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rmation Literacy Gap of Migrant Worker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다문화사회의 이주노동자의 정보리터러시 격차

  • 이수상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장임숙 (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0.08.27
  • Accepted : 2010.09.27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 that brings about information literacy gap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group with high level and not so high level information literacy for migrant workers and to seek policy to clear the information literacy gap. To accomplish such purpose, the author found the operation of various factors that bring about information literacy gap through in-depth interview of migrant workers and working level NGO staff. The result of interview revealed that information literacy gap of migrant workers is generated by the complex operation of personal characteristics, technical factor, social and economical factor, government policy factor and so on.

이 연구는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정보리터러시(information literacy)의 수준이 높은 집단과 그렇지 않는 집단을 비교분석하여 정보리터러시 격차(information literacy gap)를 야기하는 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이주노동자와 NGO 실무자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정보리터러시 격차를 야기하는 다양한 요인들의 작용을 발견하였다. 조사 결과, 이주노동자의 정보리터러시 격차는 연령, 결혼여부, 직업에 영향을 받을 뿐 아니라, 한국어교육 및 정보활용교육의 차이, 정보기술에 대한 적응력, 사회활동에 대한 적극성, 사회연결망 등의 개인적 차이와 함께 기술적 경제적 사회적 정책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다차원적이고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문화정보서비스를 위한 거버넌스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정보화진흥원, 2010 국가정보화백서(서울 : 한국정보화진흥원, 2010), pp.37-39.
  2. 정보화추진실무위원회, 국가정보화 실행계획 2009-2012(서울 : 정보화추진실무위원회, 2009. 4), p.58.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홈페이지, [인용 2010. 08. 14].
  3. 이용재 등, "이주민의 정보리터러시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0권, 제4호(2009. 12), pp.113-137.
  4. Weetman D. Jacqui, "Is There an Information Literacy Skills Gap to Be Bridged? An Examination of Faculty Perceptions and Activities Relating to Information Literacy in the United States and England," College & Research Libraries(May 2010), pp.203-222.
  5. P. A. Deleo, S. Eichenholtz, and A. Andi Sosin, "Bridging the Information Literacy Gap with Clickers,"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Vol.35, Issue 5(September 2009), pp.438-444. https://doi.org/10.1016/j.acalib.2009.06.004
  6. Vasumathi Sriganesh, "Challenges of Bridging the Information Literacy Gap for the Practice of Evidence Based Healthcare in India," In : ICML9, 20-23 Sep 2005, Salvadore, Brazil.
  7. Michele Bennett et al., "Digital Divide-Definition," Trends Analysis : The Digital Divide-A View of the Digital Divide in the Context of Young Latina Girls from Low-Income Families(2009. fall), p.1.
  8. OECD, Understanding the Digital Divide(OECD : 2001), p.5.
  9. S. Dewan and F. J. Riggins, "The Digital Divide:Current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Vol.6, No.12(2005), pp.298-337. https://doi.org/10.17705/1jais.00074
  10. 정보격차해소에 관한 법률, 제2조 1항.
  11. Y. Ishimura, V. Howard, and Haidar Moukdad, "Information literacy in academic libraries:Assessment of Japanese students' needs for successful assignment completion in two Halifax universities," The Canadian Journal of Information and Library Science, Vol.31, No.1(2007), pp.1-26.
  12. Y. Ishimura, V. Howard, and Haidar Moukdad, "Information literacy in academic 조용완, 이수상,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정보리터러시 현황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4권, 제1호(2010), pp.75-99.
  13. 이준, "다문화가정 초중등학생을 위한 정보격차 해소 방안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2009. 11), pp.41-50.
  14. 오의경, 장혜란, "대학생의 정보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9권, 제3호(2005), pp.207-231.
  15. 이정연, 최은주,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효용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0권, 제1호(2006), pp.315-334. ;
  16. 정영미, "정보활용 교육이 도서관과 정보활용능력 자가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4호(2009), pp.265-280.
  17. Becta, What Research Says About ICT and Initial Teacher Training? 2003, [cited 2004.7.4].; Mutula, S.M. and D.L. Mutula, "ICT Integration in Botswana Secondary Schools:: Digital Divide Factor and Implications for Information Literacy," Afr. J.Lib & Inf. Sc. Vol.17, No.2(2007), p.137. 재인용.
  18. 서진완, "정보리터러시의 개념을 이용한 지역주민의 정보화수준 측정," 한국행정학보, 제34권, 제1호(2000. 봄호), pp.309-325.
  19. 장임숙, "이주민 소수자정책의 정향과 정체성 분석," 한국지방정부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2010.8. 20). p.4.; 한국지방정부학회 홈페이지 세미나자료실, 〈http://www.klog.or.kr/〉.
  20. 이제관, 김선희, "정보리터러시가 소상공인의 온라인 활동 수준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연구, 제29권, 제1호(2007. 3), pp.49-64.
  21. 손동원, 사회네트워크 분석(서울 : 경문사, 2002), p.10.
  22. Melissa Gross and Don Lathama, "Attaining information literacy :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kill level, self-estimates of skill, and library anxiety,"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Vol.29, No.3(2007), pp.332-353. https://doi.org/10.1016/j.lisr.2007.04.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