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전공 대학생의 전공학과 만족도와 진로결정 효능감 및 진로태도 성숙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 투고 : 2010.02.17
  • 심사 : 2010.04.14
  • 발행 : 2010.06.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by performing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 total of 492 engineering students(male=380, female=112) completed 3 tests. The results of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showed a) major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reer decision efficacy, b) major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 career decision efficac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reer attitude matur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영숙.이은정(2006). 사회복지학 전공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전북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15권, 1-22.
  2. 금선미(2009). 여대생이 지각한 희망과 진로태도 성숙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경아(2008). 최근 청년층 노동시장의 불평등 현황과 요인에 관한 연구. 산업노동연구, 14(1), 25-51.
  4. 김안국(2006). 이공계 대졸 청년층의 직장이동과 전공직종일치 분석, 노동경제논집, 29(1), 153-184.
  5. 김영경(2008). 대학 신입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과 진로결정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4), 1191-1210.
  6. 김이형.이선하.정상만(2004). 대학내 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공학교실 프로그램 운영상의 특성과 개선방안, 공학교육연구, 7(4), 5-15.
  7. 김정미(2007). 중학생의 부모애착, 갈등적 독립,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도와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태희.장경로(2007).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전공 및 학과만족, 그리고 대학 및 직업위상에 대한 인식이 전공 관련 직업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1, 69-78.
  9. 김혜주(2007). 대학생의 전공만족과 몰입경험이 진로결정 효능감 및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노정현, 김태균, 변미정, 차경준(2002). 정준상관 분석기법을 이용한 지역간 경제적 의존성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20(7), 5-13.
  11. 도승이(2008). 공대생의 진로관련 변인에 대한 성별 및 학년별 차이분석 연구, 교육심리연구, 22(3), 519-535.
  12. 도승이(2009a). 공대 남학생과의 비교를 통한 여자 공대생의 전공수업 및 진로관련 심리적 요인예측변인 탐구, 교육학연구, 47(3), 23-48.
  13. 도승이(2009b). 여성공학도의 역할모델과 성역할 기대, 학업동기, 진로동기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심리연구, 23(4), 769-785.
  14. 매일경제(2009). 세상읽기-이공계 살리는 법, 매일경제 2009년 7월 1일판.
  15. 박명지(2008). 대학생의 전공-흥미 일치도가 진로 성숙도 및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성미(2006). 대학생을 위한 멘토링 기능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18(1), 49-57.
  17. 성태제.시기자(2006).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18. 송원익.강경모(2006). 무용전공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전공만족과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인문.사회과학편, 45(2). 461-469.
  19. 신선미(2004). 여학생의 이공계 진로선택과 직업 세계 이행 성과, 교육학연구, 42(3), 205-226.
  20. 신선미.오은진(2004). 전문대학의 여성인적자원 개발현황과 정책과제-이공계열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1. 신정철.정지선.신택수(2008).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그 영향요인들 간의 인과관계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6(1), 287-313.
  22. 신주연(2006).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과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심은숙(2003). 대학생의 성별, 학년별, 전공학과 만족도 및 학과 인기도에 다른 진로성숙수준의 차이 분석,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유순화.강승희.윤경미(2004).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유형과 수준 및 진로성숙의 관계, 상담학 연구, 5(4), 1111-1123.
  25. 윤덕(2008). 공학계와 인문계 여대생의 개인 특성 및 환경 변인에 따른 진로결정수준에서의 차이,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기학(1997). 고등학생의 진로태도 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자아존중감, 직업가치, 내외통제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이기학.이학주(2000). 대학생의 진로태도 성숙 정도에 대한 예언변인으로서의 자기효능감 효과검증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1), 127-136.
  28. 이수영.이영민(2009). 이공계 대학생의 진로결정 수준 및 진로준비행동 분석, 공학교육연구, 12(3), 73-78.
  29. 이은경(2000).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 이은경.이혜성(2002). 진로결정효능감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1), 109-120.
  31. 이은화.강승희(2009).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에 따른 학습실태 및 학습기술 훈련 요구이 차이, 청소년학연구, 16(4), 117-143.
  32. 이종호.김종운(2009). 커리어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전문계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수산해양교육연구, 21(1), 1-15.
  33. 이태정(2003). 몰입경험이 진로태도 성숙 및 진로 결정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임언.정윤경.백순근(2003). 이공계 대학생의 전공 및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I),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5. 임용수(1993). 전공만족도를 중심으로 본 대학생들의 진로사회화 과정에 대한 조사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논문집, 8, 107-129.
