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도 변화에 따른 산마늘, 곰취, 곤달비의 생장 및 Ascorbic acid 함량분석

Analysis Growth Performance and Ascorbic Acid Contents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Ligularia fischeri, and L. stenocephala Under Changing Light Intensity

  • 김길남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 조민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 권기원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Kim, Gil-Nam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Forest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Cho, Min-Seok (Forest Practice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won, Ki-Won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Forest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09.11.30
  • 심사 : 2010.01.27
  • 발행 : 2010.03.31

초록

본 연구는 산마늘, 곰취, 곤달비를 대상으로 피음 수준을 전광 처리구(상대 투광율; 100%), 약피음 처리구 (상대 투광율; 64~73%), 보통피음 처리구(상대 투광율; 35~42%), 강피음 처리구(상대 투광율; 9~16%)의 4단계로 달리하여 이들의 생장 특성 및 ascorbic acid 함량을 조사 분석하였다. 산마늘의 엽면적과 총 물질생산량은 보통피음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지만 곰취와 곤달비는 엽면적과 총 물질생산량이 약피음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세 식물의 엽두께는 피음 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피음 수준이 증가할수록 지하부의 생장보다 지상부의 생장이 양호하여 T/R율은 증가하였다. ascorbic acid 함량은 산마늘이 곰취와 곤달비보다 많았으며, 산마늘은 보통피음 처리구에서, 곰취와 곤달비는 약피음 처리구에서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growth performance and ascorbic acid contents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Ligularia fischeri, and L. stenocephala growing under four different light intensity regimes (full sun, and 64~73%, 35~42%, 9~16% of full sun). The leaf area and total biomass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were highest in 35~42% of the full sun. However, the leaf area and total biomass were highest in 64~73% of the full sun in Ligularia fischeri, and L. stenocephala. The leaf thickn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shading in all three wild vegetables. The growth of root comparing to that of shoot decreased as shading increased, and as the result, the ratio of shoot biomass to root biomass increased. Ascorbic acid contents were higher in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than in Ligularia fischeri and L. stenocephala.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showed the highest contents of ascorbic acid in 35~42% of full sun. Whereas Ligularia fischeri and L. stenocephala showed the highest in 64~73% of full su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갑태, 엄태원. 1997. 가리왕산의 산채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6(4): 422-429.
  2. 김상옥. 1985. 시금치의 유통중 조위 현상과 Vitamin C의 함량.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4(1): 23-26.
  3. 김완순, 허건양, 이동우, 이정식. 1995. 차광정도가 지피 식물인 Wegelia robusta.와 Vinca minor의 생육 및 지피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지 36: 588-594.
  4. 김용두, 양원모. 1986. 산채의 성분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5(4): 10-16.
  5. 남유경, 백정애. 2005. 국내 자생 산채류의 연구현황과 개발 가능성. 한국식물. 인간. 환경학회지 8(1): 1-10.
  6. 문성기, 정순해, 최철민. 2003. 시장에 유동되는 식용식물의 분류. 한국생명과학회지. 13(6): 764-774.
  7. 방광자, 주진희. 2004. 실내식물 개발을 위한 광조건이 자생 후추등의 생육과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32(4): 1-6.
  8. 유용권, 김기선. 1997. 차광정도가 무궁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지 38(5): 520-526.
  9. 이창복. 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p. 910.
  10. 정진철, 옥현충, 허온숙, 김충국, 김승열, 김원배. 2005. 산마늘의 식품 성분과 수확 후 생리적 특성. 한국원예학회지 23(2): 164-169.
  11. 조은자. 2000. 산채류의 이용실태에 대한 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5(1): 59-68.
  12. 최상태, 이준탁, 박우철. 1993. 야생 산마늘의 생육 환경과 영양 평가. 한국응용생명화학회 36(6): 502-509.
  13. 최정호. 2001. 인공피음이 주요수종의 생장 및 수분특성과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52.
  14. 홍정기, 방순배, 권순배, 김시창, 모영문. 1997. 곰취의 양액재배 기술 개발 I. 배지종류, 배지량, 재식밀도에 따른 곰취의 생육 및 수량. 농업과학논문집 10(4): 401-410.
  15. Cooper. C.S. and Qualls, M. 1967. Morphology and chlorophyll content of sahde and sun leaves of two lengumes. Crop Sci. 7: 672-673. https://doi.org/10.2135/cropsci1967.0011183X000700060036x
  16. Fails. B.S., Lawis, A.J. and Barden, J.A. 1982. Anatomy and morphology of sun and shade grown Ficus benjamina. J. Amer. Soc. Hort. Sci. 107(5): 754-757.
  17. Messier, C. 1992. Effects of natural shade and growing media on growth biomass allocations and competitive ability of Gaultheria shallon. Can. J. Bot. 70: 2271-2276. https://doi.org/10.1139/b92-282
  18. SAS Institute Inc., 2000: SAS/STAT TM Guide for Personal Computer. Version 8 Edition. SAS Institute Inc., 1026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