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진대회 수상자를 통한 학생포트폴리오 작성 경험의 의미

Study on the Meaning of Student Portfolio Construction That Portfolio Competition Winners Experienced

  • 한지영 (인하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Han, Ji-Young (Innovation Center for Engineering Education, Inha Univ.)
  • 투고 : 2009.12.15
  • 심사 : 2010.03.13
  • 발행 : 2010.03.31

초록

본 연구는 학생포트폴리오 작성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학생포트폴리오의 교육적 가치 및 작성지도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는데, 포트폴리오에 대한 문헌연구를 토대로 인터뷰 문항을 구성하고 인천광역시 소재 I 대학의 학생 9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에 응한 학생들은 교내 학생포트폴리오 경진대회의 수상자 11명 중 일부로써 인터뷰 전 과정을 녹취하고 이를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인터뷰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공학교육인증 평가를 위해 타의적으로 학생포트폴리오 작성을 시작하였으나 학생포트폴리오 작성이 필요하며 저학년 때부터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다. 학생포트폴리오 작성시의 어려움으로는 자료 관리의 미비로 자료의 부족을 손꼽았으며 포트폴리오 자체에 대한 인식이 낮아 표준 양식을 제공해 준다고 하더라도 어떻게 작성해야 할지 어려워하고 있었다. 학생들은 학생포트폴리오를 작성함으로써 자기 반성의 기회를 갖고 기록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미래에 대한 준비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또 다른 활동이나 능력 향상을 위한 동기가 생겨나고 자신감을 획득하게 되며, 꾸준한 포트폴리오 작성 과정으로 인해 문서작성 능력의 향상을 인식하게 되는 등 다양한 긍정적인 효과를 경험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ducational value of student portfolio and to give the direction of making student portfolio.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accomplish objectives of the study. 9 students who were winner in competition of student portfolio in I University at Incheon Province were interviewed. Data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analyzed. Most students started to make student portfolio by compulsory, but they realized that it was necessary to start student portfolio from the lower grades. They had difficulties in not having materials of activities and hesitated at the beginning of making student portfolio even though they got standard form from the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d that making student portfolio was effective tool because it could enhance self-reflection, awareness of importance of record, preparation of future, obtaining of motivation for anonther activities, getting self-confidence, and improvement of writing skill.

키워드

참고문헌

  1. 조한무. (1998). 수행평가를 위한 포트폴리오 평가. 교육과학사.
  2. 최미나. 노혜란. 김명숙. (2005). 대학교육에서의 e-교수학습 포트폴리오 개념적 프레임웍 개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1(2): 147-165.
  3. 한중근. (2009). 공학교육발전 방향 포럼: 학생포트폴리오의 의의 및 포트폴리오 평가방향. 공학교육연구포럼 자료집.
  4. 한지영. (2008). 2008 공학교육인증 평가를 돌아보며.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교수세미나 자료집.
  5. Birenbaum. M. & Dochr. F. J. R. C.(Eds.). Alternatives in assessment of achievements. Learning processes and prior knowledge. Boston: Kluwer Academic Pub.
  6. Wade. R.C. & Yarbrough. D.B. (1996). Portfolios: A Tool for Reflective Thinking in Teacher Educa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2(1): 63-79. https://doi.org/10.1016/0742-051X(95)00022-C
  7. Treuer. P. & Jenson. J. D. (2003). Setting Standardsfor electronic portfolio. Educates Quaterly, 26(2): 34-42.
  8. Zabizarreta. J. (2004). The leaming portfolio; reflective practice for improving student leaming. Anker Publishing Company. MA: Bol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