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장산 의릉의 방재대책에 관한 연구 - 임상과 지형인자를 고려한 산불위험성 평가 -

A Study on the Disaster Prevention of the Royal Tomb Eureung in the Mountain Cheonjang - Estimation on Forest Fire Risk Considering Forest Type and Topography -

  • 원명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 이우균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 최종희 (배재대학교 생명환경디자인학부)
  • Won, Myoung-Soo (Division of Forest Disaster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Woo-Kyun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Choi, Jong-Hee (Division of Environmental Design & Urban Horticultural Science, PaiChai University)
  • 투고 : 2010.02.17
  • 심사 : 2010.03.21
  • 발행 : 2010.03.01

초록

본 연구는 산불로 부터 안전한 천장산 일대 의릉 문화재 방재대책 수립을 목적으로 임상과 지형인자를 고려하여 산불위험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천장산과 의릉 문화재의 방재대책 수립을 위해 공간특성자료($100m{\times}100m$)를 이용하여 각 지점별 산불발생확률모형(logistic regression)을 통해 천장산 일대의 산불발생위험성 평가와 임상에 따른 산불위험성 및 산불확산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천장산 일대에서 산불 발생에 영향을 주는 공간특성으로는 경급, 남동향, 남서향, 남향, 침엽수, 활엽수, 혼효림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인자를 이용하여 각 지점별 산불발생확률[1+exp{-(-4.8081-(0.02453*경급)+(0.6608*남동향)+(0.507*남서향)+(0.7943*남향)+(0.29498*침엽수)+(0.28897*활엽수)+(0.17788*혼효림))}]$^{-1}$을 추정하였다. 산불 발생 후의 산불 대형화 위험지역 구분을 위해 침엽수림, 활엽수림, 혼효림에 대한 주제도를 작성하여 문화재 보호를 위한 방재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작성하였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산불 등 재해관리에 있어서 산불발생위험이 높은 지역과 대형화 위험지역을 사전에 예측하여 효율적인 예방대책을 수립은 물론 진화자원의 효율적 운용을 통해 산불로 인한 문화재 소실을 피해를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isk of the forest fire, considering the topography and the forest, for establishing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of cultural heritage, Uireung, over in Cheonjang-mountain. To do that, we estimate the occurrence and spread of the forest fire over in Cheonjang-mountain through a forest fire probability model(logistic regression), using the space characteristic data($100m{\times}100m$). The factor, occurrence of the forest fire, are diameter class, southeast, southwest, south, coniferous, deciduous, and mixed forest. We assume the probability of the fire forest in each point as follow : [1+exp{-(-4.8081-(0.02453*diameter class)+(0.6608*southeast)+(0.507*southwest)+(0.7943*south)+(0.29498*coniferous forest)+(0.28897*deciduous forest)+(0.17788*mixed forest))}]$^{-1}$. To divide dangerous zone of the big forest fire, we make the basic materials for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through the map of coniferous forests, deciduous forests, and mixed forest. The damage of cultural heritage caused by a forest fire will be reduced through the effective preventive measures, by forecast a forest fire to using this study.

키워드

참고문헌

  1. 과학기술부(2003). 산불예측 및 감시기술 개발. 과학기술부 연구보고서.
  2. 문화재청 의릉관리소. http://eureung.cha.go.kr/
  3. 박상언(2002). 로지스틱 회귀분석방법. 판별분석, 로지스틱 회귀모형. 서울: 민영사. pp.59-77.
  4. 이기철(1998). GIS를 이용한 산불진화용 저수탱크 적지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 1-13.
  5. 이시영(2002). GIS를 이용한 산불피해지역 특성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5(1): 20-26.
  6. 정순교(1997). 문화재 화재예방 및 진압대책. 소방안전 3/4월호.
  7. 조명희(2001). GIS를 이용한 산불정보관리시스템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4(3): 51-60.
  8. 한국일보(2008). 전문가들 "문화재 화재 대응 매뉴얼 마련부터".
  9. Andrew, P. L. and L. P. Queen(2001). Fire modeling and information system techn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10: 343-352. https://doi.org/10.1071/WF01033
  10. Bradshaw, L. S. and J. E. Deeming and R. E. Burgan and J. D. Cohen (1983). The 1978 National Fire-Danger Rating System: Technical Documentation. USDA For. Serv. Gen. Tech. Rep. INT-169. 44pp.
  11. Davis, K. P. and A. A. Brown(1959). Fire in the forests. In: FOREST FIRE Control and Use. Second Edition. McGraw-Hill. pp.3-259.
  12. Finney, M. A(1998). FARSITE: Fire Area Simulator-model development and evaluation, Res. Pap. RMRS-RP-4, Ogden, UT: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Rocky Mountain Research Station. 47pp.
  13. Hirsch, K. G(1996). Canadian Forest Fire Behavior Prediction(FBP) System: user's guide. Canadian Forest Service. 121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