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변공원의 이용 만족도 평가

An Evaluation on Visitor Satisfaction in Waterfront Park

  • 장민숙 (영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장병문 (영남대학교 조경학과)
  • 투고 : 2010.07.06
  • 심사 : 2010.08.13
  • 발행 : 2010.08.31

초록

이 연구는 '수변공원의 이용 만족도는 어떻게 결정되는가?'라는 연구의문에 해답을 제공하기 위해 과정 중심적 접근방법에 입각하여 자원, 시설, 주제구현, 단지구성, 정적 활동공간, 동적 활동공간이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함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수변공원과 우리나라의 수변공원 조성과정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개념적 틀을 구성하여 가설을 도출하였다. 연구가설의 실증적 검정을 위해 4개의 수변공원을 선정한 후, 할당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수집한 327매의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원과 시설이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효과의 크기는 각각 0.273, 0.306, 간접효과의 크기는 각각 0.114, 0.170으로 나타났다. 2) 단지구성과 주제구현이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각각 0.243, 0.000인 반면, 간접효과의 크기는 0.018, 0.059로 나타났다. 3) 정적 활동공간과 동적 활동공간이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각각 0.129, 0.000으로 나타났으며, 간접효과는 각각 0.002, 0.017로 나타났다. 4) 이용 만족도(100.00%)에 미치는 인과효과의 크기는 시설(35.76%), 자원(29.08%), 단지구성(19.61%), 정적 활동공간(9.84%), 주제구현(4.43%), 동적 활동공간(1.28%)의 순으로 나타났다. 5) 자원과 시설은 전체 인과효과의 64.84%, 계획과정인 주제구현과 단지구성은 24.04%, 정적, 동적 활동공간은 11.1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발견하였다. 1) 기존의 수변공원은 물자원과 관련된 주제가 구현되도록 정비되어야 하며, 정적 활동공간의 시설 개선과 동적 활동공간의 이용 프로그램이나 시설보완이 요구된다. 2) 주제구현, 단지구성, 정적 활동공간, 동적 활동공간들 간의 관련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계획 설계의 노력이 있어야 수변공원의 이용 만족도는 현저히 향상될 것으로 판단된다. 3) 이 연구에 적용된 접근방법과 인과모형은 수변공원의 평가에 대단히 유용하였으며, 다른 여가활동장소의 평가에도 적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장차 더 많은 사례의 수변공원을 대상으로 하는 구조방정식모형의 정립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visitor satisfaction(VS) in waterfront parks in terms of resources, facilities, embodiment of theme(ET), site composition(SC), relaxation activity space(RAS), and dynamic activity space(DAS), which are supply-side components in the planning process of waterfront parks,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How is visitor satisfaction of waterfront parks determined?'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on parks and the building process of waterfront parks in Korea, we constructed a conceptual framework and have ascertained a research hypothesis. We had obtained data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from 327 visitors at waterfront parks, based on the quota sampling method. We have analyzed the data using the path analysis method. We found that: 1) The direct effects of resources and facilities on VS turned out to be 0.273 and 0.306, respectively while the indirect effects are 0.114, 0.170, respectively. 2) The direct effects of SC, as a component of the planning process on VS, turned out to be 0.243 while that of ET had no affect on VS. The indirect effect of ET and SC on VS turned out to be 0.059 and 0.018, respectively. 3) The direct effects of RAS on VS turned out to be 0.129 while the indirect effects of RAS and DAS on VS turned out to be 0.002 and 0.017, respectively. 4) The size of causal effect, in order, were facilities, resources, SC, RAS, ET, and DAS. 5) Resources and facilities, as a park foundation, compose 64.84 percent of total causal effect while ET and SC have 24.04 percent and RAS and DAS have 11.12 percent, respectively. These research results imply that: 1) Existing waterfront parks should be regenerated with the embodiment of water related theme and with improved facilities for RAS and visitor programs and/or facilities for DAS. 2) The relationship among ET, SC, RAS and DAS should be increased for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VS, and 3) A process-oriented approach turned out to be highly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substantive theory and methodology. It is recommended tha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waterfront parks be developed using more empirical data and this approach be widely applied for testing its valid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신용(1994) 수변공간의 조경설계. 한국토지개발공사 토지와 기술 30('95.7): 64-72.
  2. 건설교통부(1985) 공원조성계획수립지침. 건설교통부.
  3. 건설교통부(2007) 도시공원.녹지의 유형별 세부기준 등에 관한 지침. 건설교통부.
  4. 구본영, 김진섭(1996) 도시하천의 수변공간 개발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양정책연구 11(2): 441-479.
  5. 권상준(1993) 도시근린공원의 편익비용분석: 청주시를 대상으로. 청주대산업과학연구 11: 301-324.
  6. 김경인, 김종하(2005) 수변의 경관설계. 서울: 브이아이랜드.
