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향정(披香亭) 일원의 입지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Pihyang-jeong Zone

  • 이현우 (전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Lee, Hyun-Wo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0.08.24
  • 심사 : 2010.09.28
  • 발행 : 2010.09.01

초록

본 연구는 전라북도 내 5대 정자 중에서도 으뜸으로 손꼽히며 '호남제일정'이라 일컫는 정읍시 태인면에 위치한 피향정 일원의 입지 및 공간구성에 관해 고찰한 바, 집약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피향정의 조영은 신라 헌강왕대 최치원이 이곳을 소요하며 풍월을 읊었다는 구전이 전할 뿐 창건기록은 전무하다. 다만 1618년 이지굉이 초라한 건물을 확장하였고, 1664년 박숭고 1715년 유근의 중수기록이 전한다. 2. 피향정의 입지는 태인면 북쪽의 성황산(189m)과 동쪽의 항가산(106m) 및 남쪽의 태산(33m)을 비롯하여, 북서쪽의 평야로 이루어진 북고남저(北高南低) 지형으로, 전형적인 배산임수 형국임을 파악하였다. 3. 피향정 일원의 공간구성은 하연지(下蓮池)를 향해 피향정이 남남서(SSW)향으로 세워졌으며, 피향정 누상으로의 진입은 동서(좌우)의 석계(石階)로 접근토록 계획되었다. 4. 피향정 일원의 건축물은 '객관의 누정인 피향정 연지의 함벽루 관리인 시설' 등이다. 피향정은 정면 5칸 측면 4칸의 겹처마 팔작지붕의 장방형 건물이며, 함벽루는 1918년 목조 2층 단청누각으로 초창 후 1971년 장방형 목조와즙 단층 5칸 팔작지붕집으로 개조하였다. 이후 2010년 육각정으로 신축되어 원형과는 전혀 다른 외관임을 파악하였다. 5. 피향정 일원의 점경물은 피향정 경내의 총 21기의 비석군과 피향정을 둘러싼 160m 전통한식 막돌담장을 확인하였고, 맞배지붕 일각문으로 3문 형식을 띤 3개의 출입문과 피향정일곽 외부의 동편에서는 하마석이 확인되었다. 6. 피향정 일원의 수경관은 관아인근의 자연못의 물을 끌어들이고 그 주변에 누정을 건립한 대표적 예이다. 7. 피향정 일원의 식생은 일곽경계에서는 느티나무, 남측 소공원에서는 느티나무 배롱나무 반송 소나무 영산홍 자산홍 잔디 등이, 하연지 상의 함벽루에서는 느릅나무 느티나무 소나무 등이 양호한 생육상태로 확인되었다.

This research studied the location a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Pihyang-jeong zone. Pihyang-jeong is regarded as one of the five great pavilions in Chollabuk-do. Located in Taein-myeon of Jeongeup-si, Pihyang-jeong is also called as 'the number one pavilion in Honam area'. 1. There is no record regarding the first construction of Pihyang-jeong. There is only transmitting by word of mouth that the scholar Choi Chi-won had an excursion to here and composed some poetry during the age of King Heon-gang of Shilla dynasty. However, there are records that Lee Ji-gweng had expanded the humble structure in 1618, Park Sung-go repaired it in 1664 and Yoo Geun repaired it again in 1715. 2. The location of Pihyang-jeong is 'high in north and low in south' and typical 'mountain in rear and water in front'. It has Seong-hwang Mountain(189m) in the north, Hang-ga Mountain(106m) in the south, Tae Mountain(33m) in the south and an open field in the northwest. 3. The spatial composition around Pihyang-jeong is as following. Pihyang-jeong faces 'Hayeonji'(the lower side lotus pond) in the south-south-west direction. 4. The buildings around Pihyang-jeong are; Pihyang-jeong, which was the pavilion of the government official not directly in charge of government office, Hambyeok-lu in the Hayeonji and the facility for the caretaker. Pihyang-jeong is a rectangular building with double eaves and hipped-and-gabled roof. It has five rooms in the front and four rooms in the side. Hambyeok-lu had been first built in 1918 as two-storey wooden pavilion with dancheong, 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en buildings. Then it was modified into rectangular single-storey pavilion with hipped-and-gabled roof and five rooms in 1971. In 2010, it was rebuilt as a hexagonal pavilion; therefore, the present shape is completely different one from the original shape. 5. The scenic features around Pihyang-jeong are as following. There are 21 stone monuments in Pihyang-jeong zone. The fence surrounding Pihyang-jeong is a traditional Korean style crude stone fence. There are three gates in three-gates-style, each gate made with two posts and one 'matbae'(gabled) roof. Also, a stepping stone for mounting/dismounting was found in the east of Pihyang-jeong outer perimeter. 6. The water scenic feature around Pihyang-jeong is a representative case of drawing in the water from the natural pond nearby government office and building a pavilion around the water. 7. The planting around Pihyang-jeong is as following. There are Zelkova trees in the boundary perimeter. In the southern small park, there are Zelkova trees, Crape-myrtie trees, Bushy young pine trees, Pine trees, Satuki, Purple azalea and Grass field. Around Hambyeok-lu in the Ha-yeonji, Elm trees, Zelkova trees and Pine trees are growing in good condi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성우, 안대회譯(1993). 園冶(計成 著). 도서출판 예경.
  2. 김일두(1979). 명찰편액순력(名刹扁額巡歷). 서울: 한진출판사.
  3. 문화재청(2001). 披香亭 實測調査報告書. 한국문화재청.
  4. 박경자(2010). 조선시대 정원, 14세기부터 19세기까지의 조경구조물을 중심으로. 서울: 학연문화사.
  5. 안병찬(1961). 국보도록. 한국신문연구소.
  6. 이선(2006). 우리와 함께 살아온 나무와 꽃, 한국 전통조경 식재. 수류산방.
  7. 이현우, 김재식, 김정문(2009). 추사고택의 입지 및 공간구성에 관한 의미론적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1): 84-97.
  8. 임남곤(1998). 정읍누정록. 정읍문화원.
  9. 전라북도 정읍시(2004). 披香亭 修理報告書. 대명기획.
  10. 전라북도 정읍시(2006). 피향정 주변정비공사 수리보고서. 정읍시청 문화관광과.
  11. 전라북도 정읍시(2009). 涵碧樓 新築工事報告書. 정읍시청 문화관광과.
  12. 增補文獻備考,國譯(1995). 世宗大王記念事業會.
  13. 태인현약사 편찬위원회(2000). 태인현 2천년 약사. 태인면지.
  14. 한국전통조경학회(2009). 동양조경문화사. 서울: 도서출판 대가.
  15. 한국조경학회(2007). 조경학대계V 東洋造景史. 서울: 문운당.
  16. 구글맵스 홈페이지. http://maps.google.co.kr
  17.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 http://www.museum.go.kr
  18. 다음지도 홈페이지. http://local.daum.net/map
  19.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cha.go.kr
  20.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홈페이지, http://e-kyujanggak.snu. ac.kr
  21. 태인면사무소 홈페이지. http://dong.jeongeup.go.kr/tae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