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ilities Management Using Multi-Dimension Spatial Information

다차원 공간정보를 이용한 시설물관리

  • 최석근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부) ;
  • 조의환 (충북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이병용 (충북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0.01.25
  • Accepted : 2010.02.21
  • Published : 2010.03.30

Abstract

The latest multi-dimension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is emerging its importance as material for carrying out efficient facilities management's supporting business about numerous facilities inside a university, budgeting decision-making supporting business such as operating expenses' budgeting and management, etc. and admission advertisement, etc.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selected an optimal location that can maximize spatial utilization of a building to be newly built by constructing multi-dimension spatial information for facilities management of a university, and executed a site suitability analysis according to transfer of a university symbol and a landscape analysis, etc. according to external environment change. As a result, it appeared that the effects such as prevention of duplicate investment and budget saving, etc. due to university's comfortable spatial composition and systematic comprehensive development & budgeting or decision-making support in case of execution, etc. caused by rationalization of facilities plan & management can be maximized.

최신 다차원 공간정보기술은 대학 내의 수많은 시설들에 대한 효율적 시설물관리 지원업무, 사업비 예산편성 및 관리 등의 예산편성 의사결정지원업무, 그리고 입시홍보 등을 수행하는 자료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시설물관리를 위한 다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하여 신규 건축예정인 건물에 대해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의 입지를 선정하였으며, 대학 상징물 이전에 따른 적지분석, 외부 환경변화에 따른 경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시설물 계획.관리의 합리화로 인한 대학의 쾌적한 공간조성 및 체계적 종합발전과 예산편성 또는 집행 시의 의사결정지원 등으로 중복투자방지와 예산절감 등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5, 3차원 공간정보구축 시범사업, 건설교통부.
  2. 한기봉, 이지영, 강인준, 2009, u-City 도시시설물관리서비스모델 분류체계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제 17권 4호, pp.81-86.
  3. 김종화, 편무욱, 김상국, 황연수, 강남기, 2009, 지상LiDAR 자료의 절토량 산정 실험,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7권 2호, pp.11-18.
  4. 김태훈, 홍창희, 2008, u-City 도시지상시설물 관리모델구축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6권 2호, pp.17-22.
  5. 남상관, 최현상, 오윤석, 류승기, 2008, 지능형 도시 관리를 위한 지상시설물 분류 및 분석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6권 2호, pp.23-30.
  6. 이원희, 유기윤, 2003, 수치지도와 LiDAR를 이용한 도시지역 건물 3차원 모델링, 2003년 공동춘계학술대회.
  7. Halla, N. and Banner, C., 1999, Extraction of buildings and trees in urban environments, ISPRS Jou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Vol. 54, No. 2-3, pp.130-137. https://doi.org/10.1016/S0924-2716(99)00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