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n Scope of Major Curriculum in Department of Education

교육학과 전공교육과정의 조직요소 분석 - 교육과정 교과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0.03.04
  • Accepted : 2010.10.01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is study tends to analyze the organizational factors of major curriculum of education department. For this, the education department's major curriculum of ten universities is analyzed in three levels. Subjects are analyzed for the high level, lesson plans for the middle level, and sub-topics for the low level. This study utilized the learning classified table of the Natioan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the In-sil Chang's curriculum scope classified table. The results from the study are following. First, some subjects such as educational philosophy, educational psychology, life-long education take largest portions in the major curriculum of education department. Second. the history, the evaluation, and the definition and the scope of the education curriculum take greatest parts in the subject of education curriculum.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e study may provide the opportunities to introspect on the discussion and the organization of the educational directions and goals of education department.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석(2001). 교육과정연구에서 질적 접근의 반성적 조절, 교육과정연구, 19(2), 19-52.
  2. 강현석․이경섭(1999). 교육과정 설계상의 주요 쟁점 분석, 교육과정연구, 17(1), 137-165.
  3. 김대현․김석우(2005).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4. 김수천(2004). 교육과정학의 성격: 주요 문제와 탐구방법. 교육과정연구, 22(2), 1-27.
  5. 김재춘(2001). 교육과정연구의 포괄적 성격 탐색, 교육과정연구, 19(2), 1-18.
  6. 박민정(2008). 대학교육의 기능과 역할 변화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담론: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교육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6(4), 173-197.
  7. 박민정(2009).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 탐색, 교육과정연구, 27(1), 1-20.
  8. 박준희(1983). 한국 교육학이론 체계 모색: 교육 방법학의 측면, 교육학연구, 21(1), 14-21.
  9. 소경희(2009).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특징과 비판적 쟁점 분석: 내재된 가능성과 딜레마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7(4), 71-94.
  10. 손민호(2004). 연구전통별로 살펴본 수업에서의 질적 연구 동향 및 과제, 교육과정연구, 22(3), 149-180.
  11. 윤병희(1998). 교육과정 연구의 동향과 대안적 접근의 필요성, 교육과정연구, 16(2), 1-26.
  12. 윤병희(1998) 교육과정학의 학문적 성격 재개념화를 위한 비판적 시론, 교육과정연구, 17(2), 393-413.
  13. 윤병희(2001). 우리나라 교육과정학 연구 동향에 관한 역사적 비판, 교육과정연구, 19(1), 139-158.
  14. 이은화․김인형(2009). 체육교육학과 전공교육과정의 스코프 및 시퀀스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1(3), 436-450.
  15. 이종원(2002). 교육과정 탐구방식으로서 절충주의의 오류와 한계. 교육과정연구, 20(2), 179-196.
  16. 임형택(1992). 한국교육과정 학문공동체의 학문활동 분석, 서울: 연이출판사.
  17. 장인실(2005). 교재분석을 통한 교육과정학의 영역과 발전 동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3(2), 17-37.
  18. 장인실(2006). 한국교육과정학의 연구방법에 대한 내용 분석 연구: 교육과정연구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4(2), 51-70.
  19. 전성연(1991). 학문으로서의 교육학 교육, 교육학연구, 29(3), 27-38.
  20. 진영은(1996). 교육과정연구에서의 문화기술법, 교육과정연구, 14(1), 264-284.
  21. 최미리(2007). 미국 Alverno 대학의 능력중심 교육과정(Ability-Based Curriculum)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7(2), 309-339.
  22. 한신일․권영신․주정흔(2003). 미국대학의 교양교육과정 비교 분석, 비교교육연구, 13(1), 91-119.
  23. 홍웅선(1983). 한국 교육학이론 체계 모색: 교과교육학의 측면, 교육학연구, 21(1), 22-35.
  24. 홍후조(2004a). 4년제 일반 대학의 학부 교육과정 문제와 과제, 교육과정연구, 22(3), 267-295.
  25. 홍후조(2004b). 교육과정학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탐구 영역의 규명과 그 정당화(II), 교육과정연구, 22(4), 27-48.
  26. 홍후조․백경선(2004). 교육과정학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탐구영역의 규명과 그 정당화(II)-교육과정 결정의 세 요인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2(2), 29-54.
  27. 황정규(1991). 교육학의 성격과 교육학 교육, 교육학연구, 29(3), 1110.
  28. Baller, E. (1991). The Impact of Textbooks, A. Lewy(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curriculum, 138-139, Oxford: Pergamon Press.
  29. Boyer, E.L.(1987). College: The undergraduate experience in America,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30. Piver, David J.(1969). The Changing Structures of Historical Knowledge and Undergraduate Curriculum, California State Coll., Fuller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