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Effective Role of Education on International Trade and Income Distribution

국제무역과 소득분배에 대한 교육의 역할

  • Yoo, Il-Seon (Dept. of International Trade and Economics, Korea Maritime University)
  • 유일선 (한국해양대학교 국제무역경제학부)
  • Received : 2010.11.10
  • Accepted : 2010.12.10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In this paper is two-step trade model introduced. It is assumed that countries have 3 basic factors- capital(K), land (Z)and population(N)-as national factor endowments. As the first step, education 'produces' 'educated labor(EL)' which embodies new knowledge or new technology by using the population and capital as inputs. As the second step, manufacturing goods is produced with EL and uneducated labor(UL), and agriculture goods with land and UL. According to this model, the higher the increase rate of capital in a country is, the lower the usage rate of land is, the lower the increase rate of discount is, the country tends to export the manufacturing goods and import the agriculture goods. Trade widens the discrepancy of increase rate of EL in both countries but reduces the gap of increase rate of relative wage of EL as far as the gap of usage rate is not so big. Trade also affect real income rather than nominal income. This model can be extended to explain the migration from rural areas to urban areas when the manufacturing sector and education organization exist in urban area while the agricultural sector exist in rural area.

이 논문은 한 국가가 요소부존으로 인구(N), 자본(K)과 토지(Z)를 갖는다고 가정한다. 1단계로 교육은 인구와 자본을 결합하여 신지식과 신기술을 체화한 '교육노동'(educated labor)을 '생산'하고, 2단계로 '교육노동'과 '비교육노동'(uneducated labor)을 결합하여 제조업을 생산하고 '비교육노동'과 토지를 결합하여 농산물을 생산하는 무역모형을 제시한다. 이 모형에 의하면 일단 무역이 시작되면 국가의 특성에서 자본증가율이 높을수록, 토지사용률이 낮을수록, 할인율상승률이 낮을수록 제조품이 수출되고 농산품이 수입되는 무역패턴이 강화된다는 것이다. 또한 자본증가율, 인구증가율, 토지사용률과 할인율의 차이가 있는 국가간 무역이 발생하면 이 무역모형은 양국의 교육노동증가율 격차는 확대되고 교육노동 상대임금 상승률은 토지사용률의 차이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그 격차가 축소되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두 노동자간 소득비율변화에 대해서 무역은 명목소득 비율보다는 실질소득 비율에 더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지역에 교육부문과 제조업이, 농촌지역에 농업이 존재한다고 한다면 농촌지역에서 도시지역으로 인구이동현상을 교육노동자가 되기 위한 것과 제조업과 농업의 한계생산물 차이로 설명할 수 있는 모형으로 확대적용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