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Effecting Factors on Job Satisfaction of the Elderly Care Social Workers

노인 돌봄 서비스관리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 Kim, Keun-Hong (Dep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Kangnam University) ;
  • Park, Joon-Ki (Dep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Kangnam University)
  • 김근홍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 박준기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Received : 2009.11.30
  • Accepted : 2010.02.23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job satisfaction of the social workers who manage the elderly care service in country, in order to find political alternatives and practical strategies for improving job satisfaction. The Factors to effect on job satisfaction are categorized as three groups ; personal factors, working environment factors and service related factor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231 social workers who participated in a national seminar among 244 elderly care facilities in country, and 220 effective data were collected. Which factors effected on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and how much effected on it by them were mainly analyzed. The mean of job satisfaction status was 3.01, which was slightly higher than average(2.5). Men had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women. The unmarried than the married, permanent workers than contract workers, and workers who didn't execute other jobs had higher job satisfaction also. And The main factors which effected on job satisfaction were sex among personal factors, the manager willingness and not executing other jobs among working environment factors, and service attitude among service related factors. Particularly, the manager willingness was shown to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most, and then service attitude, not executing other jobs and sex effected on it in order. The result showed that the elderly care facilities which had stronger manager willingness and better service attitude provided higher job satisfaction, and men who didn't execute other jobs than women had higher job satisfaction. The job satisfactions of payment and benefits, employment stability, appropriateness of working amount and working time, working environment and welfare conditions were lower than average. Therefore, the strategies to improve the lower job conditions are promptly required. Above all, the low payment strategy that has not been increased at all for 3 years has to be changed. In addition, it is important for the social workers not to execute other jobs as much as possible in order to reduce working amount and working time appropriately. In conclusion, it is required to try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the social workers who are the core of human service continually, which will make the elderly care service successful and effectiveness improved.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의 노인 돌봄 서비스관리자를 대상으로 직무만족 현황을 살펴봄과 동시에, 개인적요인, 근무관련요인, 서비스관련요인들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통해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정책적 대안과 실천적 방안들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에서 현재 수행 중에 있는 노인 돌봄 사업수행기관 244개 가운데 각 기관을 대표한 231명에 대해 수집된 자료 중, 분석 유효한 자료 220개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어떠한 요인이 서비스관리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한 결과 직무만족의 수준은 3.01로 중간을 조금 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여성보다는 남성이, 연령이 낮은 미혼이, 계약직보다는 정규직이 그리고 타 업무를 병행하지 않는 서비스 관리자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바, 개인관련요인으로는 성별이, 근무관련요인은 타 업무 병행 여부와 기관장의 의지가, 서비스관련 요인은 서비스 태도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가운데도 기관장의 의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 다음은 서비스 태도, 타 업무 병행 여부, 성별 순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사업수행기관의 기관장 지지와 관심이 높거나, 서비스 태도가 좋고, 타 업무를 병행하지 않으며, 남성일수록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만족도가 평균 이하로 낮은 수준인 급여 및 각종 혜택과 고용의 안정성 및 업무량이나 근무시간의 적절성, 근무시설 및 복지후생여건의 개선 등에 관한 방안의 개선이 요구되었다. 특별히 급여의 경우 3년 연속 동결된 낮은 급여로 인하여 그 개선이 절실히 필요하며, 업무량 및 근무시간의 적절성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사업수행기관에서 타 업무와의 병행을 하지 않도록 하며, 노인돌보미의 인력을 활용하여 행정지원을 받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특히 사업의 성공 및 효과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휴먼서비스의 핵심이 되는 서비스 관리자들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