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Gong Ok-jin's solo performance of Changmugeuk Analysis of the Korean sentiments and artistic values of the choreography

공옥진 1인 창무극에서 무(舞)의 한국적 정서와 예술적 가치 분석

  • Received : 2009.12.28
  • Accepted : 2010.02.05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Research on Gong Ok-jin's choreography and its artistic value is still insufficient in the academia of Korea. Her life cannot be said even or smooth - she was born into an artist family with abundant innate talent and sensitivity, feeling joy and sorrow as a gypsy artist begging for food, facing and overcoming the crisis of her trademark deformed dance during the period when she played the solo performance of Changmugeuk, making a transition to the animal dance and finally to the sick dance getting her health back from the long struggle against disease. Her life, however, has always been an artistic expression and we can know that art has been the consolation and driving force of her life. In the Korean artistic tradition that integrates music, singing and dancing, it is beyond doubt that the third has been rather secondary compared with the first two. In the Changmugeuk, however, Gong Ok-jin focuses on each movement of hers, commensurate with the humorous witticism and the traditional opera of pansori. What is her message in such painstaking movements? She puts gestures ahead of words and continues them, reminding her audience of the meaning of dance and driving it into them. Especially, her deformed dance, unprecedented in choreographic history, is hard to understand if you do not sympathize with Koreans' innermost emotions. If you are to understand it, you should first feel what emotions are in Koreans' mentality to be expressed in the form of choreographic elements and what artistic values they carry. This study, in this context, is to reflect upon the original choreographic form of her Changmugeuk solo and to overview Korean dance's unique emotional values with regard to the way Korean choreographic subject matters and traditions are passed down.

아직 학계에서는 공옥진의 춤 인생에 관해 춤의 예술적 가치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진하다. 그녀의 인생은 타고난 예인의 집안에서 나고 자란 소질과 풍부한 감성, 각설이패시절과 유랑예인집단에서의 걸립 공연 당시의 애환, 창무극 활동기에 겪었던 <병신춤>의 위기와 극복, <동물춤>으로의 전환, 그리고 투병생활을 하며 망가진 몸을 극복하며 <환자춤>이라는 공연을 하기까지 삶은 그리 관대하지 않았다. 하지만 그녀의 삶의 질곡은 늘 예술적 발로가 되었고, 예술은 그녀가 살아가기 위한 위안이자 큰 원동력으로 작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예로부터 악가무(樂歌舞) 일체 형식이란 우리민족 고유 예술의 특성에 있어 무(舞)는 음악과 노래의 비중에 비해 다소 부차적인 몸짓 예술로서 존재한 것만은 사실이다. 공옥진의 창무극에서 해학적인 재담과 판소리에 이어 독창적인 춤사위는 몸짓 행위하나하나에 무엇보다 집중하고 있다. 무엇을 전달하고자 그리도 원초적인 애를 쓰는지, 말보다 앞선 제스처와 끊임없이 이어지는 연기에는 무엇보다 춤이라는 의미를 각인시키며 춤의 의미를 다시한번 생각하게 한다. 특히 공옥진의 <병신춤>이라 부르는 춤은 역사상 유례가 없는 것으로, 무엇이 한국인의 정서에 부합되어 몸짓언어로 발화되며 예술적 가치를 지니는지에 대해서는 우리의 원초적인 정서를 공감하지 않고서는 이해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옥진 1인 창무극에서 무(舞)의 독창적인 형태를 고찰해보고 한국적 소재와 전통의 계승방식에 있어서 우리전통춤의 독자적인 정서가치를 나름대로 정리하는 수준에서 연구해 본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