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the Wedge Insole Angle of Supinated Group on Foot Contact Time, Foot Contact Area and Foot Pressure

회외족의 Wedge Insole 각에 따른 보행 시 접지 시간, 접지면적 및 족저압력의 비교

  • Received : 2010.09.01
  • Accepted : 2010.10.15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male college students with supinated foot to measure the foot pressure by having them wear three kinds of wedge insoles ($0^{\circ}$, $3.5^{\circ}$, $7^{\circ}$). Foot contact time, foot contact area, peak pressure and mean pressure were measured using a foot pressure distribution measuring instrument. And the surface of the foot sole was divided into 10 areas. Regarding foot contact tim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showing $0.69{\pm}0.004$ seconds at $3.5^{\circ}$ and $0.68{\pm}0.006$ seconds at $0^{\circ}$ and $7^{\circ}$. Regarding the foot contact area, it appeared broad in the inside area of the foot according to wedge insole,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ea 1 of the rear foot(p< .01) and the area 3 of the middle foot(p< .05). The peak pressure by foot area decreased in the outside of the foot according to wedge insole, while increasing in the inside of the foot. Among the area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area 2 of the rear foot (p< .01) and the area 3 of the middle foot (p< .05). Regarding the mean pressure by foot area, the pressure roughly increased in the inside area of the foot according to wedge insole, while decreasing in the outside of the foot.

Keywords

References

  1. 강형진(2008). 후족부의 회외를 동반한 고궁족(high arch foot) 환자의 맞춤형 인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2. 곽창수(1993). 운동화 중저의 경도가 주행 시 발바닥의 압력 분포와 충격흡수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89.
  3. 권오복(2001). 팔자보행 형태의 운동학 및 운동역학적 분석,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14.
  4. 권오윤, 정도영, 박경희(2002). Rear Foot Wedge 각도가 보행 시 전조적 최대압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0-11
  5. 김동엽, 최순복(2007). 전족부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능성 중창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2), 259.
  6. 김민영, 문재호, 김헌수, 박준수(1998). 편평족의 환자군의보조기 구두착용에 의한 족저압 분포, 대한재활의학회지, 22(1), 217-223.
  7. 김연정(2007). 유선형 후방 밸런스 신발 착용 시 보행의 생체 역학적 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8. 김재우(2002).당뇨화 Biofit의 생체 역학적 설계에 따른 특성의 고찰 및 연구, 동서대학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46.
  9. 김태형(1996). 에어로빅스 하이 킥 시 운동화 중저의 경도에 따른 지면반력의 변화 및 발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46.
  10. 신선우(1997). 발의 형태 분류와 보행시 굽 높이에 따른 압력분포,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6.
  11. 신학수(2007). 신발의 굴림 특성이 족저반력 및 회내운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17(3), 191-192.
  12. 임덕채(2003). Foot orthoses와 족부의학, 서울 : 풋프레스, 350.
  13. 이우창(2001). 런닝화의 경도차이가 후족제어 및 충격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
  14. 정병열, 하현보(2004). 신발인솔 높이와 재질이 발의 압력과 운동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5(1), 915.
  15. 조창익(2004). 소재 특성 이해를 위한 족저압력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16. 지진구(2005). 여성의 하이힐과 스니커즈의 족저압과 접지시간의 발 부위별 비교 연구,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10-35.
  17. 최규정(2004). 일반운동화와 mBT 보행 신발 착용에 따른 보행 동작의 운동역학적 비교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21.
  18. 최순복(2001). 발의 불편감에 영향을 미치는 구두 형태 및 보행특성,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6.
  19. 최순복, 이원자(2005). 성인 여성의 발 특성에 따른 인솔 적합성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6), 783-789.
  20. Ebbeling, C. J., Hamill, J. & Crussemeyer, J. A.(1994). Lower extremity mechanics and energy cost of walking in high-heel shoes, Journal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19(4), 190-196.
  21. Fuller, E., Schroeder, S., & Edwards, J.(2001). Reduction of peak pressure on the forefoot with a rigid rocker-bottom postoperative shoe, Journal of the American Podiatric Medical Association, 91(10), 501-507.
  22. Gefen, A., Megido-Ravid, M., Itzchak, Y. & Arcan, M.(2002). Analysis of muscular fatigue and foot stability during high-heeled gait, Gait Posture, 15(1). 56-63. https://doi.org/10.1016/S0966-6362(01)00180-1
  23. Pratt, D. J., Rees, P. H. & Rodgers, C.(2000). Assessment of some shock absorbing insoles, Prosthetics and Orthotics International, 10(1). 157-162.
  24. Ricard, M. D., Sherwood, S. M. S, S. & Knight, K. L.(2000). Effect of tape and exercise on dynamic ankle inversion, National Athletic Trainers' Association, 35(1). 31-37.
  25. Takakura, Y., Tanaka, Y., Fujii, T., Kumai, T. & Sugimoto, K.(1999). Hindfoot alignment of hallux valgus evaluated by a weight bearing subtalar x-ray view, Foot and Ankle International, 20(10), 4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