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Background/Aims: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CAPD) is an established treatment in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ESRD), and innovations in the connection system have improved the survival of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over the last two decades. We investigated the outcome of CAPD over a 15-year period at our institution. Methods: Patients who underwent peritoneal dialysis since 1994 were recruited retrospectively. Patients younger than 15 years at the initiation of CAPD and those who had less than 1 month of follow-up or missing data were excluded. The technique survival rate and causes of technique failure were evaluated. Results: In all, 608 CAPD patients (342 males, 56.3%) were analyzed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and log-rank test. The mean age at the start of CAPD was $50.7{\pm}15.1$ years and the mean duration of CAPD was $50.2{\pm}41.5$ months. The most common primary renal disease was diabetes (39.6%), followed by chronic glomerulonephritis (37.2%) and hypertension (13.0%). The $1^-$, $3^-$, $5^-$, and 10-year death-censored technique survival rates were 97.3, 91.7, 82.8, and 67.5%, respectively. Sex or diabetic status did not affect the technique survival rate. Patients younger than 60 years at the start of CAPD had a better technique survival than older patients (p=0.005). The main cause of technique failure was peritonitis (71.6%), followed by mechanical malfunction (10.5%), ultrafiltration failure (7.4%), and inadequate dialysis (6.3%). Conclusions: Complicating peritonitis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CAPD technique failure at our center. To reduce the technique failure in high-risk groups, more intensive management is needed.
목적: 지난 20년간 복막투석용 도관의 연결시스템이 발달함에 따라 기술 생존율이 향상을 보인다는 국내외 여러 기관의 보고가 있었다. 이에 대해 본 저자들은 복막 기술 생존율과 기술 실패의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1994년 이후 본원에서 복막투석을 시행한 환자들의 자료를 후향적으로 수집하였다. 복막투석 시작 당시 15세 미만이거나, 관찰 기간이 1개월 미만인 경우, 그리고 기록이 잘 보존되지 않은 환자의 경우는 제외하였다. 총 60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복막투석의 기술 생존율과 탈락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608명 중 남자가 342명(56.3%), 여자가 266명(43.7%)이었다. 생존 분석은 Kaplan-Meier 방법과 log-rank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복막투석 시작 당시의 평균연령은 $50.7{\pm}15.1$세였고, 평균 복막투석 지속기간은 $50.2{\pm}41.5$개월이었다. 만성신부전의 원인 질환으로는 당뇨병이 241명(39.6%)으로 가장 많았고, 만성 사구체 신염이 226명(37.2%), 고혈압이 79명(13.0%)이었다. 기술 생존율은 각각 1년째 97.3%, 3년째 91.7%, 5년째 82.3%, 10년째가 67.5%였다. 당뇨병 유무는 기술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26). 60세 이전에 투석을 시작한 군에서 60세 이후에 투석을 시작한 군보다 기술 생존율이 높았다(p=0.005). 복막 투석 중단의 원인 중 기술적 원인으로는 복막염이 68명(71.6%)으로 가장 많았고, 도관 기능부전이 10명(10.5%), 한외여과 실패 7명(7.4%) 및 부적절한 투석이 6명(6.3%), 도관 감염이 4명(4.2%)이었다. 결론: 복막염은 여전히 복막투석 중단의 가장 큰 원인이었으며, 복막투석의 기술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복막염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