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Transition of Elements of the Book Colophon in Korea

우리나라의 도서 판권기 기술요소 변천 고찰

  • Received : 2010.08.27
  • Accepted : 2010.09.27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Colophon means an element to describe bibliographic areas of the concerned book on the specific space like a back of the title page or the last page of a book. Colophon functioned as an information source when cataloging in a library, an area concerning the copyright and as an useful information to readers. The publication of a new book has begun since early 1900s in Korea. And the element of the colophon is dependent on changes in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Among the element of the colophon early 1900s until now, the elements consistently appear on the title and the author, a place of publication, a publisher, the date of publication and the price. Additional the elements according to the change of social environment are the edition, ISBN, the registration of publisher, the address of publisher and an author career. On the other hand, omitted elements are the address of author, the account number and the seal. In the future, the size of the book is additionally wanted to describe in the colophon.

판권기는 당해 도서와 관련된 서지사항을 한곳에 모아 표기한 것으로 도서의 말미나 표제지 이면에 위치한다. 판권기는 목록작성에 필요한 서지사항의 정보원, 저작권과 관련해서 필요한 사항, 독자에게 제공하는 유용한 정보원 등의 기능을 한다. 우리나라에서 고서가 아닌 신서의 출판은 1900년대 초부터 시작한다. 그리고 도서의 판권기 기재요소는 사회문화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변하였다. 판권기 기재요소 중에서 1900년대 초부터 지금까지 변함없이 표기되는 요소는 표제 및 책임표시사항, 발행지, 발행처, 발행년, 가격 등이며, 사회 제도적 변화에 따라 추가로 표기되는 요소는 판표시, ISBN, 발행처 등록, 출판사 연락처, 저자약력 등이다. 반면에 생략되는 요소는 저자주소, 계좌번호, 검인지 등이다. 향후에 판권기 요소에 도서의 크기가 표기되길 바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희일. 한국출판의 이해. 서울 : 생각의 나무, 2007.
  2.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사도서목록센터 편. 출판시도서목록편람, 개정3판. 서울 : 국립중앙도서관, 2006
  3. 국립중앙도서관 한국문헌번호센터 편. 한국문헌번호편람, 5판. 서울 : 국립중앙도서관, 2008.
  4. 국립중앙도서관 한국문헌번호센터 편. 한국문헌번호편람, 5판. 서울 : 국립중앙도서관, 2008.
  5. 대한출판문화협회 편. 2007 한국출판연감 자료편. 서울 : 대한출판문화협회, 2007.
  6. 대한출판문화협회 홈페이지. [인용 2009. 8. 10].
  7. 열린책들 편집부 편. 2010 열린책들 편집매뉴얼. 서울 : 열린책들, 2010.
  8. 이명규. "우리나라의 도서 판권기 기술서지 요소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1권, 제1호(2010. 3), pp.211-231.
  9. 이중한 등. 우리 출판 100년. 서울 : 현암사, 2001.
  10. 최윤하. 도서 판권기의 기술요소 분석: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7.
  11.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목록규칙 제4판. 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03.
  12. A & C Black Publishers Ltd. Dictionary of Publishing And Printing. 3rd ed. Consortium Book Sales & Dist, 2006.
  13. Chicago University Press. The Chicago Manual of Style. 15th edition. Chicago : Chicago University Press, 2003.
  14. Poynter, Dan. The Self-Publishing Manual. Lightning Source Inc.,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