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analysis of the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Falls by the Elderly in the Eight Countries: Comparison Between Aged 70's and 80's

외국의 노인 낙상 예방 프로그램 메타 분석: 70대와 80대 고령자 집단의 비교

  • 박승민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노년학 연구소)
  • Received : 2009.10.06
  • Accepted : 2010.02.16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eta-analyze on a comparative basis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falls by the elderly in their 70's and 80's in the eight countries. Eleven studies conducted by RCT were found via Medline in Ovid, PsychInfo and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Use of Review Manager shows that interventions in the 70's group are effective (OR=0.65, 95%) but that those in the 80's group are not (OR=1.57, 95%). Furthermore, the effectiveness of the 70's treatment group is not durable. This paper has three policy implications: First, new intervention programmes for preventing falls by the 70's group should be developed toward increasing durability. Second, existing programmes for the 80's group should be amended to enhance effectiveness. Lastly, new programmes that include cognitive-behavioural components should be designed for elderly individuals suffering from mental diseases.

본 논문의 목적은 8개 국가에서 이뤄진 70대와 80대 고령자 집단의 노인 낙상 예방 프로그램의 메타 비교분석을 통해 향후 한국의 효과적인 노인 낙상 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분석 자료는 Medline in Ovid, PsychInfo,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에서 체계적 검토법을 통해 추출한 총 11건의 RCT 연구 논문이다. Review Manager를 이용한 메타 분석 결과, 노인 낙상 예방 프로그램은 70대 고령자 집단에서는 효과성이 있었으나(OR=0.65, 신뢰도 95%), 지속적이지는 못했으며, 80대 고령자 집단에서는 효과성이 없었다(OR=1.57, 신뢰도 95%). 본 논문은 향후 한국의 효과적인 노인 낙상 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세 가지 정책적 함의를 제공해 주고 있다. 첫째, 70대 고령자 집단을 대상으로 한 지속적인 낙상 예방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고, 둘째, 70대와 차별화된 80대 이상의 고령자에 대한 효과성이 담보된 새로운 낙상 예방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끝으로, 노인성 질환을 앓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행동적 요소를 고려한 차별화된 새로운 낙상 예방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