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규 연출 '완판 창극'의 특징과 의의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Wanpan Changgeuk' Written by Heogyu

  • 김기형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투고 : 2009.12.26
  • 심사 : 2010.02.05
  • 발행 : 2010.02.28

초록

허규는 80~90년대 창극 연출을 담당하며 왕성한 활동을 전개한 바 있다. 그는 전승 5가 뿐만 아니라 실전 판소리를 창극화 하였으며, 창작 창극 작품도 다수 무대에 선보였다. 특히 '완판 창극'이라는 이름으로 1982년 <흥보전>을 무대에 올린 후 1985년 <적벽가>를 공연함으로써 전승 5가의 창극화 작업을 완결지은 것은 그가 남긴 큰 업적 가운데 하나이다. 허규는 주체적 민족문화의 정립과 한국 전통연희의 창조적 계승 문제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던 실천적인 연극인이다. 그는 창극을 한국의 대표적인 공연예술로 정립하고자 노력했다. 창극 작품은 그 연원에 따라, (1)전승 5가의 창극화 (2)실전 7가의 창극화 (3)창작 창극으로 세분해 볼 수 있다. 허규가 연출한 작품에는 이 3가지 유형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그 가운데 전승 5가를 창극화한 작품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허규가 시도한 '완판창극'은 한국의 전통유산 가운데 빼어난 예술적 성과를 거둔 요소들을 집대성하여 무대에 올림으로써, 창극을 한국의 대표적인 공연예술로 정립해 보고자한 것이다. '완판창극'에 나타난 특징은 다음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1) 전통을 중시하는 연출 태도, (2) 전통연희 요소의 적극적 수용, (3) 격조와 윤리의식의 중시, (4) 해학의 강조와 보조인물의 적극적 활용이 그것이다. 허규가 시도한 '완판창극'은 창극이 성취할 수 있는 예술적 수준의 한 정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판소리 유산을 망라하고 나아가 전통연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창극을 한국의 대표적인 공연예술로 정립해 보고자 했던 것이다. 허규는 '완판창극'에서 판소리의 진정성을 그대로 살리려고 노력했으며, 처음부터 끝까지 한 대목도 빠뜨리지 않고 장면화 하려고 했다. '완판창극'의 공연 시간이 4~5시간이나 소요되었다는 것이 그 점을 잘 보여준다. 허규가 완판창극에서 거둔 성과는 이후 창극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1990년대에 시도된 '완판장막창극'도 그 모태는 허규의 '완판창극'에 두고 있다. 창본을 종합해 내고 판소리의 좋은 점을 모두 보여주고자 하는 의도가 일치한다는 점에서 특히 그러하다. 그렇지만 90년대 '완판장막창극'은 대형 무대화를 지향했으며 화려한 무대장치와 의상 그리고 버라이어티한 요소를 부각시켰다는 점에서 '완판창극'과 대비된다. 허규의 완판창극이 끼친 중요한 영향 가운데 하나는 판소리의 '열린 형식'을 창극의 공연 문법으로 적극 활용했다는 점이다. 허규는 극의 전개 과정에서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전통연희의 요소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극적 표현 영역을 확장하고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했다. 이러한 그의 시도는 창극 극작술의 한 방식으로 인식되어, 이후 창극연출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요즘 창극은 어떻게 하면 청중들의 호응을 얻을 수 있을까에 관심을 집중하기 때문에, '감동받는 창극' 보다는 '재미있는 창극'을 만드는 일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듯하다. 공연 시간도 최대 2시간을 넘지 않으려고 하며, 관현악 반주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이런 관점에서는 허규가 '완판창극'을 통해 구현하고자 했던 창극의 지향점은 극복의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It has been diversified and serious attempt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Changgeuk, but it is still independent dramaturgy or the current unformed progressive art. In this situation, exploring works of the identity of changgeuk that is base on the performed individual and specific works in the title of Changgeuk is needed. The 80s and 90s Heo, Gyu was leading an active life as a director who was responsible for directing of Changgeuk. He dramatized Siljeon Pansori -which is a group of Pansori missing text- as well as 5-remained Songs in Pansori and he presented a number of creative Changgeuk works on stage. Especially, the completion of dramatizing 5-remained Songs in Pansori under the name of 'Wanpan Changgeuk -which means full version performance without omit-' is the one of his big achievement by performing "Heungbojeon" on the stage 1982 and "Jeokbyeokga" 1985.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confirmation of Heo's direction of the formulation and considering its characteristics & significance through 'Wanpan Changgeuk' which written by Heo. Heo was a practical play who was interested in the subjective formulation of national culture and creative transmission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 He tried to formulate Changgeuk to a representative performance of Korea. In the process he pointed out those problems, (1) interpretation of a work problem, (2) actor's creative problems, (3) structure problem of theater for Changgeuk. He indicated that the other challenges are to use of the stage & device, to overcome sentimentalism, to stylize acting, to improve own quality, to control the speed and length of the song, to choose the suitable musical accompaniment, to create new repertories problems, and etc. Changgeuk is classified in 3 group by origin, (1)dramatizing of 5-remained Songs, (2)dramatizing of 7-missing Songs, (3)creative dramatizing. It contains all of 3 types that Heo's work. The dramatizing of remained 5 Songs are the great importance among those works. Heo hoped that Chaggeuk has become the most representative art work of Korea by performing 'Wanpan Changgeuk' compiled heritage of Korea's outstanding artistic achievement. The characteristics of 'Wanpan Changgeuk' can be summarized following four. (1) Directing attitudes that emphasizes tradition, (2) Accepting the elements of traditional performance actively, (3) Valuing the classy and ethic, (4) Emphasizing humor and active utilizing of the secondary characters. Heo's 'Wanpan Changgeuk' shows a peak of the artistic level which Changgeuk can be reached. He want to make Changgeuk a Korean representative artistic performance by compiling Pansori heritage and accommodating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 Heo continued his effort to present Pansori's authenticity and to dramatize from beginning to end without missing. It shows very well that 'Wanpan Changgeuk' takes 4~5 hours for playing. It looks Heo's achievement in the 'Wanpan Changgeuk' influenced Changgeuk significantly since then. Heo's 'Wanpan Changgeuk' is matrix of 'Wanpan JangMak Changgeuk' attempted in the 1990s. Especially, their intent is consistent to synthesize texts and to show all the virtue of Pansori. But 90's 'Wanpan JangMak Changgeuk' aim for large stage, fancy device & costume and variety contents compared with 'Wanpan Changgeuk'. Recently, producers have tried not to make a impressive Changgeuk but to make a interesting one. They usually organize performance within 2 hours and prefer orchestral music to its unique sound. In those point of view, it seems that Heo's idle in 'Wanpan Changgeuk' has become one of target to conquer in these day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