  7. 김광웅(1976) 사회과학 연구방법론. 서울: 박영사.
  8. 김사헌, 유명수(1992) 위락자원 비이용가치의 결정인자분석. 한국레크레이션학회지 9: 53-65.
  9. 김성혁, 안대희(1996) 주제공원 방문객의 만족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6: 93-116.
  10. 김세천, 허준, 노재현(1998) 자연공원 이용 행태 및 만족도 평가. 관광학연구 21(2): 297-293.
  11. 김선원, 허준, 박율진(2000) 여의도공원의 이용 목적별 만족도 분석. 산림휴양연구 4(3): 35-36.
  12. 김용수, 정계순, 김수봉(1998) 도시하천 유축경의 시각적 선호요소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6(2): 101-109.
  13. 김창수(2007) 테마파크의 이해. 서울: 대왕사.
  14. 김현아(2005) 인공대지를 이용한 부산 대교동 수변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건축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홍기(2005) 열린 문화공간 계획을 통한 도시 수변공간의 창의적 재생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건축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대구광역시(2006) 공원.유원지현황.
  17. 도시공원녹지연구회(1997) 도시공원 녹지설계노트북. 서울: 보성.
  18. 동재욱, 김평(2003) 도시하천 수변공간의 활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의정부시 중랑천변 활용에 관한 시민의식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지 28(2): 35-59.
  19. 류인평(1999) 속리산 국립공원 방문객의 국민관광행태에 관한 연구. 관광경영학 연구 6: 141-159.
  20. 문창현(2001) 이용 만족도 결정요인의 분석을 통한 서울시 도시공원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9(1): 97-118.
  21. 박석희 역(2000) 포스트 테마파크. 根本祐二, マルチ.ェンタ一テイメント.ビジネス: テ一マ.パ一ク お超ぇろ新産業. 서울: 일신사.
  22. 박선희, 진희성(1998) 관광지 자연자원과 문화자원의 공간 이미지 및 시각적 선호도 조사에 관한 연구. 관광학 9: 65-97.
  23. 박주연(2000) 도시 내에서의 수변공간 이용계획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박찬용(2000) 운암지 수변공원 설계. 한국조경학회지 28(4): 117-124.
  25. 배윤경, 오신욱, 조용수(2002) 수변공간의 유기체적 장소특성과 활용 방안.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계획계 22(2): 631-634.
  26. 백승만, 노은이(2006) 여기공간으로서의 수변공간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7. 성백진, 최종희, 이재근, 권오복(2004) 주민의식에 기초한 도시 대공원의 이용 후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2(2): 11-24.
  28. 송병화, 양병이(2006) 주민참여를 통한 도시복개하천의 환경친화적 복원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9(2): 33-44.
  29. 신동훈, 이규석(2004) 도시하천경관복원 접근방법에 관한 고찰: 청계천 복원사업을 사례로. 한국조경학회지 32(4): 39-48.
  30. 신상혁(1997) 도시하천 고수부지 이용에 관한 환경 조경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신원섭(1998) 야외 휴양 관리. 서울: 따님.
  32. 신원섭, 김태운(1998) 월악산 국립공원 이용객의 자연에 대한 심리태도 수준이 공원 관리인식 및 평가에 마치는 영향. 산림휴양연구 2(1): 65-78
  33. 안동만 역(1999) 조경학. Simonds, J. O., Landscape Architechture. 서울: 보문당.
  34. 엄영숙, 남궁문(2001) 환경자원과 문화자원으로서 자연공원의 가치추정. 자원.환경경제연구 10(1): 1-23.
  35. 오병석(2005) 일산호수공원 이용후 평가에 관한 연구. 한경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오인석(1986) 도시 하천의 수변공원에 관한 연구: 광나루를 중심으로. 한국토지행정학회지 1: 10-38.
  37. 오정학(2001) 중요도-성취도 분석에 의한 주제공원 계획요소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29(4): 34-43.
  38. 유병림(1996) 공원설계에서 기념성의 문제: 서울대 4.19 기념공원과 서초조각공원. 한국조경학회지 23(4): 40-49.
  39. 윤상욱, 이윤원, 이민순, 선수철(2000) 생활과 조경. 서울: 문음사.
  40. 윤준상, 이경진, 박영길, 배성의(2009) 중국 농촌지역 수변놀이공원의 방문객 특성 분석. 한국농촌지도학회 농촌지도와 개발 16(1): 181-200.
  41. 이근(1985) 관광자원론. 서울: 학문사.
  42. 이상석(2001) 기념성을 구현하기 위한 조경디테일의 특성. 한국조경학회지 29(5): 71-83.
  43. 이성호, 정지용(2001) 부산시 수변공간의 형성과정과 개선방안: 광안리해수욕장과 송도해수욕장을 대상으로. 도시연구보 11: 9-19.