  36. 임은미.박승민.엄영숙(2009). 대학생의 진로미결정 수준과 전공만족도, 전공 및 직장선택 기준의 차이, 청소년학연구, 16(10), 33-50.
  37. 임정연.이영민(2008). 4년제 대학 이공계 전공 여학생의 직업 준비과정이 이행결과에 미치는 영향, 직업능력개발연구, 11(2), 25-47.
  38. 임지영(2009). 공대생들의 진로발달의 이차원적 유형화에 따른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 공학교육연구, 12(3), 13-20.
  39. 장선철(2003). 대학생의 진로결정유형화와 개인, 인지 변인간의 관계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정윤경.오명숙.김지현(2008). 공대 여학생의 전공 관련 심리적 특성의 탐색, 공학교육연구, 11(4), 34-45.
  41. 정진선(2002). 대학생의 성역할정체감이 진로의사결정 효능감 및 진료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조성연.문미란(2006). 성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4), 731-748.
  43. 조아미(2000). 청소년의 진로의사결정과 진로성숙성의 결정요인으로서 진로의사결정효능감, 교육학연구, 38(4), 43-62.
  44. 조아미(2001). 청소년(지도) 전공 대학생의 전공관련 직업체험이 진로의사결정 효능감과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12(1), 29-46.
  45. 지용근(2005). 성역할 정체감, 부모양육태도가 초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18(2), 199-217.
  46. 진미석 외, (2007). 미래 환경변화에 따른 HRST 정책진단 및 중장기 정책방향,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
  47. 최숙현(2008). 대학생의 진로장벽, 진로포부, 진로태도성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8. 최은희(2007).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최인실(2004).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갈등과 심리적 적응 및 진로태도성숙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하혜숙(1999). 대학생의 학과(학부)만족과 학교만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한은숙(2003). 지방대학교육의 교육만족도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1(3), 379-399.
  52. Barbara, M. F., & Darrell, A. L.(1998). Increas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nontraditional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llege counseling, 1, 35-43. https://doi.org/10.1002/j.2161-1882.1998.tb00122.x
  53. Crites, J. O.(1978).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Monterey, CA: College Testing Board/McGraw-Hill.
  54. Delorenzo, D.R.(2000). The relationship of cooperative education exposure to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locus of control, Journal of Cooperative Education and Internships, 35(2), 15-24.
  55. Gianakos, I.(1999). Patterns of career choi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4, 244-258. https://doi.org/10.1006/jvbe.1998.1668
  56. Hackett, G., & Betz, N. E.(1981).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ournal of Vacational Behavior, 18, 326-339. https://doi.org/10.1016/0001-8791(81)90019-1
  57. Hair, J. F., Anderson, R. E., Tatham, R. L., & Black, W. C.(1992).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s(3rd ed.), New York: Macmillan.
  58. Kenny, M. E., & Rice, K. G.(1995). Attachment to parents and adjustment in late adolescent college students: Current status, applications, and future considerations, The Counseling Psychologists, 23, 433-456. https://doi.org/10.1177/0011000095233003
  59. Lent, R. W., Brown, S. D., & Larkin, K. C.(1986). Self -efficacy in the prediction of academic performance and perceived career option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3, 265-269.
  60. Lent, R. W., Brown, S. D., & Larkin, K. C.(1987). Comparison of three theoretically derived variables in predicting career and academic behavior: Self-efficacy, interest congruence, and consequence think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4, 293-298.
  61. Logue, C. T.(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vocational interest themes, and college major satisfaction, Ph. d.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nnesse.
  62. Luzzo, D. A.(1993). Value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in predicting career decision making attitudes and skill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0(2), 194-199.
  63. Rosen D., Holmberg, K., & Holland, J.(1997).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funder, Odessa, FL; Psychology Assessment Resources.
  64. Super, D. E.(1953). A theory of vacational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8, 185-190.
  65. Tabachnick, B. G., & Fidel, L. S. (1996).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2nd ed.), New York: Harper Collins.
  66. Taylor, K. M., & Betz, N. E.(1983).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 63-81. https://doi.org/10.1016/0001-8791(83)90006-4
  67. Wallace, G. R., & Walker, S. P.(1990). Self concept, vocational interests, and choice of academic major in college students, College Students Journal, 23(4), 361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