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zhen's theory of Zhong-He

대진(戴震)의 중화론(中和論): 미발론(未發論)의 해체와 욕망 소통론의 수립

  • Received : 2010.10.05
  • Accepted : 2010.11.12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The article, focusing on the theory of Zhong-He, sheds a new light on the philosophy of Daizhen. The theory of Zhong-He, according to the philosophical system of Zhuxi, serves as the theoretical foundation in erecting the apriori moral nature and guiding mental cultivation of subjects. Daizhen, on the contrary, criticizes the doctrine of Zhonghe in Zhuxi's philosophy as it produces negative side-effects of moral dogmatism. Zhuxi's doctrine, according to Daizhen, as it reduce the origin of morality to apriori condition of consciousness and delimit the range of cultivation to psychological realm of subjects, restricts moral subjects in the fortress of their own subjectivity. In this vein of his criticism, Daizhen attempts new interpretation on Zhonghe. The character Zhong (中), according to him, does not refer to apriori moral state or metaphysical moral substance as it does in the doctrine of Zhuxi. On the contrary, it denotes the state in which diverse existent beings are placed in their own position by their own dispositions. Similarly, the other character He (和) does not refer to the condition where an individual's consciousness is in equilibrium, but to the process of achieving the harmony of entire society in which diverse existent beings are communicating to each other. With his novel interpretation of the theory of Zhong-He, Daizhen could dissolve the tradition of Weifa (未發) and moral subjectivism in Zhuxi's philosophy and provide a way of establishing reciprocal communication and harmony between various individuals. It is in his ethics of rational mutual understanding where the significance of Daizhen's philosophy should be found.

이 논문은 중화론(中和論)을 중심으로 대진(戴震) 철학의 의의를 재조명하는 데 있다. 주자(朱子) 철학에서 중화론은 주체의 선험적 도덕 본질을 정립하고 주체의 내면적 정신 수양을 유도하는 이론적 근거이다. 그러나 대진은 이러한 주자의 중화론이 심각한 윤리적 독단주의의 폐단을 양산하였다고 비판한다. 대진에 따르면, 주자는 중화론을 통해 도덕의 본원을 주체의 선험적 의식 상태 안에 안치시키고 수양의 범위를 주체 내면의 심리 영역으로 제한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수양의 주체는 다양한 타자와 소통하는 통로를 스스로 차단하고 자기 주관성의 성벽(城壁) 안에 스스로 갇히게 만들었다. 그래서 대진은 중화(中和)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다. 대진의 새로운 해석에 따르면, 중(中)은 주자가 말하는 바와 같이 마음의 선험적 도덕 상태 혹은 초월적 도덕 실체(성(性))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존재자들이 각자의 본성대로 각자의 삶의 자리에 온전히 안착하는 것을 가리킨다. 또한 화(和)는 개체의 의식 활동이 적절한 조화를 이룬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존재자들이 호혜적으로 소통하면서 사회 전체의 조화를 이루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대진은 중화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통해 주자학의 미발론의 전통과 윤리적 주관주의를 해체하고 다원적 주체들이 호혜적으로 소통하고 조화해갈 수 있는 길을 제시하였다. 합리적 소통의 윤리학, 여기에 대진 철학의 의의가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