리 님을 원망할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님에게 각성을 촉구하는 모습까지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이러한 차이는 작가마다 처한 정치적 입지와 임금과의 관계가 상이하기 때문에 빚어진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본고는 <자도사>와 <사미인곡> <속미인곡> 간의 영향 관계를 따져 모방작 여부만을 판가름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다른 연군가사 작품들과의 비교를 통해 <자도사>만의 독특한 면모와 가치를 밝히는 데까지 나아갔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