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and Evaluation of Cyber Home Study Contents for Self-directed Learning - Focused on the Earth Science Content of the Science Basic Course for the 7th grade -

사이버가정학습의 자율학습용 콘텐츠 분석 및 평가 - 중학교 1학년 과학 기본과정 지구과학영역을 중심으로 -

  • Na, Jae-Joo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Son, Cheon-Jae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ook, Dong-Sik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나재준 (충북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손천재 (충북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국동식 (충북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Received : 2010.04.22
  • Accepted : 2010.08.17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self-directed learning contents of Earth science area in the basic course of the 7th grade. For this purpose, we applied the 'Cyber Home Study Content Quality Control Tool' presented in 'Elementary Secondary Education e-Learning Quality Management Guidelines (Ver.2.0)' of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008). The results of contents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it was presented that the study guide introduced the contents which should be studied for one class, properly. And it was not analyzed that the diagnosis assesment was not completed in the initiative study; Second, it was possible to study choosing the contents fitting the learner's level of learning in the main study, it was comprised of about 15 minutes. Third, it was performed without feedback for incorrect answers in the learning assessment, just the number of wrong questions. And the learning arrangement present the important contents learned in that class, summarizing and arranging again. The results of content evaluation are as follows: First, a big difference was not showed against the needs analysis, instructional design, interaction in each class. And the evaluation of the ethics was not included a word or sentence not suitable. The evaluation of copyright, it was analyzed that Work within the content display in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copyright Second, the evaluation of instructional design presented mainly the description of a simple picture based, the visible resources like flash card were poor. And in the evaluation of Supporting System, it was presented that the contents were installed so that it was freely available for learners. But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no memo-function learners were able to jot down something during the studying contents. And in the evaluation for evaluation, the clear valuation basis about the described content was not presented. So there were slightly differences for each class. Third, in the evaluation and analysis for learning content, it was presented that there were some big differences for each class because it was not composed of the latest information, not corrected and complementary.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1학년 과학 기본과정 지구과학영역의 자율학습용 콘텐츠에 대하여 분석 및 평가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8)의 '초 중등교육 e-러닝 품질관리 가이드라인(Ver.2.0)'에서 제시한 '사이버가정학습 콘텐츠 품질관리도구'를 적용하였다. 콘텐츠 분석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안내는 학생들이 한 차시에 학습하게 될 내용들을 간략히 소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선수학습에서는 진단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본 학습에서는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콘텐츠를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었고, 본 학습 시간은 15분 내외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평가에서는 학습자가 오답에 대한 피드백은 이루어지지 않고, 틀린 문항 수만 제시되어 있었다. 그리고 학습정리는 그 차시에 배운 중요한 내용에 대해서는 다시 요약 정리하여 제시하고 있다. 콘텐츠 평가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구분석, 교수학습전략,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각 차시마다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윤리성에 대한 평가는 적합하지 못한 단어나 문장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의 평가는 콘텐츠 내의 저작물에 대한 국제저작권표시방법을 준수하여 표시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교수설계의 평가는 단순 그림 위주의 설명을 제시하였고, 플래시 등의 시각자료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원체계의 평가에서는 학습자가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콘텐츠 학습 중 학습자가 메모할 수 있는 메모기능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평가에 대한 평가는 서술 내용에 대한 명확한 평가기준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았다. 따라서 각각의 차시마다 조금씩 차이를 보였다. 셋째, 학습내용의 평가분석은 수정 보완하지 않은 탓에 최신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각 차시마다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2007 교육정보화백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서울, 579 p.
  2. 김병주, 2008, 사이버 가정학습의 콘텐츠 품질요인에 따른 학습만족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7 p.
  3. 박희라, 2008, 사이버가정학습 콘텐츠 분석 및 평가: 중학교 1학년 영어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1 p.
  4. 안영주, 2008, 사이버가정학습 운영에 관한 연구: 사이버가정학습 다높이의 수학교과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9 p.
  5. 이선재, 2007, 초등영어 사이버가정학습 콘텐츠 분석: 초등 5학년 영어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3 p.
  6. 정용란, 2006, 사이버가정학습 사이트 분석 및 인식에 관한 연구: 중학교 1학년 과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7 p.
  7. 정윤영, 2008, 중학교 1학년 생물영역의 사이버가정학습 콘텐츠 평가.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9 p.
  8.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교과별 콘텐츠 제작 지침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KR 2004-5, 167 p.
  9.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국가 e-러닝 품질관리 센터 운영을 위한 e-러닝 품질관리 가이드라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RR 2006-1, 299 p.
  10.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b, 사이버가정학습 진단.처방 학습관리시스템 정보화전략계획(ISP).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CR 2006-23, 308 p.
  11.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c, 사이버가정학습 학습주제별 콘텐츠 유형 적용 방안 연구: 과학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CR 2006-4, 219 p.
  12.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초.중등 교육 이러닝 품질관리 가이드라인(Ver. 2.0) 개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CR 2008-5, 255 p.
  13. Tompson, M., 1996, Distance delivery of graduate-level teacher education: Beyound parity claims. Journal of Continuing Higher Education, 44, 29-34. https://doi.org/10.1080/07377366.1996.10400301

Cited by

  1. The Development and Effects Analysis of the SMART Instructional Modules about Mineral Resource vol.36, pp.3, 2015, https://doi.org/10.5467/JKESS.2015.36.3.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