  44. 이영경(2006) 경관의 치유적 특질이 관광지 방문 선호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34(5): 1-13.
  45. 이진희, 김훈희(1998) 도시하천에 있어서 생태적 복원을 위한 주민평가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산업과학연구소 산업과학연구 8: 1-9.
  46. 이춘식(1996) 하천의 수변공원 개발에 관한 정비 모델 연구. 동아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이해련(1995) 물을 매개로 한 수변 공간 환경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임승빈, 주신하(2004) 조경계획.설계. 서울: 보문당.
  49. 장병관, 윤대식, 김상황(2005) 자연생태공원 조성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 영천자연생태공원을 사례로. 한국조경학회지 33(3): 84-93.
  50. 장병문(2010) 도시공원의 공급인자 평가모형. 한국조경학회지 38(1): 1-11.
  51. 장병문, 배민기(2002) 자연공원의 자원과 이용 만족도간의 관계에 관한 인과모형: 국립공원과 도립공원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3): 12-24.
  52. 장병문, 서정희(1999) 휴양 적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휴양림의 자원특성. 한국조경학회지 27(4): 13-28.
  53. 장병문, 서정희(2000) 개발주체별 자연휴양림 시설물의 차이. 한국조경학회지 28(3): 39-52.
  54. 장창래, 김정곤, 이광만(2006) 도시하천의 공간이용 평가: 갑천과 유풍천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9(4): 1-12.
  55. 정석희, 황성수(2002) 도시수변공간의 이용특성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국토연구원.
  56. 조대성, 이성호, 변수연, 남용훈, 이규철, 백데레사(1999) 도시수변공간 개발 형태적 이미지와 디자인패턴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4(3): 73-86.
  57. 조동범 역(1993) 조경설계의 기본요소. Booth, Norman K., Basic Elements of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서울: 대우출판사.
  58. 진윤정, 김종인(2001) 도시 수변공간의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1(2): 187-191.
  59. 최승담(2002) 청계천 복원의 관광적 의미와 수변공간 조성 방향.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관광연구논총 14: 33-45.
  60. 최용순(1986) 수정연출 기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환경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1. 최정우(2008) 한강공원 이용자의 만족도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도시연구 9(4): 53-70.
  62. 한국조경학회(2002) 조경계획론. 서울: 문운당.
  63. 홍성권(1995)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이용한 도시공원의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3(3): 94-111.
  64. 홍성권, 이상우, 이민우, 이상민(2007) 수변공원과 체육공원의 중요 속성.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0(6): 33-43.
  65. 홍형순, 김도경, 정한호(2006) 광양항 동측배후단지 2단계 사업지구 상징공원 및 수변공원 설계. 한국조경학회지 34(3): 104-119.
  66. Bigne, J. E., L. Andreu and J. Gnoth(2003) The theme park experience: An analysis of pleasure, arousal and satisfaction. Tourism Management 26(6): 833-844.
  67. Chubb, Michael and Holly R. Chubb(1981) One Third of Our Time?.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68. De Chiara, J. and L. Koppelman(1975) Urban Planning and Design Criteria(2nd ed.) New York: Van Nostrand Rainhold Company.
  69. Gunn, C. A.(2002) Tourism Planning(3nd ed.). Washington: Taylor and Francis.
  70. Hendon, W. S.(1981) Evaluating Urban Parks and Recreation. New York: Praeger Publishers Division.
  71. Lagro, J. A.(2001) Site Analysis.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72. Lynch, Kevin(1984) Site Planning(3nd ed.). Massachusetts, Cambrige: The MIT Press.
  73. Mayo, E. J. and L. P. Jarvis(1981) The Psychology of Leisure Travel: Effective Marketing and Selling of Travel Service. Boston: CBI.
  74. Motloch, J. L.(1991) Introduction to Landscape Design.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75. Noe, P. F. and M. Uysal(1997) Evaluation of outdoor recreational settings: a problem of measuring user satisfaction.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 4(4): 223-230. https://doi.org/10.1016/S0969-6989(96)00030-6
  76. Oguz, Dicle(2000) User surveys of Ankara's urban park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2(2000): 165-171. https://doi.org/10.1016/S0169-2046(00)00130-4
  77. Pizam, Abraham, Yoram Neumann. and Arie Reichel(2003) Dimension of tourist satisfaction with a destination area, Annals of Tourism Research 5: 314-322.
  78. Roest, H., R. Pieters and K. Koelemeijer(1997) Satisfaction with amusement park. Annals of Tourism Research 24(3): 1001-1005. https://doi.org/10.1016/S0160-7383(97)00041-8
  79. Simonds, J. O.(1961) Landscape Architecture. New York: Mc-GrawHill Inc.
  80. http://www.kinds.or.kr
  81. http://www.lake-par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