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applying generalizability theory depending on the aim of the usage of GALT to analyze the sources of error of single-facet considering item and person only and to analyze the sources of error of multi-facet considering item, person and domain.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1016 students of local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21 items of a full version were answered for 40 minute and then the 12 items of short version were sampled to analyze reliability using generalizability theory. Both the full version and the short version of the items were analyzed using Cronbach's alpha for data analysis, and we applied generalizability theory and separate $p{\times}i$ design and $p{\times}(i:h)$ design, G study and D study were performed.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D study after $p{\times}I$ design both on the full version and the short version showed that in the case of the full version, the generalizability coefficient was 0.87 exceeding a normal level of 0.80, and the normal level of generalizability coefficient was achieved in 13 items as well. In case of short version, when 12 items were evaluated, generalizability coefficient was 0.77 not reaching the normal level, and the normal level was achieved in case of more than 15 items. Second, the result of D study after $p{\times}(I:H)$ design on the short version showed that once one domain consists of 2 items in 6 domains, generalizability coefficient was 0.71 which is lower than the normal level of 0.80, the normal level was achieved in more than 5 item cases.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논리적사고력검사의 이용 목적에 따라 일반화가능도이론을 적용하여 문항과 피험자만을 고려한 단일국면의 오차원, 그리고 문항과 피험자, 그리고 영역을 고려한 다국면의 오차원을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는 지방 소재 초 중 고등학생 총 1016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21문항의 GALT 완본을 40분 동안 실시하고, 이 중 축소본에 해당하는 12문항을 별도로 추출하여 일반화가능도이론을 이용한 신뢰도 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일반화가능도이론을 적용하여 $p{\times}i$설계와 $p{\times}(i:h)$설계로 나누어 G 연구와 D 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본과 축소본을 $p{\times}I$설계로 D 연구를 수행한 결과 완본의 경우 21문항을 평가했을 때 0.87로 적정 수준의 일반화가능도 계수인 0.80을 상회하였으며, 13문항에서도 적정 수준의 일반화가능도 계수에 도달하였다. 축소본의 경우 12문항을 평가했을 때 0.77로 적정 수준의 일반화가능도 계수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최소 15문항 이상에서 신뢰도가 적정 수준에 도달하였다. 둘째, 축소본을 $p{\times}(I:H)$설계로 D 연구를 수행한 결과 6영역에 대해 영역별로 2문항씩 구성될 경우 0.71로 적정 수준의 일반화가능도계수인 0.80 보다 낮게 측정되었으며, 최소 영역별 5문항 이상에서 신뢰도가 적정 수준에 도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