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hod of Estimating the Ground-Motion Intensity Measures at a Nearby Site by using the Time-domain Transformation of Site Response

지진파형의 시간영역 부지응답특성 변환을 통한 인접부지의 지진동세기 추정 방법

  • Yun, Kwan-Hee (Dept. of Nuclear Engneering, KEPCO Research Institute) ;
  • Park, Dong-Hee (Dept. of Nuclear Engneering, KEPCO Research Institute)
  • 연관희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
  • 박동희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 Received : 2010.07.06
  • Accepted : 2010.08.10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Current earthquake alert notification for immediate post-earthquake procedures for the critical facilities is exclusively dependent on the ground-motion intensity measures observed at the seismic station located within the site. This practice is prune to false notification due to a noise and problems of missing and poor quality records of the seismic station. The credibility of the earthquake alert notification can be enhanced by utilizing the multiple transformed records of the nearby seismic stations at other sites interconnected to the same earthquake monitoring system by a network. The time-domain transformation of the site-response between the seismic stations is implemented by convoluting the nearby records with a pair of forward and inverse FIR filters designed for the site response relative to a seismic basement. The transformed records from the nearby seismic stations can be used to estimate the ground-motion intensity measures missing at the site or to evaluate the data quality along with other various possible applications in the area of geoscience and earthquake engineering.

지진발생시 주요 시설물의 위험 정도를 신속히 판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최근에는 시설물이 위치한 부지에 지진계를 설치하고 시설물에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지진파가 감지되면 즉각 대처에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통보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의 단점은 시설물의 지진피해 가능성을 부지 내에 설치된 단일 지진관측소 자료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통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이 낮다. 한편 단일 부지 내에 설치된 지진계가 다른 여러 부지의 지진관측소로 구성된 특정 지진관측망과 연계되어 있을 경우, 관측망 내의 다수 지진관측소 자료를 동시에 활용하여 네트웍 개념의 신속한 지진 위험성 감지가 가능하다. 지진관측망 내의 다른 여러 부지 관측소를 동시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관측소 간의 부지응답특성 변환이 필요한데, 본 연구에서는 관측소마다 사전에 평가된 고유의 부지응답특성 FIR 필터를 이용하여 시간영역에서 지진 관측자료 간의 부지응답특성을 변환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관측소 지진파형 간의 부지응답특성 변환은, 특정 지진관측소의 부지응답 역변환필터와 지진파형의 곱말기의 1차 변환 및 1차 변환된 지진파형과 대상 지진관측소의 부지응답 변환필터와의 곱말기를 통한 2차 변환으로 구현된다. 본 방법을 이용하면 자료 획득이 되지 않은 특정 관측소의 지진동세기를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게 되며, 특정 지진관측소의 계측자료와 인근 관측소로부터 변환된 다수의 지진동세기와의 크기 비교를 통해 지진관측기기의 이상 유무를 평가하는 이외에도 다양한 지구물리학적, 지진공학적 응용이 가능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연관희, 2007, 한반도 남부지역에 대한 2차원 Q 토모그래피 역산, 공학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 연관희, 박동희, 장천중, 심택모, 2008, 지진관측자료를 이용한 지진동감쇠식의 불확실성 평가, 2008년도 한국지진공학회 학술발표회, 한국지진공학회, 116-123.
  3. 이덕기, 이현, 유용규, 박준천, 전영수, 황의홍, 2009, 기상청의 국가 지진 주요정책 소개, 2009년도 한국지진공학회 추계워크샵 발표회, 한국지진공학회, 221.
  4. Allen, R. M. and Kanamori, H., 2003, The potential for earthquake early warning in Southern California, Science Magazine, 300, 786-789.
  5. Anderson, J. G., and Hough, S. E., 1984, A model for the shape of the fourier amplitude spectrum of acceleration at high frequencies, Bulletin of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74, 1969-1993.
  6. Iglesias, A., Singh, S. K., Ordaz, M., Santoyo, M. A., and Pacheco, J., 2007, The seismic alert system for Mexico City: an evaluation of its performance and a strategy for its improvement, Bull. Seism. Soc. Am., 97, 1718-1729. https://doi.org/10.1785/0120050202
  7. Kamigaichi, O., 2004, JMA earthquake early warning, Journal of Japan Association for Earthquake Engineering, 4, 134- 137. https://doi.org/10.5610/jaee.4.3_134
  8. Olivieri, M., Allen, R. M., and Wurman, G., 2008, The potential for earthquake early warning in Italy using ElarmS, Bull. Seism. Soc. Am., 98, 495-503. https://doi.org/10.1785/0120070054
  9. Wu, Y.-M. and Teng, T.-L., 2002, A virtual subnetwork approach to earthquake early warning, Bull. Seism. Soc. Am., 92, 2008-2018. https://doi.org/10.1785/012001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