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ag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Special Class using Q-Methodology

Q-방법론을 이용한 초등교사의 특수학급에 대한 이미지

  • Received : 2010.10.12
  • Accepted : 2010.12.01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the imag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special class. The Q-methodology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which is useful for analyzing subjectivity like as human value, attitude, belief and image. P-sample as subjects of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40 elementary school teacher in Busan. A data was analyzed using QUANL PC program. As a result of research, the imag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special class was classified as 4 type. The 1 type was labeled the practical proponent type. The 1 type teachers highly estimate the educational importance of the special class and thought it as a place that educational possibilit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n come true. The 2 type was labeled the passive bystander type. They are quite indifferent to the special class, and are skeptical about the educational achieve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3 type was labeled the ideational positive type. They admit the importance of the special class, but thought that the image about the special class highly depends on the ability of the teachers who take responsibility for it. The 4 type was labeled the realistic opponent. They criticize the special class for not being the place that inclusion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mes true and they are dissatisfied with the fact that ordered-curriculu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n't applied at all.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10). 특수교육 통계,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 김경숙.한경임(2006). 초등 특수교사의 특수교사에 대한 이미지 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22(2), 77-102.
  3. 김기영.임경희(2003). 장애유아의 통합체육에 관한 유치원교사의 태도 유형 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1(3), 27-38.
  4. 김기흥(2009). 통합교육 및 특수학급운영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인식에 관한 질적연구: 부산지역의 특수학급이 설치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특수아동교육연구, 11(2), 17-51.
  5. 김병철(2006). 통합학급과 특수학급 담임교사간 협력정도에 따른 통합학급 담임교사의 장애유아 수용태도 비교, 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성훈(2009). 중학교 특수학급 운영에 대한 고찰: 경기도를 중심으로, 정서.행동장애연구, 25(3), 331-353.
  7. 김주홍.박재국.임혜경(2007). 중학교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교사요구, 특수교육저널, 8(2), 433-454.
  8. 김한(2003). 초등학교 특수학급 운영실태 조사와 개선방안,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현민(2005).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현진(2009).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1(2), 1-16.
  11. 김흥규(2008). Q 방법론: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2. 민형동(2006). 경찰이미지 연구를 위한 이론적 모색, 한국민간경비학회보, 8, 217-246.
  13. 박미화.송명숙(2010). 초등학교 통합학급 담임교사의 장애학생 지도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적 수정 실행 분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1(1), 413-436.
  14. 박승희(2004). 한국특수교육의 현황과 과제 : 일반학교 특수학급을 중심으로. 직무연수, 안산 : 국립특수교육원.
  15. 백은희(2003).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방해요인에 대한 중학교 일반교사의 인식조사,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서원기(2005). 초등학교 특수학급 운영실태 분석과 개선방안, 충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성기록(2004). 초등학교 교사의 특수교육과 특수학급 운영에 대한 인식과 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손상희(2004). SD척도에 의한 초등교사의 장애아동에 대한 이미지, 특수교육학연구, 38(4), 67-93.
  19. 안승욱(2003).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간 협력 정도와 일반아동의 장애아 수용 태도와의 관계, 인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이건범.임경희(2003). 통합체육에 관한 중등교사 태도의 Q-방법론적 이해, 한국체육학회지, 42(1), 739-750.
  21. 이승희(2004). 공립유치원 특수학급 운영의 현황 및 향후방향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저널, 5(1), 389-414.
  22. 이영철.박주영(2006). 일반교사의 특수학급 학생과 특수학급 교사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정신지체연구, 8(1), 1-14.
  23. 이원재.박미화(2009).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 시각장애연구, 25(1), 87-110.
  24. 장은경(2006). 초등학교 통합학급 운영 실태와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정경애(2006). 초등학교 특수학급 운영의 개선방안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정정진.전병운.강영심.이대식 역 (2009). 21세기 특수교사, 서울, 시그마프레스.
  27. 최세민.유장순.김주영(2005). 특수학급 경영론, 서울 : 박학사.
  28. 최은미.황순영(2010). Q방법을 통한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의 장애학생부모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2(3), 273-298.
  29. 최해옥(2006). 장애아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태원섭(2006).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개별화교육계획과 운영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한경임.송미승(2009). 특수교육 전공 대학생의 특수교육 교사 이미지 연구-고학년 학생 중심으로-,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0(1), 301-322.
  32. 한두례(2006). 협력적인 교사 역할에 대한 초등학교 특수학급교사와 교사의 인식 연구,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deBettencourt, L. U., Howard, L. A.(2007). The Effective Special Education Teacher: A Practical Guide for Success.
  34. Hallahan, D. P., & Kauffman, J. M.(2006). Exceptional learners: An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10th ed), Boston: Allyn & Bacon.
  35. Hoover, J., & Patton, J. R.(2004). Differentiation standards-based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verse needs,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25(2), 74-78. https://doi.org/10.1177/07419325040250020101
  36. Judy, M., & Marvin, J. F.(2004). Regular and special class teachers' perceptions of normal and exceptional children and their attitudes toward mainstreaming, Educational Practices and Problems. 7(2), 129-142.
  37. Mushoriwa, & Taruvinga.(2001). A study of the attitudes of primary school teachers in Harare towards the inclusion of blind children in regular classes. British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8(3), 142-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