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China's Changing Economic Policy toward Africa: focusing on the Cold War and Post-Cold War Comparison

중국의 대(對) 아프리카 경제정책 변화: 냉전과 탈냉전의 비교를 중심으로

  • Kim, Dong Hwan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at University of South Australia) ;
  • Oh, Byung Seok (Dept. of International Trade, Hyupsung University)
  • 김동환 (남호주대학교 국제학과) ;
  • 오병석 (협성대학교 국제통상학과)
  • Received : 2010.05.10
  • Accepted : 2010.06.10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distinguished feature of the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Africa during the cold war is the one that there was economic point of view at all even though such a huge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It was caused by purely ideological and political purpose of China. because of the giant stream of time which is called as 'the cold war', it has been replaced with other conceptions: 'aid' or 'support.'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Africa has been showing noticeable features; political and ideological purposes are getting less meaningful or excluded completely. In 1990, China was based on the pragmatism, which is a rigorous sense of economy, and Africa was getting popular as an emerging market, which is not only performing as a stable energy supplier but also making trade and direct investment is possible. Also, it has implications for Korea that seriously considers putting more efforts into expanding its influence on all over the trade relations which includes investment and import-export in the emerging market: Africa.

냉전기간 중국과 아프리카의 경제관계의 특징은 중국의 '순수한 이념적, 정치적 목적(purely ideological and political purpose)'으로 인하여 아프리카와의 상당한 무역규모에도 불구하고 경제관념이 전혀 대두되지 않았다. 냉전이라는 거대한 시대적 흐름으로 인해 '원조' 또는 '지원' 이라는 개념으로 대체되어 왔던 것이다. 그러나 탈냉전 이후 중국과 아프리카의 관계는 정치적, 이념적 목적이 퇴색하였거나 완전히 배제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1990년대 들어 철저한 경제관념, 즉 실용주의(pragmatism)에 입각한 중국에게 있어 아프리카는 안정된 에너지 공급원으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물품 수출 및 직접 투자가 가능한 '신흥시장'으로 부각되기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중국과 아프리카의 냉전과 이후의 경제관계 비교를 통해 드러나는 명확한 차이점을 분석함으로써 중국의 변화된 대(對) 아프리카 경제정책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재 아프리카라는 신흥시장에서 투자와 수출입을 포함하는 통상 관계 전반에 걸쳐 영향력 확대를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한국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