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eriment LOS Analysis of 3D Point Spatial Data

3차원 포인트 공간자료 가시선 분석 실험

  • Received : 2010.04.09
  • Accepted : 2010.04.30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Using 3D point data implemented from terrestrial LiDAR, this research has modelled geospatial data in 2 categories(gridded & un-gridded) and conducted LOS analysis experiment using outcome from the modeling exercise. To compare LOS analysis results from each of the 2 models in the above, maximum LOS (line of sight) range in the experimental area was specified as 30m in Area A, 40m in Area B and 50m in Area C and the time taken by LOS analysis and the number of visible points were measured. As for the LOS analysis experiment results, in comparison with the gridded model, the un-gridded model took about 3.9 times more time in Area A, 5.4 times in Area B and 6.5 times in Area C. In addition, about 0.97 times fewer points were measured in Area A, 0.93 times in Area B and 0.94 times in Area C. The difference between gridded model and un-gridded model in terms of the time taken by LOS analysis increased, as the maximum LOS range extended.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visible points did not vary significantly in reference to the size of visible range.

본 연구는 지상라이다로부터 획득한 3차원 점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축된 공간자료를 격자(gridded) 및 비격자(un-gridded)로 구분하여 모델링을 실시하였고, 이러한 모델링 결과를 이용하여 가시선 분석 실험을 실시하였다. 두 모델의 형태에 따른 가시선 분석 결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실험지역의 가시선 최대 도달거리를 A지역 30m, B지역 40m, C지역 50m로 구분하였고, 가시선 분석 소요 시간과 가시되는 점의 개수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비격자모델의 경우, 격자모델에 비해 지역별로 A지역은 약 3.9배, B지역은 약 5.4배, C지역은 약 6.5배 정도 많은 시간이 가시선 분석에 소요되었으며, A지역은 약 0.97배, B지역은 약 0.93배, C지역은 약 0.94배 정도 적은 가시점 개수가 측정되었다. 가시선 분석 소요시간은 가시선의 최대도달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격자모델과 비격자 모델의 차이가 증가함을 알 수 있고, 반면에 가시되는 점의 개수는 가시반경의 크기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용석, 정창식, 윤경철, 박운용, 2004 "GIS를 이용한 문화.관광자원의 가시권 분석", 한국측량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429-433.
  2. 김지은, 2003, 다중뷰 포인트 3차원 데이터의 통합 곡면 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lgorithm forSurface Generation From Multi View Scattered Data,석사학위논문, 서울산업대학교, pp.1-2.
  3. 김진택, 엄정섭, 2004 "GIS를 활용한 아파트 지역의 전파 장애 실태 평가" 한국GIS학회 04 GIS/RS 공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389-397.
  4. 어양담, 박완용, 이용웅, 이병길, 편무욱, 2008, "지형고도자료 해상도가 가시선분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제11권 제3호, pp.99-105.
  5. 이용웅, 성창섭, 양우석, 임성빈, 어양담, 2006, "지형공간 정보를 이용한 감시장비 배치 최적화 실험 연구",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제9권 제1호.
  6. 이준학, 김항덕, 오경두, 2009, "가시권 분석에서의MAUP 영향분석",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제12권 제1호, pp.80-87.
  7. 장문현 등, 2004, 도시경관 진단을 위한 실시간Web 3D GIS 구축 툴 개발 연구개발결과보고서,정보통신부.
  8. 홍태민, 편무욱, 강남기, 이병길, 김창재, 2009, "격자화된 지상라이다자료의 3차원 가시선 분석 실험" 한국측량학회지, 제27권 제3호, pp.357-365.
  9. Andrew S. Glassner ,1991, Graphics Gems, Academic Press, pp.446-450.
  10. Benincasa, M. M,, 1994, "Parallel Implementation ofthe Terrain Masking Algorithm", Rome Lab., GriffissAFB, N.Y.
  11. http://en.wikipedia.org/wiki/Floor_ function
  12. Po-Han Lin, 2005, Extremely Fast Line Algorithm, Edepot.com, http://www.edepot.com /algorithm.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